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문학에서도 이 방법이 맞는거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084727

김상훈 문학 그릿 첫부분에 이렇게 써있는데
좀 뻔한 질문이지만 독서도 이렇게 선지를 여러개로 쪼개서 보는 게 좋은 방법이죠??
국어황분들의 답변 기다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그래? 알엔디 한번 삭감했더니 문과에 인재들이 몰리네!
-
쭉 동욱쌤커리 탔습니다. 계속하다보면 늘겠지라는 생각 + 강사는 왠만해선 안바꾸는게...
-
수학만 2
작수 16321 이고 수학때문에 삼수 중인데 개념보단 문제풀이양이 부족해서 점수가...
-
누가 공부 잘 했다고 생각하시나요?
-
불수능 제발 내줘 오히려 좋아 이런소리 하는 사람들 실제로 불수능 나오면 수능끝나고...
-
한능검 공부하면 2
수능 한국사 만점 가능한가요?
-
여권용 증명사진 2장, 신분증, 응시료(결제방법은 응시처문의) 준비해서 서둘러 접수하십쇼
-
사탐런 소신발언 9
본인포함 사탐런한사람들은 진작에 수능끝나고 각재고있었거나 진짜 늦어도 6모에는...
-
그때까지 국어 뭐 해야할까..
-
안 한 지 너무 오래됐나
-
얼마나 축소됨?
-
이거 원래 중대 문과랑 건대 이과랑 겹치는 거임? 아님 중대가 후한 거임? 내...
-
1. 수능 때 국어가 어렵게 나올 거 같아서 훈련해보고 싶은데 기출말고 어려운 국어...
-
ㄷㄷㄷ
거시적으로 봐서 판단 되면 넘기고 안되면 그때 미시적으로 보긴 합니다. 쪼개서 봐야 좋을 때가 있는거 같긴 해요.
저도 전체적으로 보고 안되면 쪼개서 봐요
순차적으로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선지를 모두 세세히 찢어서 풀면, 정확도는 올라가겠지만 그에 수반하는 시간이 꽤 많습니다.
독서의 경우에도 문학의 경우에도
'정답 찾기(모든 선지 판단x 판단 가능한 것 먼저) -> 못고를 시 용의자 선지 찢어서 판단하기
과정이 중요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