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탈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된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122325
왜 낙인론은 아닌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서울날씨 2
지방 촌구석에 있다가 추석특강 들을려고 왔는데 아니 대체 33도가 넘는데 길거리에...
-
얼버기 1
-
수능 최저(4합) 때문에 급하게 지구 노베 상태에서 2~3등급까지 올려야...
-
잡니다 0
다들 어서 주무세요
-
한국만 그런 줄 아는 저 정신 머리가 난 너무 웃긴다 걍 교양 있게 사회성 부족한...
-
옯만추 썰 0
시대 다니는 오르비언에게 서킷을 보여줌
-
맨유 0
맨뉴 ㄴ 첨가
-
고민중이라…
-
2025 6모: 비문학 3개, 문학 4/8 작품 연계 2025 9모: 비문학 3개,...
-
좋은 아침 5
같이 공부하러 갈 오뷰이 구함...
-
풍성하진 않고 맨들한 한가위
-
진짜하기 싫다....... 오랜만에 잠 ㅈㄴ 자고싶은데 할게 너무나도 많네요........
-
대한의사협회(의협) 비상대책위원회가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모은...
상호작용 -> 낙, 차
학습 -> 차
학습 = 일탈자행동/일탈가치관 수용
범죄자랑 어울랴도 일탈자행동,일탈가치관 수용하지 않나요
네 그래서
범죄자랑 어울림
= 일탈자행동,일탈가치관 수용
= 학습
-> 차교론
이라서 그게 그냥 차교론인데요
질문 포인트가 어딘지 모르겠어요 다시 질문해 주시면 더 이해 가게 설명드리겠습니다
======================
• 낙인이론: 본인이 일탈자라고 낙인찍혀서 부정적 자아 형성되고 일탈 행동 반복
-> 낙인을 찍는 ’상호작용‘ 발생
• 차교론: 일탈자랑 어울려서 일탈가치관 학습
-> 일탈자와 어울리는 ’상호작용‘ 발생
-> 일탈자로부터 일탈가치관을 받아들이는 ’학습‘ 발생
====================
따라서 ‘상호작용’이라는 용어는 낙인이론, 차교론 둘 다에 사용할 수 있지만
‘학습’이라는 말은 차교론에만 사용할 수 있음.
본문 제목에 쓰인 문장에는 ‘학습’이라는 용어가 포함돼 있으므로 이는 차교론만을 설명하는 문장임.
낙인은 부정적 자아의 형성이라고 봄
‘학습된다‘는 말 때문에 낙인은 안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