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문학황분들 도와주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146674
<보기>를 볼때는 정서,태도를 파악하라고 하시는데, 첫번째 사진
<보기>에서 빨간줄 부분이 정서와 태도가 나와있다고 하더군요.
제가 두번째사진에 빨간밑줄을 쳤는데 여기서 정서와 태도가 잘 나타나게 밑줄을 그었나요?
만약 아니면 피드백 부탁드립나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하사십어렵네요 0
1회 10문제중에 못건들거나 오래걸리는거 1~2개씩은 꼭 나오네요 실모풀때보다 체력...
-
시즌1 1회,2회 풀었는데 주관식은 22,30 빼고는 풀겠는데 공통 객관식이 너무 막힘
-
대성이랑 메가스터디 패스 끊을 예정인데 노베가 수학 독학 가능할까요?? 목표는 3등급입니다ㅜㅜ!
-
우우오뿌이 3
술이 너무 마시써♥︎
-
혹시 공통 풀 때 체감이 어떠셨나요? 23도 실모 어렵고, 실제 수능에서도 14...
-
그냥 맛보기로 함 풀어봤는데 지문이 넘 쉬운디..
-
제가 지금 고1이고 수능은 물지를 보고 싶어요. 제가 생명을 좀 못해서.. 학교에서...
-
존재할 수 있나요?
-
죄송합니다. 제 눈이 그렇다고 허네요.
-
작년이랑 겹치는 문항이 있을까요?
-
혹시 현역 고1분들 순공시간이랑 내신등급 좀 적고 가주시먄 안될까여 ㅠㅠ
-
문학 푸는방식 8
현대소설,고전소설은 를 먼저 보고, 의 선지를 본 다음에 지문을 보고 문제를 푼다고...
-
이미 될놈은 진작에 행복함 안될놈은 어짜피 안되고
-
배기범모 드가자 8
흐헤헤
-
일타강사가 꿈이라며, 메가스터디 가고싶다고 할수도 있는거 아님?
세속적 욕망을 ‘추구’, 요행을 바라는 태도에 대한 ‘경계’, 문제를 성실하게 해결하는 자세에 대한 ‘권면’ 제가 ‘_’한 부분이 태도죠! 글자 그대로 찾으려고 하면 찾는 의미가 없고 글쓴이의 시각을 글쓴이의 입장에서 찾으려고 하셔야 합니다! 아~ 이게 글쓴이의 생각, 추구, 관점이구나~ 하는식으로요
그리고 저였다면 현실에 대응하는 양상 -> 평가
이런식으로 관계 매기고 (평가 = 정서 태도)
-> 즉 여기를 쎄게 읽엇을거 같단 이야깁니다 일반화 하는 문장이니까
그 뒤에 구체화 되는 양상 (책임감 없는 삶 vs 노력하는 삶)은 각괄호 치고 긍정적 평가, 부정적 평가에 위에서 말한 ‘평가’랑 연결짓고 끝낼거 같네요
<보기> 부정적 상황에 대한 다른 태도가 나오네.
(가)는 세속적욕망? 그러면서 요행? 부정적태도가 작품에서 드러나겠네?
=> (가) 읽고 (가)에 대한 문제 해결
(나)는 이러한 상황을 잘 해결? 긍정적 태도가 드러나겠네?
=> 남은 문제들 해결
<보기>에서 대놓고 태도에 집중하라는 신호를 보냈기 때문에 주인공의 상황에 대한 인식과 태도, 즉 내면세계에 집중하고, 예측해가며 읽을 것 같습니다.
1.<보기>에서 (가) 앞에 있는 부분은 어떻게 이해해야 하죠?
2.만약 (가)를 읽고 지문을 볼때 어떻게 연결해서 읽어야 하나요?
마주한 현실에 대한 태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가)와 (나)에 이러한 태도에 대한 평가를 담았구나. 라고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저게 운문인지 산문인지 모르겠지만, 운문이면 이에 대한 사어가 등장 할 것이고, 산문이라면 상황이나 행동에 대한 서술이 등장하겠죠. 이걸 보면서 (가)는 ‘이러한 욕망에 +요행을 바란다고 했는데.. ’ 정도로 생각해볼 수도 있고 요행에 대한 내용이 나왔을 때 <보기>를 떠올려도 됩니다. <보기>는 해석에 주관적 개입을 막아주는 역할과, 인물의 내면세계에 공감하는데 윤활제 역할을 합니다.
(가)를 읽으실 때, 가지고 계시는 문학 읽는 태도 + <보기>에 대한 내용이 나오겠구나.. 예상하고 나왔을 때 반응만 해주면 됩니다. 자세한 해석은 선지가 모두 해두었을겁니다.
감사합니다!!
아아 그러면
<보기>는 깊게 파지않고, 가볍게 태도,정서 정도만 파악해주면 되나요?
+문학 지문은 1문단씩 끊어서 읽고 선지를 파악하나요?
<보기>가 중요해지고 있는 것은 부정할 수 없으나,
<보기>에 주객전도만 되지 않으면 됩니다.
이 작품은 A라는 상황이 나오고 주인공이 Z라는 행동/태도를 지니거나, X라는 생각을 하네? 정도만 생각하고 작품넘어서 객관적으로 읽어주면됩니다.
호볼호가 갈릴 수도 있는 방법인 것 같은데, 한 번 시도 해보셔도 좋을 방법입니다. 작품으로 가기전에 문제를 훑습니다.
예를 들어
Q1. 서술상의 특징
Q2. ㄱ와 ㄴ의 대한 설명
Q3. [A]에 대한 설명
Q4. <보기>
이렇게 있으면 Q1은 읽으면서 서술상특징 드러나면 바로 오셔서 체크
ㄱ,ㄴ이 단어 밑줄이 아니라 문장 밑줄이면 읽고 와서 바로 푸셔도 됩니다.
[A] 역시도 바로 읽고 선지 봅니다.
감사합니다!
인강ㅇ안듣나요
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