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한 편 공유합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944526
오르비 첫 글로 시 한 편 공유합니다
......................................
할 일은 발께에 묻어둔 채로
분꽃 짓이겨 손톱에 얹던 날엔
머리 위 흐르는 바다 속 헤는
모든 물고기들의 이름을 지어줬다
바람결과 파마머리를 한 은행나무와
한참을 짝짜꿍 손장난 치다가
저어기 먼 곳까지 줄지은 전신주 타고
달님 온다는 전보 들려오면
작은 동네 울리던 수저 부딪히는 소리
손 씻으면 지워지던 꽃물이 못내 아쉬워
눈꺼풀 속에 그 빛깔 어룽진 채로 남겨뒀더니
언제고 마음속 서성이는 그 시절 탓에
푸르름과 너는 아직도 헷갈리는 단어들
<여름 유의어>
......................................
사실 제가 쓴 시입니다...
생각하며 감상하기를 완강한 저번 주 밤에
꼭 시 한 편 직접 써보리라! 맘먹었는데
오늘 점심에 뜨거운 열기 속을 흐물흐물 걷다 보니 문득
어릴 때 소꿉놀이를 하던 무더운 옛날 동네가 생각나더군요
땀에 젖는 줄도 모르고 그 자리에 한참을 서서 메모장에 적어본 무언가를
이제 막 집에 들어와 다듬어봤습니다...
'수험생 분들이 많은 커뮤니티에 어울리지 않는 감성이려나' '욕먹진 않을까' 하며
게시를 망설이게 되지만 그냥 올려보겠습니다 (손에 땀이;;)
심찬우 선생님 도움 덕에 감사하게도 문학 수업을 들을 수 있는 기회가 생겼는데
이런 새로운 경험도, 제 일부를 공유하는 용기도 얻게 된 요즘이 더없이 값지게 느껴지네요
시리도록 차가운 수능 날만 바라보고 달리시는
무더위 속 여러분을 항상 응원하며 존경하고 있습니다
다들 빠팅 하세요...... (^º)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속보] 정부 "연내 의료인력 추계·조정 논의기구 출범…2026년 정원도 논의" 3
[속보] 정부 "연내 의료인력 추계·조정 논의기구 출범…2026년 정원도 논의"...
-
일어나자마자 10
빈속에 카페인 때려넣기 기분이 좋아요
-
[속보] 정부 “중증수술-마취수가 대폭 인상…3년안에 3000개 수가 조정” 3
정부 “중증수술-마취수가 대폭 인상…3년안에 3000개 수가 조정”
-
경찰이 술에 취해 전동 스쿠터를 운전한 BTS 맴버 슈가(31·본명 민윤기)를...
-
[속보] 의료개혁특위 "지역 국립대병원 연 2000억 투자" 2
[속보] 의료개혁특위 "지역 국립대병원 연 2000억 투자"
-
후...
-
옾챗이랑 커뮤에 이거 올리는사람 많아서 찾아봤는데 시대인재꺼같은데 240628보다 어렵나 풀진않음
-
8덮 보정 1
너무 후한데… 보정을 믿는 게 맞나요?
-
제가 현재 서울시 노원구 거주중인데, 출신 고등학교는 마포구입니다. 모교 방문하여...
-
작년에 찍맞없이 40점대였을텐데 오늘 다시 푸니까 문제 미적 1개 빼고 기억 거의...
-
저는 타이머 시작하기 전에 표지 오른쪽 아래 귀퉁이 작게 접어두고 시작했음
-
무리겠죠? ㅎㅎ 굇수님들 경험담 공유좀..
-
서울교육감 보궐, 진보진영 단일화 추진단 꾸려…보수도 움직임 1
김용서 교사노조위원장 등 곧 출마선언…곽노현 전 교육감 "검토 중" 보수진영은...
-
예전에 꽤 길게 우울하고 무기력하게 지냈던 날도 결국 약 먹으면서 조금씩 하고싶은거...
-
마법의 단어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조리상' '수인한도를 넘어서는' ㅋ
이걸로 모의고사 폰트로 현대시 자작문제 만들어서 여기 공유해주세요
문학 젬병이라... 불가능입니다...ㅠ
수학문제도 만들어주세요
문학 젬병이라 ‘머리 위 흐르는 바다 속 헤는/모든 물고기들의 이름을 지어줬다’ 부분 감상이 어려운데 이 구절은 어떻게 읽어야 하나요??? 그리고 시 진짜 좋네요
죄송해요, 너무 답글을 늦게 달아드리네요.
우선 시 좋게 읽어주셔 감사드립니다...ㅎㅎ
저는 푸른 하늘을 가만히 보다 보면 꼭 그 속에 뛰어들어 헤엄치고 싶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날으는 새들은 바닷속을 유영하는 물고기처럼 느껴졌구요.
이제 다시 읽어보니 너무 저만의 언어로 적은 시네요... 많이 부족한 점 부끄럽습니다
왕 답글 감사합니다 답글 알림 덕분에 들어와서 한 번 더 읽어볼 수 있는 게 행운이라고 누껴질 정도로 조은 시 같아여ㅎㅎ
어린시절 생각이 많아 이것 저것 생각의 늪에 빠져 머릿속을 헤엄치는 이것 저것들을 자신만의 세계를 만들어간다고 이해했었는데 이나였군요..
문학 젬병이라 ‘푸르름과 너는 아직도 헷갈리는 단어들‘ 부분 감상이 어려운데 이 구절은 어떻게 읽어야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