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 기.갈.상 질문드립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988588

사진에서
"가족 문제의 원인이 가족 구성원 간의 유대 약화에 있다고 보는가?" 라는 질문은 구성원 간의 '유대' 를 중시하므로 미시적 관점이고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입장 아닌가요? 왜 기능론의 입장인지 궁급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재수 성공 기준 5
단언할 수는 없고 사람마다 기준은 다르겠지만 대충 어느정도면 그래도 재수한 보람...
-
이 뭐죠 공부만 하다가 오르비 눈팅 잠깐해서 아무것도 모름… 아르켜주실분..?
-
정법 기대되는구먼
-
해당부분만 발췌하면 OO대학을 개인의 행동과 가치 판단의 기준으로 삼았지만 소속하지...
-
질문하면 상냥하게 대답 해주는데 요청도 없고 질문도 없네
-
문이과 수학 다시 나누고 이과놈들은 미기확 싹다 배우게 하고 선대 & 대학...
-
수강신청 인원봤더니 20명정도(정원의 약 1/4~1/3) 수강신청 안했더라구요
-
수능완성 반정도 풀었는데 끝까지 꼭 다 풀어야 할까요..?
-
제가 3월부터 전과목 노베로 독학재수 시작했습니다 국어, 수학, 영어 등등...
-
삼수생 고민 24
점심먹는 시간에도 공부 할려고 하는데 밥 먹으면서 뭐 하는 게 제일 베스트죠? 현재...
-
안좋은 문제 쓰레기문제 라고 물타기하는건 어떤 사람들이 써먹는 수법일까요
-
양승진 시즌 1 3
여러분들이 느끼기에 난이도 어떤가요
-
디시는 비교하기도 뭐하고 에타만 들어가봐도 글 진짜 난장판임. 올만에 들어갔다가 바로 탈퇴함
-
현 고3 수능 80일 가량 남았는데, 이 말은 즉슨 이제 난 고3이다라는 마인드로...
-
편입 vs 재수 6
23 수능 기준 51435 (국수영물리지구) 지금 수학과외하면서 살고있는데...
-
81일차
-
내년에 새터가게된다면 진짜 저옷사서 입고갈거에용 히히
가족 구성원 간의 유대=사회적 합의(결혼을 일종의 사회적 계약으로 보는 관점)
명쾌한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좋은 밤 되세요!!
기능론은 사회문제를 병리적 현상으로 설명한다<- 요 선지가 가족 구성원에 적용된 거에여
따라서 가족간의 사이가 나빠지는 것은 병리적 현상 (잠깐 나빠졌지만 회복될것임) 입니다
추가적으로 미시적 관점 [상상론]으로 보려면 개인간 상황에 초점을 두어야합니다 가족 구성원으로 예를 들면 부모님의 잔소리는 ‘개인에따라’ 사랑으로 느낄 수도 있지만 간섭으로 느낄 수도있다. 이때 간섭으로 느낄 경우 가족간 불화가 발생할 수도 있다
요런느낌일거깉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