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익 T 조교쌤들 답변에서 잘 모르겠는 부분이 있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168411
베카리아는 생득적 인격성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사형은 범죄자의 생득적 인격을 존중하는 차원에서 시행되어야 한다'라는 것을 베카리아의 입장으로 볼 수는 없다는데 이게 맞나요? 납득시켜주실 생윤 고수분 찾습니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평가원 기출이랑 ebs 수특수완 다 돌리고 만점마무리 봉투모의고사에서도 만점 가까이...
-
조이고 즐기다 10
이걸 영어로 하면 뭐가 될까요?
-
나 대학 어디가??
-
2호선임 동의시 개.추
-
상대 못해주겠다 ㅋㅋ 2만원만 해보자 ㅅㅂ
-
재미있는 사실 4
쉽다, 용이하다 등의 의미로 사용되는 '수월하다'의 어근 '수월'은 한자어가 아니다...
-
진짜 무서운건 2
어그로 컨셉이 아닌 것 같다는 거임..
-
매일 기출 8(문학4독서4) 지문 뽑아풀고 그중에서 어려웠던 지문, 3점문제 위주로...
-
독학재수학원 1
체대입시 반수생인데 독서실에서 공부하는데 지금부터 남은기간이라도 독재다니는게...
-
9덮 확통 92 6
등급 머나옴? 12 22 틀
-
엠스킬 한 번 들었습니다 근데 도표가 너무 약합니다 개념은 너무 복잡하게 꼬아놓은...
-
문인화 지문 이해하셧나요… 진짜 일도 이해안가는데
-
입학하자마자 자기 수능성적 까먹는거보면 치매 초기증상인듯 하고싶은말: 야식추천좀
-
내일 점심 추천좀
-
영어는 근데 보통 2-3스타트가 많아서 공감을 못해줌 9
2-3 스타트로 2까진 쉬우니까 뭐 어릴때 공부안한 자신을 탓하는 수밖에없죠
납득할게 머잇어요 그냥 그런갑다 하는거지
생득적 인격을 주장한 사람은 칸트뿐이니 다른 사상가를 제외하고 보면 될거 같아요
단순히 '생득적 인격성'이라는 표현을 베카리아가 안 쓰기 때문에 틀렸다고 볼 수도 있지만, 베카리아 또한 그의 저서에서 인격에 대한 언급을 자주 합니다. 예를 들어 고문같은 경우는 인격을 무시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사형과 마찬가지로 금지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죠. 베카리아는 사형이 범죄자의 인격을 존중하지 않는 형벌이라고 보았기 때문에 틀린 선지라고 보는 것이 올바른 접근법 같습니다!
애초에 저문장이 사형이 시행된다는 걸 전제로 하고 있으니까 베카리아 입장은 아니지 읺나요?
생윤은 명확히 다른 철학자의 주장이고 그 철학자가 그런말한적 없으면 대부분 틀림. 오히려 상상해서 채워넣으니 문제가 생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