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도서관에서 찾은 의외의 책 (+충격적인 서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945014
마니아를 타겟층으로 한 일본 애니메이션들이 국내에 들어오기 시작하던 90년대에 애니메이션 전문가로서 활동하던 송락현 씨...애니메이션을 주제로 한 책들도 몇 권 냈는데 다들 오래된 책들이라 구하기 쉽지 않은 편이다...
그런데 학교 도서관에서 혹시나 하고 찾아본 결과 왜인지 책들이 있는 것을 발견!
2003년에 나온 『일본 극장 아니메 50년사』라는 책. 일본의 극장 애니메이션의 역사를 당대 기준으로 총망라한 책이다. 두께와 크기도 여타 전공서적 저리가라 할 정도의 수준인데다 애니메이션 포스터들도 올컬러로 실려있다!
대충 목차.
이런 식으로 통시적으로 극장 애니메이션들을 소개하는 식.
얼마 전 실베에도 올라왔던 애니 '슬픔의 벨라돈나'
극장 아니메를 말할 때 언제나 거론되는 '루팡 3세 칼리오스트로의 성'과 역사적인 첫 도라에몽 극장판.
불새, 지구로... 같은 유명 작품들의 애니화.
토미노 요시유키의 역작 전설거신 이데온의 결말 극장판!
일본 미디어 예술 100선 전문가 선정 최고의 애니메이션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그 유명한 '사랑, 기억하고 있습니까'
지브리의 대표작 '천공의 성 라퓨타'
80년대의 다양한 극장 아니메들이 소개된다
역시나 토미노 요시유키의 역작 '역습의 샤아'
말해 무엇하리?
80년대 아니메를 얘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아키라
참고로 서울대 도서관에서는 공각기동대 시리즈도 DVD로 대여해서 볼 수 있다! 물론 수위가 수위인지라...
97년의 대비되는 두 작품.
책의 끝부분에서는 주목받는 신인 감독으로 신카이 마코토가 언급된다. 이 분이 후에 어떤 작품들을 만들었는지를 생각하면...
더욱 놀라웠던 것은 (내가 찾고 있던) 1997년 서적인 '애니스쿨'도 있었다는 것이다.
1권 초반부에는 셀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이 아주 자세하게 나오는데, 송락현 씨 본인이 직접 채색한 그림들도 나온다. 퀄리티가 상당하다 ㄷㄷ
우와! 마도까!
국산 애니의 역사도 다루고 있다.
개국 2년차의 투니버스.
2권에서는 작가나 작품, 장르별로 심층적인 분석이 들어간다.
그런데 도서관을 뒤적거리던 중 충격적인 서적을 발견하게 되는데...
바로 이 책. 미소녀와 화학을 공부...? 어떤 책일까
어...
동방...?
바륨 조영제...
네오디뮴은 쌍둥이...은근 고증에 충실
이러한 책이다(...)
서울大學校圖書 도장이 찍혀있다. 이런 책이 왜 있지...?
더 놀라운 건 전공 서적도 아니면서 원서도 같이 있다는 것이다. 신청한 사람이 누구인지...그리고 잘도 허가를 내 준 사람이 누구인지...
참고로 만화로 쉽게 배우는 시리즈도 만만찮게 소장 중이다. 이것이 서울대의 덕력...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창의력 ㅁㅌㅊ?
-
여기서 막히면 안 되는데
-
ㅈㄱㄴ
-
직수 42222 현재 41511 1도 확실한 1이라기엔 애매한듯 작년 저 성적도...
-
건국대 vs 동국대 피램 션티 강민철 수학 현우진 뉴런 이미지 바탕 상상 이감
-
철박 8
수도권 전철 50주년 행사 마지막 날 거의 10년만에 다시 와보는 곳. 1940년...
-
특히 수학 어려운 문제 풀때 ”올림픽 수학 국대“ 나갔다는 마인드로 하면 잘 풀려요...
-
ㄷ이 아무리 생각해도 내가 보기에는 p랑 광원 사이의 거리는 광원과 q 사이의...
-
이해원 s1 풀었고여 그렇게 잘 풀리는 느낌은 아니었어요 회차당 7문제중 3문제...
-
언제받아
-
수능끝나고 12월쯤에 친구들이랑 일본여행 가려는데 호텔,비행기 이런건 언제...
-
두달 적당히 얼심히 한다치면
-
일단 난 결속밴드
-
여러분 혹시 부모님이 공부 간섭 심하실 때 어떻게 하시나요..? 아빠는 안 그러신데...
-
일단 비문학 밑줄긋지말라고 어떤 유튜브애서 봐서 고 2부터 1년 반정도 밑줄 안긋고...
와 책 좀 야한데
좀 수위 있는 일러스트는 다 쳐낸 건데...
흐흐흐흐
개웃기네 ㅋㅋㅋㅋ
설평 ㅋㅋㅋ
이거보고 서울대 가기로 결심했다
알라딘 보니까 중고가가 정가 거의 3배네요...
ㅗㅜㅑ
이거 진짜에요??
네
어디 학교인가요? 급함
서울대요
서울대 갈 이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