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쟁이의 대학/학과 관련 이야기(2)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948214
아저씨가 되어가고 있지만 아저씨가 되기 싫은 곧 10년차 입시쟁이가 대학과 학과에 느낀 몇 가지 남겨봅니다...
100% 사견이며, 틀리다고 하셔도 전혀 반박할 생각 없습니다. 제 뇌피셜에 기반합니다.
1. 학과의 전망을 아무도 알 수 없다. 그래도 예측하고 싶다면 대학이 아니라 기업, 주식을 보고 예측하자. 그 분야 기업이 잘나갈수록 성과급도 많이 떨어지고, 연봉도 높아지고, 채용시장도 활발해지는 것이다. 역으로 말하면 시장이 얼어붙으면, 채용시장도 얼어붙기 마련이다. 학번에 따른 졸업 시기 분야 기업 사이클 운도 따라주는게 진짜 중요하다. 배터리가 대학에서 전용 학과까지 생길지 누가 알았겠는가(물론 약간 하락세를 타고 있지만..) 현재 전자과가 최고인건 국내 최고로 잘 나가는 기업들이 반도체가 주 먹거리인 곳들이 많아서 그렇다. (결국 바이오붐은 온다!-수십년 째...ㅠㅠ)
2. 생각보다 대한민국은 연봉을 많이 받을 수 있는 나라다. 특히 국가를 이끌어가는 공대, 자연대생들...더 줘도 모자르다 생각한다. 미국 같은 곳과 비교하지 말고, 옆에 있는 비슷한 수준의 국가인 일본과 대만을 보자.
사회초년생 기준 일본 237만원, 대만 147만원이다. 우리나라는 289만원으로 더 높다.
초임 명문대생 평균 연봉을 보면 더더욱 이렇게 많이 주고 대우 받는 나라 드물다. 대만의 TSMC 반도체 전공자 초임 월급이 200만원대다(충격 그 자체) 삼전 DS 신입 영끌과 비교해보자.
3. 2번과 이어지는데, 그렇기에 이공계생들은 지금 학벌을 무조건 높이는 것이 본인의 취업과 삶의 만족도에 크리티컬한 차이를 남기지 않는다면, 무조건 빠르게 좋은 학과 들어가서 졸업해서 빨리 좋은 기업 들어가는 것이 개이득이다. 물론 학벌을 높였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난다든가(석박 유학, 학벌 스크리닝 분야로의 진로 예정, 임원 차별 등) 대학의 특성이나 위치가 본인의 20대 삶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생각이 든다는지(연고대를 간다든지, 건국대 홍익대 등 상권 좋은 곳에서 놀고 싶다든지)는 수능 더 쳐도 무관하다.
4.. 수험생들은 입시 커뮤니티에 보이는 메디컬 앓는 소리에 속지 말자. 다시 강조하고 싶다. 고민이 되면 메디컬이다.
애초에 고민이 안 되어야 메디컬을 안 가도 후회 안 하는 것이다.
입에 담기 민망할 정도의 각 비하용어들은 그들의 방어기제(?)의 일부다. 물론 업계마다 상황이 좋고 나쁘고가 갈릴 수야 있다.
의대 하락세도, 한의대의 고충도, 치대 초임 페이와 무한경쟁의 고통도, 수의 개원의 고통도 다 사실이다.
근데 메디컬과 주요 대기업(삼슼현엘 등)에 속한 사람들이 진짜 망하면 한국이라는 나라 자체가 망한거다. 진짜 망하면 곡소리가 아니라 아무 말도 없다.
5. 본인이 적정 성적대의 학생이라면 문과는 지방 교대(적성 고려 필요), 이과는 숭실, 과기, 인하 라인 공대 매수를 강력 권장한다. 원래 특정 학과와 학교들을 추천하지 않지만 지금 이들은 인풋 대비 아웃풋을 생각하면 저점매수가 맞기에 추천을 안 할 수가 없다. 단 교대는 임용폭탄이라는 리스크를 껴안고 가는 것이라는 점을 공대는 무조건 좋은 학과기준인 것을 잊지 말자.
6. 문과의 취업 수준은 여러분이 알고 있는 것보다 처참하다. 특히 비상경은 더더욱. 문과는 학벌이라는 말이 틀린건 아니다. 왜냐면 학벌이 좋아질수록 그나마 처참한 정도가 회복이 되니까. 저학년 SKY생들은 멀리 안 가고 중경외시 라인만 되어도 비상경생들 취업 수준이 정말 심각한 것 모를거다...ㅎㅎ
7. 수능 치고 나서 맞는 겨울은 아주 유용한 진로 탐색 시간일 수 있다. 막연하게 나는 '로스쿨 가야징~' 해서 로스쿨을 꿈꾸며 점수 맞춰 들어간 학과가 안 맞아서 학점이 썰리거나, 막상 리트 풀어보니 평균에 그치는 점수에 절망하고 3~4학년을 보내는 문과생들이 대다수다. 리트라도 한 번 풀어보고, 학과의 실제 아웃풋과 학풍을 찾아보고 할 기회다.
8. 생각보다 전공이 잘 맞는가는 본인 학교 생활 4년(6년제는 안 맞아도 그냥 다니세요...)의 삶의 질과 학점따기의 난이도를 좌우한다. 특히 정시파이터들은 대다수가 성적을 맞춰서 대학을 입학하기에 이 부분을 매우 간과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진성 문과생에다 수능까지 쌍사를 한 덕후들 입장에서 사학과를 가면 얼마나 즐겁겠는가?
본인이 더 찾아보고 싶어 역사서를 읽거나 나무위키를 정독하면서 공부하던 내용들을 더 심도 있게 학교에서 4년 내내 전공 과목으로 공부를 하는데 거기다 학점도 잘 나와? 개이득이다. 근데 역으로 고2까지 이과로 살다가 6평 치고 사탐런 해서 미적사문경제 해놓고 점수 맞춰서 명문대 사학과를 갔다고 생각해보자. 이중/전과를 생각하고 들어왔지만, 아뿔싸...진짜 이딴걸 왜 공부하는지 이해도 안 가는데 학점도 덕후들과 문과들한테 썰려서 탈출도 애매해졌다. 결국 수능특강에 손이 가게 된다.
9. 이름이 근본 없는(?) 학과들은 잘 살펴볼 필요가 있다. 물론 계약학과는 제외다(얼마나 좋은데).
성균관대가 그렇지 않았냐고? 성대는 아무도 그런 근본 없는(?)이름을 짓지 않을 때부터 근본 없는 이름을 썼기 때문에 근본이 있는 것이고(전형적 논증 오류), 무엇보다 삼성이 소유한 서성한 라인의 성균관대이기 때문에 괜찮다(?).
하지만 다른 후발주자들 중에 이름이 근본 없는 학과들은 자리 잡은지 오래되지 않은 이상 커리큘럼과 교수진이 타 학과에 비해 부실한 경우가 많다. 즉,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이다. '전자공학과', '컴퓨터공학과', '기계공학과', '경영학과', '경제학과' 얼마나 학과가 근본 넘치는가...새로움에 속아 근본을 잃지 말자.
10. 혹시라도 해외 진출을 염두에 두고 있는 큰 물에서 놀고 싶은 이들을 위해 추천한다.
전제는 여간 똑똑한 머리로는 안 될 것이고, 영어를 매우 잘한다는 전제가 깔린다.
문과-SKY상경->금융/컨설팅->해외 MBAor금융/공학 석사->해외 진출
이과-명문대 공대 STEM 전공->해외 석or박사->해외 진출
*번외-인문대생 SKY 국어국문/국어교육학과->국내 석박사->해외 대학 한국어학과, 한국어 문화학과 교수 임용
(K-컬쳐 특별전형이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테슬라뭐냐 0
바닥인줄알앗는데 지하가잇엇네
-
-7 이 몇 번째냐..
-
이번 3모에서 문학은 다맞고 독서에서 어휘포함 6개 틀렸는데 강민철의 새로운 기출...
-
평가원 #~#
-
수능수학 수리논술 관련 채널임
-
제후들을 모두 격파하였으나 연 제 초는 거리가 멀어 다스리기 어렵습니다 이에...
-
유사메디컬 한약학과는 지인 말 들어보니 금수저 ㅈㄴ많다던데
-
제작중인 제목 미정 화학 칼럼 모음 어쩌구 쏼라쏼라
-
아레나 아님 듀랭 해여
-
달러 찍어대는거 누가 막을 수 있는데 그거 어떻게 하는건데
-
돈없는 지방수재들이 학비 싼 지거국에 가는 선택지를 날려버림
-
계엄여파로 군 통수권이랑 대통령 권한 만지작거리나
-
궁극적으로 미장은 우상향인데 지금사두면 괜찮지않을까
-
대한민국 제 7공화국 간지남ㅋㅋㅋ
-
사실상 이거 합법 도박이라 도파민 오질거 같은데
-
2023이었던 것 같은데 아시는분 +(삼각함수 활용)
-
지금이 매수 타이밍이구나
-
조센징들이 있는 곳이 국장(화) 되는 것이니라
-
[속보] 민주 "국힘, 후보 내지 않는 게 도리"…대선 무공천 공세 11
더불어민주당은 7일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조기대선이 치러지는 점을 강조하며...
-
대선이랑 국민투표를 병행하려면 헌법불합치 상태로 효력이 상실된 국민투표법을...
-
다 푸는데 5시간 정도 걸림용 벡터에서 두 문제 정도 좀 어렵고 나머진 어삼쉬사...
-
아무도 안 풀어줌 ;;
-
3등급 이하 학생들은 노베다 이 등급대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는 단어이다 단어를...
-
수열보다는 당연히 낫지만 그래도 사람 턱턱 막히게 하는 그런게 있다...
-
김범준이 글케 좋음?? 10
나도 들을까
-
수능 다시도전 8
2022수능때 한양공 들어갔다가 휴학하고 2025수능때 22222받고 실패했는데...
-
합성인가?
-
n수 정시 농어촌 7글자로 웃음벨
-
대한항공 기장·부기장, 호주서 '탄핵' 대화 중 주먹다짐...중징계 처분 3
대한항공의 기장과 부기장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 여부를 두고 이견을 보여...
-
현장이었으면 이것도 다 못 풀고 0점임
-
으르렁 월월월 0
거지됬다...
-
이재명, 개헌 동시투표 반대 뜻…“내란 종식이 먼저” 10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7일 우원식 국회의장이 전날 제안한 개헌과 관련해...
-
반지름이 R인 원 O에 내접하는 예각 삼각형 ABC|ABC|=a, BC=bA를 O에...
-
친한애 군대간다고 밥사준다했는데 4명댈꼬오노;; 고기사달라고 앰병하는데 30나갈듯 허;;;
-
수학 고정1 나올정도 만들고 다음에 무슨과목 공부함? 고딩때부터 한과목 클리어 >...
-
으악..
-
방사능인가요?
-
랑카 30을 풀 수 있는 인간과 없는 인간
-
ㅇ.
-
04년생 여자입니다 사실 삼수해서 대학온건 아니고 재수인데 사정상 1년 꿇었어요...
-
아무리 좋아했어도 500화가까이 있어도 4일만에 정독하고 그 이후로 안봄 새로운...
-
Hint)https://orbi.kr/00072749601, 문제 답:...
-
피고인(25세, 남성)은 아파트 엘리베이터 내에 갑(11세,여성)과 단둘이 탄...
-
경선 없이 전광훈 단수공천으로 결정돼
-
에어팟 헤드폰 3
육군 싸지방에잇는 구데기 헤드폰쓰는중인데 진지하게 에어팟프로2보다 더 음질이좋음.....
-
사문 기출교석 교재 괜찮은거 없을까요? 후보는 사만다 기파급 정도 떠오르는데.....
-
운동 10년차(복싱 10년, 웨이트 3년) 3대 565(B 145, D 220, S...
-
지금까지 살면서 본 수학 영역 문제들 중에 가장 머리 아팠던 문제가...
-
중간기말 과제 대체가 넘무 많아.. 과제 못하면 난 성적 마이너스 4.3 받고 퇴학당할지도몰라..
-
허리조심하세요 3
크아악
수능 성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학교 라인에서 비상경인 학교가 상경보다 라인이 높다면, 작성자님은 어딜 선택하실건가요 ?
본인의 진로와 해당 비교 대상이 어떤 대학들인지에 따라 다를 듯 합니다.
저라면 상경 택합니다 과의 근본이랑 응용력을 봐 주세요
지방교대 저점매수는 모두가 동의하는구나
금융관련 진로를 꿈꾸고 있고 해외진출까지 생각중이라면 (생각대로만 되진 않겠지만..) 한급간 차이나는 대학이라고 쳤을때 높은학교 아무과가 나을까요? 아니면 낮은학교 경제학과가 나을까요? 잘 모르시면 개인적인 생각은 어떠신지 궁금해요
높은 학교에 가서 전과/이중으로 경영경제를 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첨단융합학부 X지털X스케어전공
ㅋㅋㅋ
박종우의 일침한방ㅋㅋㅋ
글 지우지 말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
제 꿈이 작가인데 혹시 이 경우엔 학벌이 어느정도로 메리트가 있을까요??
일본은 어느 정도 알고 있었지만 대만은 의외네요
우리보다 사람 더 갈아넣는게 대만입니다 우린 박사급 1한명 쓸돈이면 걔네는 박사 1.5~2명을 더 부릴수 있어요...
지금 경영 목표인데 가면 안되는걸까요
시사 이슈같은거 누구보다 빠르게 입수해서 친한 사람들이랑 그거로 얘기하고 주식 등등 금융지식들 공부하는게 재밌어서 적성에 맞는거같긴 한데 그만큼 돈이나 안정적 생활에 대한 욕구도 큽니다
지금 사탐런해서 메디컬은 힘들지만 사탐 받아주는 말단 학과라도 노려봐야할까요
경영 목표고 경영이 적성에 맞으면 경영을 안 갈 이유가 없지요
이분말씀 잘 새겨들으시는거 ㅊㅊ 큰틀에서는 나름 정확함
공대 기준 학벌 스크리닝엔 기름집이 있긴 했는데 요샌 지방 근무(울산 여수 서산)때문에 조금 내려오지 않음? 사실 아예 1도 생각안해봐서 고민 안해본 곳이긴 한데 내가 수도권 학생인데다 기업프패라면 일단 후보지에선 제외할듯요
스크리닝은 다른 스크리닝이 되는 다른 진로(로입, 컨설팅 쪽 진입 등)를 염두에 두고 한 말이긴 한데, 해주신 말씀도 맞습니다. 최근 수도권 학생들은 더더욱 화기 대신 전컴을 선호하는 이유가 말씀하신 부분이 큽니다.
교대 올해는 더 떨어질까요?ㅜ
1번이 참.. 입학할때랑 졸업할때랑 너무 달라져서 더 어려운것같습니다.
또 6,7,8 문과는 하방도 생각하고 들어와야 하는 곳이라는 말을 첨언하고 싶군요. (특히 교차)
하방이라고 했지만 실상은 절반 이상이 처음에 생각 안하던 곳으로 가야하는데 이건 요즘같은 때엔 높은 학교여도 예외가 없습니다.
처음엔 로씨행같은거 다 생각하겠지만 지금은 고이고 계속 고여서 시간이 갈수록 더 어려워진다고 봐야함. 자기가 거기서 튕겨져 나올 확률도 더 커질거고
1편에서 이미 했던 이야기인데, 정말 공감합니다. 특히 교차 정시 이과생들이 일단 무작정 문과에서 학벌을 높이겠다는 생각으로 들어왔다가 본인이 하방에 떨어질 수도 있다는 생각을 전혀 못하다가 고통받는 것을 많이 봐서...문과의 장점이자 단점이 상하방이 다 뚫려있다는 것인데 수험생들은 잘 인지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ㅠㅠ
올해도 서강대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ㅎㅎ
여담으로 퇴사 축하드립니다(?) ㅎㅎ
아이고 축하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ㅠ
올해 입시는 여유는 있겠지만 갈수록 복잡해져서 참 생각이 많네요 ㅎㅎ
stem이 뭔가요??
검색해도 잘 나오지 않네요ㅠㅠ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의 준말입니다.
stem 전공이라는게 따로 과가 있나요? 아님 대학 졸업후 stem전공을 하는건가요?
STEM에 속하는 모든 관련 학과들을 뜻하는 겁니다. 한국에서는 그냥 모든 이공계 전공 말하는 겁니다. 다만 같은 STEM 안에서도 hiring major(취업 잘 되는 전공)이 있는 것이구요.
이과계열에서 가장 돈 잘버는 학과는 뭔가요??
정말 제 생각이랑 똑같네요.
1. 웬만하면 이과 가자
2. 이과의 선택지는 두가지. 메디컬 or 공대
3. 공대 갈거면 네임드 학과를 선택하고 성적에 맞춰서 인풋대비 아웃풋이 좋은 대학에 지원하자.
4. 공대에서 학벌은 1년을 투자해도 될만큼 유의미한 차이를 만들어내지 못한다. 재수할바에는 차라리 학교 공부에 집중하자.
5. 위에서 말한 것들을 잘 지켰다면 남부럽지 않게 살아갈 수 있다. 한국은 나름 이공계 월급이 높은편이며 수요 또한 많다.
6. 문과 3-4등급이면 교대 추천한다. 요즘 경쟁률이 높아졌다고는 하는데 다른 7급대우를 받는 시험에 비하면 말도안되게 낮은거다. 대학생활 내내 탱자탱자 놀아도 이런 시험을 칠 수 있는 권한이 주어진다는 것은 문과입장에서는 미친 특혜이다.
심지어 문과가 학벌이 중요하다는 말은 학벌이 좋으면 취직이 잘돼서 그런게 아니라 보통 학벌이 높아질수록 경각심을 갖는 분위기 속에서 지낼 수 있어서임. 높은 학벌일수록 문과가 얼마나 좆됐는지를 체감하고 살 길을 알아서 모색하거든...
도희님 혹시 상경계는
수학을 싫어하면 적응하기 힘드나요?
9번 보고 철학과 지원하기로 결심했습니다
토목과는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