마매충 [618648] · MS 2015 · 쪽지

2015-11-27 17:41:32
조회수 703

과학탐구 선택 조언드립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19266

저는 수능을 끝낸 고3 학생이고 요즘 할 일이 없어서 글을 써 봅니다. 사실 1년전 과학탐구 선택에서 굉장히 머리를 많이 힘들게 했습니다. 처음에는 서울대 지균 받을 생각하고서 2과목을 선택해야하는데 뭘 해야할지 모르겠어서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조언을 받다가 학원하시는 아는분께서 지구과학2를 해보라는 말을 듣고서 지2를 정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남은 한 과목에서 굉장히 애를 썼습니다. 2학년 내신때 물1화1생1지1을 모두 배웠지만 물1은 역학이 화1은 계산이 너무 많아서 내신때도 시간부족에 실수연발 생1은 유전파트에서 중간고사때 6개씩 틀려서 사상처음으로 과학과목에서 70점대가 나와 기말때 열심히 했지만 2등급이 나온 등급 떨어뜨리기의 장본인이어서 물화생에관한 좋은 기억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지1은 천체에 관한 내용이 정말로 매력적이고 천구를 그리면서 굴려보는게 정말 재미있었습니다. 그러나 서울대는 서로다른 과목을 요구하고 있었기에 지1을 버리고 그나마 무난했던 물1을 선택하고 공부하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역학이 6월까지 너무 힘들게 했습니다. 그리고 사실상 성적이 전교 2등을 유지하게 되어서 6평이후에 과감하게 물1에서 지1으로 바꿔버렸습니다. 학교에서도 처음보는 조합인 지1지2로 공부를 하게 되었지요. 그렇게 정말 4달동안 열심히 지구과학으로 바꾸고 공부한 결과 과탐 시험시간에는 누구보다 자신있게 되었습니다. 9월모평에서는 탐구에서 2등급.1등급을 찍게 되었고 (사실 6월에는 물1이 3등급이엇습니다...ㅜㅜ 주륵) 수능때는 지1은 50점이라는 점수를 얻을수 있게 되었고 제게는 수능 최저등급을 맞춰준 효자과목이 되었습니다.
이제 공부방법 측면을 보면 보통 2학년때 이과에서는 내신으로 물화생지1을 다 배우므로 (아닌곳도 있겠지만..) 그때 공부했던 완자와 올해 수능특강을 완전 씹어먹자는 식으로 했습니다. 처음 볼때에는 가볍게 2학년때 공부했던 내용을 상기시키면서 간단한 확인문제를 풀고 공부를 마무리 할때에는 연습장에 그날 공부했던 내용을 혼자서 떠들면서(야자 X인 날에만) 자료나 그래프를 남에게 설명하듯이 공부를 진행하였습니다. 그리고 완자를 다 공부하고서는 수능특강 내용설명 부분중에서 지엽적이라고 생각하는 부분을 암기위주로 하였습니다. 그리고 이와 함께 기출3개년을 평가원 교육청 문제를 매일 1세트씩 풀어나갔습니다. 여기서 중요한게 문제를 풀고서 틀린문제는 반드시 다시 봐야하지만 맞은 문제의 보기도 다시한번 해설을 읽으면서 공부하는것입니다. 아 그리고 천체파트에서는 계속 천구를 그려보시는 연습을 하셔야 합니다. 게다가 16학년도 기출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좌표계문제가 전보다는 쉽게 출제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너무 겁먹지 마시고 계속 천구 그려보시면서 굴려보시는 연습하면 다 맞을수 있습니다. 그리고 기출문제는 꼭 2번정도 풀어보시고 수능완성에서도 문제를 풀고 지엽적이고 특이한 자료들을 위주로 반복을 합니다. 수능날까지 개념정리와 ebs반복을 지속적으로 하는게 중요합니다. 그랬더니 정말 이번 수능에서 세차운동과 관련된 문제가 수능완성 그림과 보기에서 그대로 가져온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여기서 지학에서의 ebs 중요성이 강조되죠) 이 외에도 화학적풍화작용. 환경오염. 태양의 연주운동. 행성의 시운동 등 이런 문제들은 기출문제에서 출제되었던 자료와 상황이 정말로 동일하였습니다. 수능당일날 풀면서 정말 내가 공부했던 방식이 옳았다는 생각과 동시에 너무 기분이 좋더라구요. 채점 결과도 50점이 나왔구요. 이렇게 공부하면서 느낀게 정말 과학탐구 선택시 가장 중요한것은 제가 생각하기에는 자신의 적성과 가장 잘 맞는 과목을 선택해야 합니다. 그리고 무조건 만점을 목표로 잡아야하구요. 보통 적성과 잘 맞으면 점수도 잘 나오네요. 그리고 저는 특히 후배들에게 지구과학을 하라고 추천합니다. 정말 한 만큼 나오는 정직한 과목이라고 소개하고 특히 시험칠때 시간부족 문제가 없다는 측면에서 굉장히 메리트가 크다고 강조하죠. 맨날 공부방법만 찾다가 이렇게 긴 글을 쓰는것은 처음이네요. 꼭 지구과학이 아니더라도 자신에게 잘 맞는 과목을 선택해서 내년 수능에서 좋은 결과 얻으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올해 수능에서 지1은 만점 받았지만 지2는 평소보다 못나왔네요.. 보통 1개정도 틀리다 이번에 3개나 틀리면서 등급이 폭망해버렸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UL6mFE0AgIt9cW · 604462 · 15/11/27 17:49 · MS 2015

    화1생2에서 화1지1으로갈아타려는데
    지1 금방하나요? 만점가능?

  • 마매충 · 618648 · 15/11/27 17:52 · MS 2015

    저는 4개월하고 만점 받았는데 빠르신분들은 2달하고도 만점 받으신 분들도 계세요. 문제풀이 기술이 중요한게 아니라 개념만 확실히 하면 다 맞을수 있는 문제들이라 다른 탐구에비해 빠르게 만점 가능하다고 봅니다.

  • 유턴 · 622633 · 15/11/29 16:53

    그럼 서울대는 .. 어떻게되신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