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년 9월 고전산문(문의당기) 문항 풀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989480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6번
1. 마지막 문단 보면 물 가운데에 산다는 새로운 인식이 나오고, 중간에 지도 보고 깨닫고 있습니다. 이건 누가 봐도 맞아요.
2. 배를 집으로 삼건, 집에서 살건 둘 다 근본적으로 물 위에서 살기에 유사하다는 것이 b의 주장의 요지인데, 선지에 의하면 거기서 a의 상황이 어디에 가까운지 b가 굳이 나누고 있다고 서술합니다.
그런데..
저 두 상황 사이 거리를 따진다면 b의 입장에서 두 상황이 다르다는 걸 전제로 해야 하는데, 그 순간 글 전체 주장을 부정하게 되므로 절대 'a가 xx보다 xx에 가깝다'는 사고를 지닐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
(처음에는 문장이 좀 딱딱해서 날려읽으면 그려러니 하겠지만, 해석해본다면 무언가 어색한 티가 납니다. 현장에서는 당연히 보기 힘들지만... 그리고 문학에서 이렇게까지 복잡한 오답근거라니.. 솔직히 출제진의 뇌절이 아니였나 싶습니다. 작수가 더하지만요.)
3. 지문 내용 복사 붙이기입니다.
다만 선지 표현이 좀 극단적(모든)인 감이 있고, 따라서 감에 의존한 풀이가 주력이였다면 현장에서는 안보였을수도 있을 겁니다.
(그러더라도 논리적으로는 전혀 틀린 바 없어서 오류니 뭐니 시비걸 건덕지는 없고요..)
4. 지문에 의하면 섬 가운데 사는 것이 물에 산다는 생각 자체는 b와 '사람들'의 공통된 의견입니다.
그게 'b가 a 의견을 타당하다고 보는' 이유인지가 관건인데, 이 역시 b의 편지 첫문단 마지막 문장을 보면 저게 b의 의견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기에 허용 가능한 선지입니다.
(사실 저게 딱 이유라고 100% 확신할 근거는 따로 없는터라 얘도 현장에서 오답으로 쳐내기는 꽤 까다로웠을 겁니다. 저도 마지막까지 고민했던걸로 기억해요.)
5. 물을 보지 못하더라도 물 위에 살고 있다는 것이 요지입니다.
이에 맞춰 볼 때, '물과 더불어' 사는 사람은 그 설명을 위한 일종의 예시로 제시한 것이며, 'a도 물에 산다'는 의견은 이를 적용할 때의 결론이므로 둘 다 '물을 보지 못할 때가 있다'를 사실로 전제합니다.
관건은 b가 명시적으로 '유사하게 생각했느냐'(=사실일치)인데, 사실 지문에 그걸 설명한 부분이 없습니다.
따라서 명확하게 정오를 판단할 수 없으며, 일단은 허용가능하다는 것에 의존해 오답으로 놓고, 2번을 면밀히 살펴 정답으로 푸는 방법밖에 없었을 겁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7번
1/2. 문의당기와 관련 없으므로 노코멘트.
3. 아홉개 대륙과 일만개 나라가 둘 다 동등한 육지가 아닌, 후자가 전자에 포함되기에 딱 봐도 어색하고(전자만 사전적 의미의 '육지'라는 것), 또 지도를 본 후 나오는 풍경에 대한 설명이라 '천하의 지도'라는 의미를 안 이후이기에 의미 생성 여부가 불명확합니다.
4. 한마디로 잊잊 예고편입니다. 이중부정 어감으로 낚시 건 걸 걷어내면 결국 저 문장은 '파도와 깊은 물을 접해야 물에 산다'는 주장을 설명하고 있는 것인데, 'x과 x'를 근거로 삼아 주장을 하기 위해선 당연히 둘이 관계를 맺고 유사한 의미를 지녀야만 합니다.
판단해볼 경우, 둘 다 상식적으로 바다의 형상 맞고 물에 살면 만나는 풍경 맞습니다.
(사실 물은 바다의 상위집합이여서 논리적으로 완전하지 않고, 출제의도상 '바다에 살면' 으로 써야 명확한데 그냥 검토 미비+억지 난이도상승 시도로 추정됩니다. )
5. 갈매기와 해오라기는 애초에 주제의식도 아닙니다.
딴소리 pass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기타 의견:
+사실 저당시 26번, 27번 자체가 모 강사피셜로는 약간만 더 나갔어도 오답시비 나올 수준의 문항이였습니다. 제가 써둔거 봐도 아시겠지만 여러모로 애매한 내용이 있어요.
또한 근 10년만에 핵불문학 처음 내다보니 출제노하우가 없던 것인지 여러 무리수를 두었고, (어감낚시나 보기 일치여부 따위로 거른 23번, 34번 등) 당시에도 퀄리티로 논란이 상당했던 터라 적당히 코런갑다 한 후 거르셔도 될 듯 합니다.
제가 봐도 저 둘은 좀 많이 엄이라서..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딥피드 질문글 보고 생각나서 최대한 자세히 써봤습니다.
솔직히 난이도, 퀄리티 보면 둘 다 현장에서 어찌 맞췄는지 저도 신기합니다.
그리고 공신력 있는 해설보다는 개인적인 판단 방식에 가까워서 100% 믿으실 필요는 없습니다. 정확도 보장 못해요.
ㆍ
ㆍ
ㆍ
뭐 2506 3등급이여도 저시험은 94점이니 발언권 있겠죠?
(언매기준 백분위 100 바로 아래)
0 XDK (+1,000)
-
1,000
-
깜짝 놀라는 것도 느리고 채팅도 느리고 생각도 느리고
-
미적 노잼임
-
부모님은 듣고싶은수업 다 들으라하시는데 이것도 성적으로 되돌려드리면 좋아하시나요?...
-
죄짓고살지말거라 7
-
전 작년 9월9일 다음께 2월3일인데 피드는없음
-
아이고빌런이되어있네 아이고
-
나를 위해 만들어진 프로그램..
-
옵치 힐러 골1닿성함 12
커하임 플레야 기다려라
-
옵만추하실분 4
옵붕이 만두먹이고 추노하기
-
신기하다는거물론 계속 잇는 사람들도 잇지만
-
아무나 구해요
-
야식머글까 8
잠안오니 배고프다
-
귀여운짤 2
확대해서보면더귀여움
-
하는 오댕이
-
인스타에서 수학하는땅우랑 마이린 차단함
-
생지할거에요
-
사실 전 차단 0
부러운사람 차단함
-
근데 무서울 뿐이야 2명 정도 있음
-
키 160대남자한테
-
머하지
-
미적분 질문 0
첫번째 사진에서 제가 쓴 식대로 연산 어디가 틀린건가요? 그리고 해설지 4번째...
-
이제와서말하지만 15
최초불합보고 숙소에서 혼자 겁나 울었음... 처음 딱 봤을때는 엥?하면서 점공보면서...
-
레어 기만한다 4
내 레어 짱귀옂지??
-
찾아봐야지
-
1년햇는데 이정도면 적은건가
-
기묘하네
-
매주 서바이벌을 보는데 선생님이 하나틀린사람! 두개틀린사람! 이렇게 손 들어보라고...
-
그 전까진 일만 다니면서 죽은 듯이 살아야지
-
개구리 4
개굴개굴
-
은근 띠꺼운 임티 12
-
엠티가면무조건하겠지...
-
사탐은 솔직히 웬만하면 엔수할땐 안바꾸는게 나은거같음 아무리 안맞아도 엔수하면 달라짐
-
세지 먼가 끌리는데
-
독서의 즐거움 초본 2025.02.21.
-
컨텐츠 많나요
-
하체 무리하다가 토할것같아서 잠시 앉을라했는데 몸에 힘 다 풀리면서 앞 까매짐...
-
술게임 8
개어렵네 하…
-
아제발쳐누워잇을테니까 19
지식을나의머리에넣어주고입에밥도넣러주셈좆은안되
-
위에서부터 가족끼리 먹은 폴드포크랑 텍사스바베큐? 수학여행 전날 친구들이랑 먹은...
-
비록 수능에선 망햇지만 삼수하지만 그냥 현강도 재밌게 다녔고 공부하는거 자체가...
-
네 이건 진심입니다
-
최고의 휴식
-
경제 사문.. 6
츄릅.. 맛봐볼까.. 롤체 마스터도 가야하는데..
-
하나라도 쟁취한 게 어디야~ 3칸 이겼으면 된 거지
-
80점을 받고싶 2
지는 않다
-
팀 경제 화이팅 2
화이팅
-
개강하고 나면 공강 생길때 바로 과방으로 가세요 그러면 거기 상주하는 과방...
-
삼일만에 일등급 받을만큼 쉬운 과목이 아닌데 자꾸 우리 경제 무시하니까 좀 그래
-
하 또시작이노 하고 넘기지 않나 그냥

2506때 도머체 무슨 일이..?기조분석글 참고하시면 될듯..
저랑 상극이였음
26번 2번 이글보고 완벽히 이해함
김상훈t도 나 이해 못시켰는데 ㅋㅋㅋㅋ
ㄷ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