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문학 자작 문제(5000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141783
국어 관동별곡 자작 문항.pdf
오늘은 관동별곡 자작 문항으로 돌아왔습니다
주는 문제들이 없이,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들로 구성하여 각 문제에 대한 덕코를 많이 책정하였습니다
각 문항을 가장 먼저 맞히신 분께 드립니다
I. 2점 문항
32-1000 XDK
33-2000 XDK
II. 3점 문항
34-2000 XDK
행운을 빌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불쌍한
-
김승리 2
강민철 풀커리 중이였는데 아수라 OT보고 아수라 하기로 함. 약간 책마다 의미부여...
-
내놔
-
옯이괜한번열어야한다이거
-
누가 누굴 상대해 (워워) 아펠리오스 스킨의 주인 나는 (도현)
-
여기 있습니다 ㅎㅎ 다만 수능 시간표 그대로 하기엔 영 견적이 안나와서 국어 -...
-
커피를 마셔볼까 4
아침에는 커피지
-
ㄷㄷㄷ
-
우리 아파트에는 4
초 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라고 유성매직으로 A4용지에 써서 코팅한 다음 무려...
-
두렵다..마주하기 두려워..
-
준비하고 나가야겠다,, 흐아아 진짜 공부해야 하는데
-
어제 문제에 오류가 있어서 재업합니다! 추가적인 오류나 수정사항 있으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제사 끝 3
할아버지한테 작년에 수능좀 잘보게 해달라고 빌어봤는데 효과가 없었...
-
나락각은 뭔 ㅋㅋㅋㅋ 걍 나락 갔으면 좋겠다 이거 아니야
-
못한다 친척분들 오셔서
-
승리쌤 첨들어봐서 어떨지 궁금함 근데 책 시켰는데 본책도 안오고 총정리 1~3만 온거 실환가
-
즐추 4
되세용
-
의사보다 더그럼
-
상남자특 3
추석에도 빡공
-
공대가지마라 5
하...
32번에 5번
![](https://s3.orbi.kr/data/emoticons/dangi/035.png)
정답입니다! 1000덕 드리겠습니다!33번에 1번..?
![](https://s3.orbi.kr/data/emoticons/dangi/035.png)
정답입니다! 2000덕 드리겠습니다!34번에 3번인가요?
![](https://s3.orbi.kr/data/emoticons/dangi/035.png)
3문제 모두 맞히셨습니다 나머지 2000덕까지 드리겠습니다!![](https://s3.orbi.kr/data/emoticons/rabong/022.png)
감사합니다잘풀었습니다~!!!
문제 난도는 어떠셨나요?
기본적으로 선지가 길고 판단할게 많다보니
어려웠어요!
34번은 독서느낌의내용일치같고
32,33번은 소재의 의미,성격파악이 중요한거 같아요!
수능에 이런식으로 길게 나오지는않겠지만
답이 되는선지는 충분히 수능에 나올만한거같아요!
근거도 명확하고요
![](https://s3.orbi.kr/data/emoticons/almeng/004.png)
이렇게 열심히 풀어주시고, 또 좋은 평도 남겨주셔서 감사드립니다다음에도 또 좋은 문제로 뵙도록 할게요
각 문제 선지 논리 참고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33-2025학년도 9모 31번
34-2019학년도 6모 31번
저야말로 감사하죠
ebs연계 공부도 할수있고
여튼 다음에 또 좋은문제 올라오면
풀어볼게요!
마감
32.
⑤ ‘숑근’과 ‘공듕 옥소 소래’는 모두 꿈과 현실을 매개하며, ‘숑
근’을 통해 화자는 현실에서 꿈속으로, ‘공듕 옥소 소래’을 통
해 화자는 꿈속에서 현실로 향하게 된다. (O)
→ 작중 화자는 '숑근(소나무 뿌리)'을 베어 잠에 들은 뒤
이후 '공듕 옥소 소래(공중의 옥퉁소 소리)'를 듣고 잠에서 깨어남.
33.
① 고전 시가에서 화자의 임금에 대한 충정이 드러난다고 한 것
을 고려한다면, ‘샹운’과 ‘널구름’이 임금의 ‘근쳐의 머믈셰라’
는 임금이 간신들에게 방해받는 상황을 염려한 것으로 볼 수
있고, 이를 통해 화자의 우국지정이 드러난다고 볼 수 있겠군. (X)
→ '널구름'이 임금의 '근쳐의 머믈셰라'는 임금이
간신들에게 방해받는 상황을 염려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작중 '샹운'은 '널구름'과 달리 염려의 대상임을 확인할 수 없는 데다
'샹운'은 '상서로운(길한 징조의) 구름'을 뜻하므로 적절한 해석이 아님.
34.
③ 학생 3: ‘경포’호에서는 풍경에 대한 감상이, ‘강릉’에서는 강릉
사람들의 풍속을 감탄하는 데서 기행 가사의 성격이 드러나고,
정철이 그곳 사람들의 풍속을 모방하고 싶은 데서
정철의 관찰사로서의 포부가 드러나고 있습니다. (X)
→ '경포'호에서 풍경에 대한 감상이 드러난 것과
'강릉'에서 강릉 사람들의 풍속에 대해 감탄한 것에서
기행 가사의 성격이 드러난다고 볼 수 있으나
정철이 강릉 사람들의 풍속을 모방하고 싶어한다는
내용은 작품 내에서 확인할 수 없음.
![](https://s3.orbi.kr/data/emoticons/dangi/029.png)
Excell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