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146996
도덕적 책임을 질 수 있는 존재만이 도덕적 의무의 대상인가?
칸드가 동의할 선지인데 칸트는 동물에게 간접의무가 있다고 봤는데 왜 맞는 건지 궁금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얼?버기 0
샤워하고 독서실로
-
지금 던지면 평생 쳐다도 안 볼 거 같긴 한데 계속 끌고 가기엔 시간이 너무 뺏김..
-
시립대로 등기 보냈습니다.
-
92에서 100가는건 말고
-
12번부터 어어..? 하는게 그냥 풀다가 눈물날라그럼
-
오삐가 성공하면 깊을게
-
이거 맞말같음 난 기출 통합수능 이후만 보고 바로 엔제 벅벅으로 2등급정도실력...
-
수리논술
-
작년에 가천대 수리논술이 a~g형까지 있었는데 왜 기출문제엔 두개밖에 안올려주나요?
-
일반고 가능하냐? 좆반곤 아니고 갓반곤 더 아니고 난 내신 병신인데 건동홍은 간...
-
하루만 기다리면 수능이라니, 뭔 소리죠? 수능까진 62일이나 남았는데 내일이...
-
(당연히) 학폭 기록은 없음
-
N수는 정상적으로 해주는거임? 검.고생만 묻지마CC주나
-
서울대: 공부 자체를 좋아하고 잘 놀지도 않고 공부만 하는 천재 느낌. 이과는 교수...
어디 문제예요??
동물은 "주체로서" 도덕적 의무를 가질 수 없지만 칸트는 인간이 "주체로써" "객체인" 동물에 대한 간접적 의무를 가질 수 있다고 말한 것입니다. 도덕적 의무를 가지는 것은 인간밖에 없습니다. 주체와 객체를 혼동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도덕적 책임을 질 수 있는 존재만이 도덕적 의무의 대상인가? -> 틀렸습니다. 도덕적 의무'의' 대상이 아니라 도덕적 의무를 '가지는 대상' 입니다. 도덕적 의무를 가지는 것은 주체가 되는 것이고 도덕적 의무의 대상이 되는 것은 객체가 되는 것입니다. 이해 되시나용?
도덕적 의무=직접적 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