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 칼럼] 그냥 다 해줬잖아 - (가)지문 분석과 24번 풀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067802
현대시 개론.pdf
직접만들었습니다...
반갑습니다 고려대 국어국문과 과외 팀 Team. KUKLL 입니다.
이번 수능 현대시에 대한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24번이 이상하다.'
같은 의견이 많습니다.
그래서 9평을 배경으로 한 현대시의 기본적 독해법과 문제 푸는 법에 대한 칼럼을 준비 했습니다.
I. <보기> 기준으로 독해해야합니다.
문학이란 다양한 해석과 감상이 허용되는 장르입니다. 저희 전공에서도 그렇게 가르치구요.
하지만 수능은 객관식으로, 답이 정해져 있는 시험입니다.
※그렇기에 평가원은 해석의 범위를 어느정도 정해주는 과정을 이행합니다.
그리고 그것이 <보기>입니다.
<보기>에 대한 분석은
작품의 주요 소재, 주제, 화자의 상황, 태도에 대한 정보를,
그러한 대상들에 대한 정서를 +와 –로 나누어 판단합니다.
(나)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대상'인 물고기를 통해 유년 시절 생가를 회상하고, 자신을 투영합니다.
또한 그에 대해서 '시린'이라는 –의 정서를 가지고 있다고 해석하시면 됩니다.
그럼 이제 지문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 알아봅시다.
II. 정서 위주의 지문 독해법
'시'는 해석의 대상이 아닙니다. 시를 읽는 것은 언제나 <보기>에서 얻은 기준을 바탕으로, 또한 명백한 '서술'을 바탕으로 정서를 나누어 정리하는 과정입니다. 또한 제목과 작가에서도 이러한 준거들이나 대상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대상과 기준을 바탕으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아닌
대상에 대한 화자의 긍/부정만 판단하며 읽는 것입니다.
(가)의 경우엔 <보기>가 제시되지 않았습니다. 물론 연계이긴 하지만.. ㅎㅎ
그렇다면, 명백한 감정 서술과 제목, 작가를 기준으로 읽어 나가면 되겠습니다. 그럼 이제 읽어봅시다
내용을 이해하려하면 안됩니다, 마찬가지로 구체적 정서를 파악해서도 안됩니다.
이분법적인 정서로 이해해나가야 합니다..
우선 화자는 떠났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어떤 것들을 배반하고 속이고 떠났습니다.
-의 상황이구나 하고 다음 연 읽으면 됩니다.
떠날 당시의 정서를 서술하고 있습니다. 명백한 정서이기에 본격적으로 긍정, 부정 판단을 하면 되겠습니다.
ㄴ, ㄷ 모두 슬프단 말이고 화자는 잊지 않았다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의 상황으로 이해하고 넘어가면 되겠습니다.
'그때'라는 서술로 앞선 상황과 같이 –라고 간주하고 읽어 나가면 됩니다.
마찬가지로 뭉뚱그려 화자에게 –인 상항이구나~ 정도로 해석하면 되겠습니다.
또한, 표면적으로는 +인 상황처럼 보이지만 연을 마무리하는 단계에서 윗 구절이 모두 '부끄럽다'라고 깨달았기 때문에 윗 부분은 모두 –로 변화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이 옳습니다.
그냥 시간의 흐름입니다. 정서 판단이 안되니 넘어가시면 됩니다. 해석할 필요 없습니다.
슬픔과 시련이란 명백한 부정 단어에 쫓긴 것이니 ㅁ은 -로 판단하면 됩니다.
하지만 –에 쫒겨 도착한 곳은 –인지 +인지 판단할 수 없기에 해석해야 합니다 << 절대 이러시면 안됩니다. 무조건 넘어가야 합니다.
아마 글을 해석하시는 분은 화자가 돌아간 곳이 고향이기 때문에 화자의 지향점이라 어림짐작할텐데, 아직 알 수 없는 상황이므로 유추는 절대 금지입니다.
대놓고 -인 상황입니다 그렇기에 '태반' 또한 -인 장소라고 여기서 확정할 수 있습니다.
우선 (가)의 단독 문제인 24번을 풀어보겠습니다.
-> 당연한 선지입니다. 절대 고르면 안됩니다.
-> 자연물들이 의인화 되었고, 슬픔을 표현하고 있기에 적절합니다. 시의 전반적 정서가 –이기 때문에, -를 함의한 '화자가...드러내고 있다.'는 맞는 서술입니다.
->~것도, ~것도 이기에 유사한 통사구조는 옳습니다. 뒤의 서술도 잊지 않았다는 명백한 '사실'이 있기에 틀리지 않았습니다.
->
반복 변주는 적절한 서술입니다. 뒤의 상반된 상황/ 시간의 추이에 따라/ 일치되는 과정은
상반된 상황은 적절하고 시간의 추이까지도 적절합니다.
하지만 일치되는 과정이라 볼 수 없습니다.
ㄹ에서 화자는 슬픔과 시름이 없는 상황
ㅁ은 화자는 슬픔과 시름에 쫓기는 상황
정서는 -로 동일하지만, 두 상황이 종합되지 않기에 '사실 관계'에서 틀린 선지입니다.
-> '태반'에 대한 정서가 –로 확정된 구절이기에 적절한 선지입니다.
이렇게 '정서' 위주의 현대시 풀이법과 독해법을 살펴봤습니다.
학습에 참고하여 많은 도움 받으시길 바랍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10년 넘게 봤는데
-
괜찮은 친구가 있었으면 너무 이기적인가
-
10개월 드립은 ㅅㅂ ㅋㅋㅋ 댓글도 걍 ㅋㅋ
-
live.tiktok.com/Dahee 지금 라방중인데 수위ㅁㅊ
-
사람으로써 3등급 남자로써 4-5등급 이상이 되는게 목표임 2
사람으로서는 성격 인성 이런거 인간적인 부분 종합 남자로써는 외모든 성격이든...
-
좋은 신호인듯
-
익숙한듯생소하노
-
그런 거까지 다 말할 만한 친구가 없어서 넘 외로움..
-
귀여워 1
갖고싶어
-
.
-
학생은 영어내신 6이었다가 1달 내신달달암기과외로 이번에 4로 올렸습니다 방학때...
-
귀하지 않다 귀치 않다 귀찮다
-
수기 작성은 씨발 뭔 개소리야...
-
다음부턴 보고서를 밀리지 않겠습니다... 아...
-
하루에 엑셀 몇회차 정도 푸심??
-
live.tiktok.com/Dahee 지금 라방중인데 수위ㅁㅊ
-
글 쓰기 귀찮 1
아
-
생활패턴 조졌네 10
요즘 취침 시간 7 to 15
-
이미지 써주고 잘게 12
40분까지만.
-
돈이필요하다
-
그거 머임? 누가 가르쳐줌? 이것도 어둠의스킬 그런거임?
-
지금 깼네 ㅅ22ㅂ
-
오 떴다 2
와 별로 한것도 없는것같은데 벌써 이 시즌이네... 진학사 조만간 사야지
-
이거 답 뭐임 1
-
아 미친 더프 신청한거 깜빡하고 알바면접 수요일로 잡아버림;; 0
국수영만 보고 탐구 시험지 받아가지고 나올수 잇슴…? 면접 4시라;;
-
잠이 안 오네
-
6시반에 어케 일어나지
-
모썩철썩
-
외로운 밤이구나 2
오르비언들 쪽지줘 진짜하지 말고
-
사람이 제일 무서운 존재라는 것을 알게 됐을 때..
-
삼전 올라라 1
내일 6.5까지 LG도 8.5까지만 올라다오
-
새르비 슴슴하네 8
월요일이라 그런가
-
live.tiktok.com/Dahee 지금 라방중인데 수위ㅁㅊ
-
결국 돈이거든요 14
돈이 문제라는거에요
-
정말 간절합니다 ㅠㅜ 내공 100덬 드려요 ㅠ
-
국어 3,4등급이면 문학,화작부터 마스터해야함? 이럴 때 뭐해야함
-
작수 54244(언미사문지구) 3덮 32262(사탐번호 마킹...
-
2있으면 바로 나락임? 이거 6모인데.. 이걸로 설수리 쓰면 적정은 아니고 소신? 쯤 되나요?
-
그 이차함수로 쓰는거 내신용으로 좀 다뤄봄. 이게 다른사람들이 어디까지 알고...
-
논리실증주의자는 예측이 맞을 경우에, 포퍼는 예측이 틀리지 않는 한, 2
논리싫증주의자는 관심이 없다
-
잠이 안와요 0
잠이 안오네요
-
길 가면서 생각나고 밥 먹으면서 생각나고 자기 전에도 생각나는데 날 때마다 화가 남...
-
으루아레아ㅣ 아ㅜㅜ너ㅏ이거ㅓㅟ아헤ㅏ루ㅏㅣㅏ 개ㅏ러ㅓㅣ종네어처수ㅢ...
-
10시간을 넘게 자료조사하고 쓰고 고치고 쓰고 고치고 쓰고 고치고 쓰고 고치고 하는...
-
수학 공부 3
지금 강윤구 커리타면 어디부터 시작해야하나요? 김기현T아이디어하는중인데 시력이...
-
내가 한 노력은 어딜 가나 10%안에 들고 말 테니까 7
열심히 살겠습니다 내일부터 다시 골고루 공부함
-
다연애하네 2
운지하러감
만약에 이기지 못할을 지우고 그냥 슬픔도 없이 이랫어도 2번이 맞나요??
2번이 맞냐는 말이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만약 '이기지 못할'이란 서술이 없었어도 정답이 아니냐? 라는 말씀이신가요?
넵 맞습니다 좀 날려 적엇네요 죄송합니다 ㅠㅠ
이기지 못할은 단순 수식어기 때문에 선지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근거로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2번이 적절한 이유는 글에도 서술되어 있듯이, 의인화된 자연물이 등장함/북방을 떠나는 상황도 제시됨/내가 자연물들의 슬픔을 잊지 않음=화자가 슬픔을 느낌/ 판단해야 할 부분들이 모두 적절하고, 이 세 구절이 연결성이 깊기 때문에 맞는 선지가 됩니다.
조금 더 개념적인 이야기를 해보자면 자작나무, 이깔나무는 화자의 감정 이입의 대상이기 때문에 자연물들이 느끼는 정서와 화자가 느끼는 정서는 동일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나무는 정서를 느낄 수 없으니까요!
두상황이 종합되지 않는 근거가 뭔가요? 글고 ㄴ은 새름도 없이를 보고 화자의 슬픔이 아니다라고 하면 안되는이유는 뭔가요?
종합되지 않는 근거는 본문에 서술되어있습니다.
ㄴ의 새름도 없이는 무슨말인지 모르겠습니다
새름 오타에요 시름도 없이라고 시에 하단에 나와있어요. 종합되지 않는 근거가 두 상황약간 다르면 안되는건가요? - 로 결은 걑은데요?
정서를 기준으러 풀리는 문제가 많은 것은 맞으나, 사실관계를 물어보는 요즘 기조 상 여러 부분에서 판단해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째쩨한 평가원은 저희도 모두 아쉽다고 생각핮니다 ... 모쪼록 건승을 바랍니닷!!
종합되지 않는 근거가 두 상황약간 다르면 안되는건가요? 이분법적으로 크게보면 - 로 결은 걑은데요?
글에 -로 변화했다고 썼는데 달리 말하면 변화하기 전에는 +였다는 뜻 아닌가요? 2번 선지는 떠날 당시에 어떤 감정을 느꼈는가를 물어보는 것이지 떠나는 것에 대한 이후의 판단에 대해서는 물어보고 있지 않은데 글의 논리대로면 2번을 틀렸다고 판단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
떠나면서 슬프다고 서술되어있습니다.
떠나는 과정과 멀리 떠나서 지낸동안의 정서는 분리 할 필요성 또한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시는 '해석하려 들면' 안됩니다.
애시당초 보기가 없는 시이기 때문입니다.
떠날 때에도 "게을리"와 같은 표현이 있는데 이건 슬픔과는 거리가 멀어 보이네요 또한 부끄러움을 알지 못했다는 부분도 슬픔과는 반대되는 내용이고요
부끄러움을 알지 못한 상황=부정적인 상황
슬픔=부정적인 상황
반대되는 내용 아닙니다
단순히 둘 다 부정적이라고 해서 같은 감정인 것은 아니죠. 부끄러움을 알지 못하는 것이 부정적이라고 판단한 것은 현재의 화자고 그 당시의 화자에게는 그것이 전혀 부정적이지 않았습니다. 애초에 모르는 것이기에 긍정적일 수도 부정적일 수도 없죠.
반대되는 내용이 아니다의 역은 같은 내용이란 말은 아닙니다 ㅎㅎ
정서를 크게 나누면 최종적으로 이분법이 나온다는 주장인데 이것을 부정하시면 더 이상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ㅠㅠ
나무들이 슬퍼하던 것을 기억하는 것을 화자가 슬프다고 "해석하려" 하는 것도 문제가 있지 않나요
감정이입은 고등학교 1학년 수준의 개념입니다~ 나무 자체는 슬픔을 느낄 수 없기 때문에 슬픔이라는 정서가 화자에게서 촉발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은 '해석'이 아닙니다!
슬픔이 화자에게서 촉발되었다는 사실은 자명하지만 그것이 현재의 화자에게서 촉발되었는지 아니면 떠나던 당시의 화자에게서 촉발되었는지는 알 수 없죠. 부끄러움을 알지 못했다 와 같은 구절을 참고한다면 슬픔도 그 당시의 화자가 아닌 부끄러움을 알게 된 이후의 화자가 느끼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해 보입니다
그런 식의 허용가능성을 넓히다보면 모든 선지가 타당합니다ㅠㅠ 과거의 화자 현재의 화자 모두 부정의 정서를 가집니다.
물론 3연의 부끄러움을 느끼기 전의 화자의 정서는 긍정이 맞습니다만,,,현재의 화자는 그것을 부끄럽다고 하고 있으므로 거시적으로 시상은 전체가 부정입니다
네 분명 부끄러움을 느끼기 전 화자의 정서는 긍정이죠 그렇다면 부끄러움을 느끼기 전 화자의 정서가 부정적이라고 말한 2번 선지는 틀린 거네요
떠나기 전과 떠난 후의 곳에서의 상황을 분리하시길 바랍니다. 더이상 답변 하지 않겠습니다. 평가원의 답지와 기싸움하는 행위는 앞으로의 공부에서도 긍정적인 방향으로 작용하진 않을 것 같습니다. 모쪼록 오답에 대한 방향성을 잘 얻어 대입 잘 마무리 하길 바랍니다.
심찬우 오열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