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익 T 조교쌤들 답변에서 잘 모르겠는 부분이 있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168411
베카리아는 생득적 인격성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사형은 범죄자의 생득적 인격을 존중하는 차원에서 시행되어야 한다'라는 것을 베카리아의 입장으로 볼 수는 없다는데 이게 맞나요? 납득시켜주실 생윤 고수분 찾습니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김승리 따라해보고 싶긴 함
-
사촌동생 공부 잘해서 상산고 목표로 공부한다는데 그냥 ㅈ반고 가서 내신 따서 수시로...
-
너무 슬프잔아..
-
올해부터 공부했다는 느낌이 조금 든다
-
푸는 문제 문항이 궁금합니다 공통 객관식에서 몇번까지, 단답형에서 몇번까지,...
-
유럽이라서 그런가 ㅈㄴ 재밌을듯 ㅋㅋㅋ 월즈 Lpl 상대로 다전제 무패, 최소...
-
이기상 세지 3
커리 안타는데 9모 점수가 안좋기도 하고 다들 갓기상하길래... 이것이 알짜기출이다...
-
라이라이 단단단 이게므ㅓ지
-
ㅈㄴ가끔(3주에한번쯤) 몇시간동안 우울+자살충동 들었다 ㄱㅊ아지면 13
어떤 정신질환임 으어
-
ㅅㅂ 이거 완전 난데
-
정법 자유권은 왜 초국가적 권리인가요? 국가의 부당한 피해로 부터의 자유면 국가가...
-
ㅎㅎ..
-
저녁잠 잤는데 3
오늘 밤에 잠을 자지 못하는 몸이 돼 버린 건 아니겠지?
납득할게 머잇어요 그냥 그런갑다 하는거지
생득적 인격을 주장한 사람은 칸트뿐이니 다른 사상가를 제외하고 보면 될거 같아요
단순히 '생득적 인격성'이라는 표현을 베카리아가 안 쓰기 때문에 틀렸다고 볼 수도 있지만, 베카리아 또한 그의 저서에서 인격에 대한 언급을 자주 합니다. 예를 들어 고문같은 경우는 인격을 무시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사형과 마찬가지로 금지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죠. 베카리아는 사형이 범죄자의 인격을 존중하지 않는 형벌이라고 보았기 때문에 틀린 선지라고 보는 것이 올바른 접근법 같습니다!
애초에 저문장이 사형이 시행된다는 걸 전제로 하고 있으니까 베카리아 입장은 아니지 읺나요?
생윤은 명확히 다른 철학자의 주장이고 그 철학자가 그런말한적 없으면 대부분 틀림. 오히려 상상해서 채워넣으니 문제가 생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