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독서 15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068729
(나) 본문
영화는 촬영과 편집 과정에서 특정한 의도에 따라 선택과 배제가 이루어지지만, 관객은 제작 과정에서 무엇이 배제되었는지 알 수 없다. 관객은 자신이 현실 세계를 보고 있다고 믿지만, 사실은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세계를 보고 있다는 것이 정신분석학적 영화 이론가들의 주장이다.
15번 ㄱ(관객이 영화에서 느끼는 현실감은 상상적인 것이며 환영이다.)의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1번선지가 맞는건 읽어보니 알겠는데
3번
영화가 현실을 불연속적으로 파편화하여 드러내기 때문이다.
위에 적은 본문이랑 완전히 부합하는 선지 아닌가요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걍 다 귀찮다 2
국어 맨날 아침에 일어나서 기출 돌렸는데 오늘은 유독 귀찮아서 못했네 점심 먹고...
-
국어 시간부족 2
어제 같은 쉬운 난이도에서도 독서 2지문 (블록버스터 지문, 예술 지문)을 시간...
-
이번 9모 기준 국어 91점 수학 76점이 나왔습니다 국어는 화작에서 -3 블록체인...
-
9모 쉽다고 공부 덜하고 그렇게 멍청하진 않을거같은데..
-
대성 버퍼링 2
진짜 ㄱ개빡침 3초에 한번씩 버퍼링 걸리는데 인강 어케보라는거냐 메가 대성 이투스...
-
영어 77점 2
뭘 해야 할까요.. 도와주세요 제발..
-
ㅈㄱㄴ
-
걍 지금까지 슬럼프 안오다가 갑자기 존나 공부하기 싫어지고..기분 좆같아짐
-
9평 46점이긴한데 한 5-6문제정도 선지 확실히 모르겠어서 그냥둘중에 더...
-
으아... 또 바빠지기 시작일듯...
-
omr엔 뭐라고 적었을까...
-
오히려 수능은 그냥 평이 무미건조 그 자체로 낼수도 있을듯
-
6평 62–>88
-
영어공부해도 현역때부터 본 영어 모의고사 고2때 한번 1 받고 나머지는 전부 3 진짜 어케해야하지
-
수능접수 포기 2
재미삼아서 하기에는 일정이 안나옴
-
동사 48 휴~ 5
수특에서 한국 조약은 별로 안 다루길래 난징 베이징 사이공 미일 화친/수호 통상...
-
다 터진 거 올해는 투가 표본 꿀임
-
https://orbi.kr/00065829761 ㅅㅂ 지구 나름 출제일도...
-
자꾸 저래서 "않은" 붙은거 엄청 의식해서 풀었는데 화작에서 붙지도않은거를 않은...
-
국어 이감 상상 1
이감 하반기패키지랑 상상 파이널 패키지 샀는데 이감 파이널 따로 안 사도 되겠죠?...
가 내용이잖슴. 파편화한다는게 명시적으로 들어나지는 않았던 것 같은데 나에서
말이 달라지긴 했어도 선택 배제면 파편화 아닌가요..
ㄴㄴ 불연속적으로 파편화한다고 범위를 좁혔잖슴 나에선 그런말없음. 가내용임
근데 불연속적 파편화랑 파편화랑 다른게 없지않나요? 이미 멀쩡히 연속적이던 현실을 선택배제해버리면 불연속적일수밖에없ㄴ느데
ㄴㄴ 이해다시하셈 귀찮
불연속적으로
제가 넣은 본문 내용에서요
범위 파악을 못하신것같은데 포함관계
현실이 아니다 vs 현실을 파편화해서 보여준다.
저는 이렇게 생각해서 거르긴 했는데 잘 모르겟긴함.
그게 관객이 느끼는 이유는아니죠 말그대로 관객은 그걸모르니까
ㄱ 내용도 관객은 현실감을 느끼지만
까고보면 그건 상상적인 거고 비현실이다 이말이잖음
말을잘못했네 불연속적으로 파편화하는건 몽타주기법임
몽타주 기법이든 뭐든 본문 내용이랑 똑같이 읽히는데 ..
안똑같음..그건 가의 이미지를믿는감독에대한내용임
아니 가지문 내용이 들어온건 알겠는데
가 지문 내용이라도 나랑 말하는 바가 같잖음..
이미지를 믿는 감독도 결국
현실을 믿는 감독 (현실을 한번의 롱 테이크로 연속적으로 보여줌) 과 대비되게
그걸 편집해서 불연속적으로 보여준다는거잖음
올려놓은 나 본문이랑 다른게 뭐임..?
편집=현실을 파편적으로가아님 롱테이크도 한개의 숏이 긴것일뿐이지 편집이들어감
애초에 가는 연출에따른 감독유형 두가지 구분이고 나는 모든영화에 대해 적용되는지문임 결론은 나엔 영화가파편화시킨다는언급이 없음
영화가현실을 파편화시키는 이유는 선택과배제가아니라 몽타주기법때문이라는거
'인위적으로 만들어 졌다'를 지지하는 내용이 '선택과 배재' 였습니다.
관객은 결국 '무엇이 배제되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지문에 나와있음)입니다.
주장끼리의 대립을 정리할 때에는 어느 근거가 어느 주장을 뒷받침하는지 파악해야 합니다.
또한 '현실 처럼 느낀다'의 근거는 '영화 장치'라고 서술되어있습니다.
현실 처럼 느낀다 (영화장치) = 현실 세계를 보고 있다고 느낀다 (선택, 배제)
라고 생각해서 ㄱ현실감은 둘다 맞다고 보는데 그럼
ㄱ..상상적인 것이며 환영이다
에서 상상, 환영 =/= 인위적 (선택, 배제)
라고 생각해야되나요
현실로 느낀다 - 영화 장치 덕분
선택과 배제는 - 관객이 알지 못하기 때문에 현실로 느끼고 말고 할 것이 없다.
이 느낌이 더욱 정확합니다.
본문에서 현실로 느낀다고 언급했는데..
**현실 세계를 보고 있다고 믿는다고
"또한 영화는 촬영과 편집 과정에서 특정한 의도에 따라 선택과 배제가 이루어지지만, 관객은 제작 과정에서 무엇이 배제되었는지 알 수 없다. 관객은 자신이 현실 세계를 보고 있다고 믿지만, 사실은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세계를 보고 있다는 것이 정신어쩌고주장이다."
선택과 배제는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세계'를 뒷받침합니다.
현실 세계를 보고 있다고 믿는 것은 '영화 장치' 때문이라고 서술되었습니다 ㅠㅠ
긁어온 부분만봐도 영화가 현실이 아닌 인위적인 세계라고 써있는데 현실을 어떻게 드러내죠
불연속은 영화 중 '이미지를 믿는 영화'의 속성임. (나)에서는 영화전체의 특성을 말하고 있기 때문에 불연속적이다라고 해버리면 '현실을 믿는 영화'는 해당이 안된다는 말이 돼버림
좋은 서술범주파악 이게 맞아요ㅎㅎㅎ
이미지도 결국에 현실을 짧게 보여주는거 아닌가요 ?
마치 포유류의 특성을 얘기해야하는데 포유류 중 일부인 인간을 예시로 들어 '모든 포유류는 직립보행을 한다'라고 하면 틀린 것처럼
ㄱ은 1문단에 있는 거 얘기하고 있잖아요
ㄱ에서 말하는 현실감이 상상과 환영이란 얘기는 영화를 볼 때 존재하지 않는 대상을 보고 지금 여기 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상상적 작업을 하고 있는 것이고 그래서 영화가 몽상이라고 얘기하고 있고
2문단에서 말하는 것은 현실감이 아니라 현실을 보고 있다고 믿는 것에 대해 얘기하고 있는거고 지문은 현실감이랑 현실을 구분해서 아예 다른 문단에 배치해서 얘기하고 있는데 2문단 얘기를 1문단으로 끌고와서 보니까 당연히 틀린것이구요
좀 더 쉽게 설명하자면 '현실감'은 공포영화를 볼 때 화면에서 귀신이 나올 때 영화란 걸 아는 나도 같이 놀라는 것이고
'현실'을 본다고 생각하는 것은 나 혼자 산다 같은 것을 볼 때 진짜 저렇게 사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