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황들 질문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173535
해설에서 ㄱ판단할때 중심별달라져도 생명가능지대 시작점의 s값과 바깥쪽경계에 도달하는 s값은 유지된다는데 이해 부탁드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시고르자브종 1
왤케 빨리 크지 무섭다 이젠
-
서울날씨 2
지방 촌구석에 있다가 추석특강 들을려고 왔는데 아니 대체 33도가 넘는데 길거리에...
-
얼버기 1
-
수능 최저(4합) 때문에 급하게 지구 노베 상태에서 2~3등급까지 올려야...
-
잡니다 0
다들 어서 주무세요
-
한국만 그런 줄 아는 저 정신 머리가 난 너무 웃긴다 걍 교양 있게 사회성 부족한...
-
옯만추 썰 0
시대 다니는 오르비언에게 서킷을 보여줌
-
맨유 0
맨뉴 ㄴ 첨가
-
고민중이라…
-
2025 6모: 비문학 3개, 문학 4/8 작품 연계 2025 9모: 비문학 3개,...
-
좋은 아침 5
같이 공부하러 갈 오뷰이 구함...
-
풍성하진 않고 맨들한 한가위
-
진짜하기 싫다....... 오랜만에 잠 ㅈㄴ 자고싶은데 할게 너무나도 많네요........
물이 증발하게되는 온도랑 얼어붙는 온도는 일정하니까요...?
쉽게 말하자면 s의 범위가 생명이 살 수 있는 환경이에용 (물이 액체일수있는 환경) 물이 액체일수있는 온도는 고체가 되는 0도와 기체가 되는 100도 사이이기때문에 모든 행성의 생가지는 s의 시작점과 끝지점의 값이 일정함니다(단 행성으로부터의 s시작지점 거리는 다를수있음
생명가능지대 경계가 애초에 생명체가 살기 적합한 온도에 해당하는 경계로 나눈거잖아요? 그니까 중심별 광도가 어떻든 안쪽 경계와 바깥쪽 경계의 온도는 같죠! 생명가능지대 온도 범위가 몇부터 몇까지 인지는 지구과학 교육과정 밖의 내용이라 잘 모르지만 예를들어 a도부터 b도 까지가 과학자들이 주장하는 생명체가 살기 적합한 온도 범위면 그에 해당하는게 생명가능지대니까요! 그러므로 중심별 광도가 크면 안쪽, 바깥쪽 경계가 멀리있는거고, 중심별 광도가 작으면 가까이 있는거죠!
다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