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독서 15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068729
(나) 본문
영화는 촬영과 편집 과정에서 특정한 의도에 따라 선택과 배제가 이루어지지만, 관객은 제작 과정에서 무엇이 배제되었는지 알 수 없다. 관객은 자신이 현실 세계를 보고 있다고 믿지만, 사실은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세계를 보고 있다는 것이 정신분석학적 영화 이론가들의 주장이다.
15번 ㄱ(관객이 영화에서 느끼는 현실감은 상상적인 것이며 환영이다.)의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1번선지가 맞는건 읽어보니 알겠는데
3번
영화가 현실을 불연속적으로 파편화하여 드러내기 때문이다.
위에 적은 본문이랑 완전히 부합하는 선지 아닌가요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쉬워요..
-
아주대 미래모빌리티 경북대 인공지능 쓸려고 하는데 괜찮나요??ㅠㅠ 마지막은 3학년...
-
물2컨 샀다리 5
기범비급,일당백,두날개 샀다 배기범모까지 살려했는데 강좌강매더라구요......
-
얼버기 1일차 1
빡공 ㄱㄱ혓(5시에기상)
-
경제/법은 민법에 경제한스푼 섞어서 or 오버슈팅 느낌의 소재 기술은 반도체관련...
-
제 주사가 5
필름끊길때까지 마시고 아무말하는거래요
-
의대증원 25수능임 수능판 역사에 남을 대혼란이라 본다
-
몇년간 유기중이라 슬슬 나올때 된거같은데 이 유형 일단 저 유형은 일단 나왔다하면 신유형일텐데
-
수시카드 대충 정했다 11
-
가격은 대충 회당 4500원? (수요있으면 3000원?) 보니까 고3이 자습시간에...
-
ㅁ 6
ㅇ
-
짧다 라고하면 zarb da라고 발음해요..
-
국가가 아니면 관습법, 법의 일반원칙에 영향 안 받나요? 0
조약 체결은 가능한데
-
졸려서 자러가요
-
피드백 vs 그릿 독서기준 물론 강의는 안들어요 답지나 지문퀄 생각했을때 뭐가 좋나요?
-
이번에 9모 찍맞 포함 3 나온거라 안정 3으로 만들고싶은데 주제 제목 요지 주장을...
-
강k, 서바, 스러너만 풀었는데 셋다 보통 88~92정도라 생각하시면 될거같아요...
-
너른터입니다. 2024년 9월 고1 영어모의고사 지문분석본을 무료배포합니다. 9월...
-
총정리 과제 도착했는데 앱키마 3 거의 다 끝나가고.. 들어보니 아수라 강의 시간이...
-
댓글이 없다고..?
가 내용이잖슴. 파편화한다는게 명시적으로 들어나지는 않았던 것 같은데 나에서
말이 달라지긴 했어도 선택 배제면 파편화 아닌가요..
ㄴㄴ 불연속적으로 파편화한다고 범위를 좁혔잖슴 나에선 그런말없음. 가내용임
근데 불연속적 파편화랑 파편화랑 다른게 없지않나요? 이미 멀쩡히 연속적이던 현실을 선택배제해버리면 불연속적일수밖에없ㄴ느데
ㄴㄴ 이해다시하셈 귀찮
불연속적으로
제가 넣은 본문 내용에서요
범위 파악을 못하신것같은데 포함관계
현실이 아니다 vs 현실을 파편화해서 보여준다.
저는 이렇게 생각해서 거르긴 했는데 잘 모르겟긴함.
그게 관객이 느끼는 이유는아니죠 말그대로 관객은 그걸모르니까
ㄱ 내용도 관객은 현실감을 느끼지만
까고보면 그건 상상적인 거고 비현실이다 이말이잖음
말을잘못했네 불연속적으로 파편화하는건 몽타주기법임
몽타주 기법이든 뭐든 본문 내용이랑 똑같이 읽히는데 ..
안똑같음..그건 가의 이미지를믿는감독에대한내용임
아니 가지문 내용이 들어온건 알겠는데
가 지문 내용이라도 나랑 말하는 바가 같잖음..
이미지를 믿는 감독도 결국
현실을 믿는 감독 (현실을 한번의 롱 테이크로 연속적으로 보여줌) 과 대비되게
그걸 편집해서 불연속적으로 보여준다는거잖음
올려놓은 나 본문이랑 다른게 뭐임..?
편집=현실을 파편적으로가아님 롱테이크도 한개의 숏이 긴것일뿐이지 편집이들어감
애초에 가는 연출에따른 감독유형 두가지 구분이고 나는 모든영화에 대해 적용되는지문임 결론은 나엔 영화가파편화시킨다는언급이 없음
영화가현실을 파편화시키는 이유는 선택과배제가아니라 몽타주기법때문이라는거
'인위적으로 만들어 졌다'를 지지하는 내용이 '선택과 배재' 였습니다.
관객은 결국 '무엇이 배제되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지문에 나와있음)입니다.
주장끼리의 대립을 정리할 때에는 어느 근거가 어느 주장을 뒷받침하는지 파악해야 합니다.
또한 '현실 처럼 느낀다'의 근거는 '영화 장치'라고 서술되어있습니다.
현실 처럼 느낀다 (영화장치) = 현실 세계를 보고 있다고 느낀다 (선택, 배제)
라고 생각해서 ㄱ현실감은 둘다 맞다고 보는데 그럼
ㄱ..상상적인 것이며 환영이다
에서 상상, 환영 =/= 인위적 (선택, 배제)
라고 생각해야되나요
현실로 느낀다 - 영화 장치 덕분
선택과 배제는 - 관객이 알지 못하기 때문에 현실로 느끼고 말고 할 것이 없다.
이 느낌이 더욱 정확합니다.
본문에서 현실로 느낀다고 언급했는데..
**현실 세계를 보고 있다고 믿는다고
"또한 영화는 촬영과 편집 과정에서 특정한 의도에 따라 선택과 배제가 이루어지지만, 관객은 제작 과정에서 무엇이 배제되었는지 알 수 없다. 관객은 자신이 현실 세계를 보고 있다고 믿지만, 사실은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세계를 보고 있다는 것이 정신어쩌고주장이다."
선택과 배제는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세계'를 뒷받침합니다.
현실 세계를 보고 있다고 믿는 것은 '영화 장치' 때문이라고 서술되었습니다 ㅠㅠ
긁어온 부분만봐도 영화가 현실이 아닌 인위적인 세계라고 써있는데 현실을 어떻게 드러내죠
불연속은 영화 중 '이미지를 믿는 영화'의 속성임. (나)에서는 영화전체의 특성을 말하고 있기 때문에 불연속적이다라고 해버리면 '현실을 믿는 영화'는 해당이 안된다는 말이 돼버림
좋은 서술범주파악 이게 맞아요ㅎㅎㅎ
이미지도 결국에 현실을 짧게 보여주는거 아닌가요 ?
마치 포유류의 특성을 얘기해야하는데 포유류 중 일부인 인간을 예시로 들어 '모든 포유류는 직립보행을 한다'라고 하면 틀린 것처럼
ㄱ은 1문단에 있는 거 얘기하고 있잖아요
ㄱ에서 말하는 현실감이 상상과 환영이란 얘기는 영화를 볼 때 존재하지 않는 대상을 보고 지금 여기 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상상적 작업을 하고 있는 것이고 그래서 영화가 몽상이라고 얘기하고 있고
2문단에서 말하는 것은 현실감이 아니라 현실을 보고 있다고 믿는 것에 대해 얘기하고 있는거고 지문은 현실감이랑 현실을 구분해서 아예 다른 문단에 배치해서 얘기하고 있는데 2문단 얘기를 1문단으로 끌고와서 보니까 당연히 틀린것이구요
좀 더 쉽게 설명하자면 '현실감'은 공포영화를 볼 때 화면에서 귀신이 나올 때 영화란 걸 아는 나도 같이 놀라는 것이고
'현실'을 본다고 생각하는 것은 나 혼자 산다 같은 것을 볼 때 진짜 저렇게 사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