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추리논증 26번 이의제기 종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928942
현재 수능에는 간단한 비판 형식만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이 자체가 내용으로 제시되지 않는 한 중요한 내용은 아님
법전협은 문제에 당연 이상이 없고 설명의 필요도 없다고 느끼나 봄
먼저 14 추리 29다.
정답은 ④이고 여기에는 논란의 여지가 없다. 배경지식 없는 원주민에 착시가 없다는 사례는 <가설>을 강화한다.
그런데 논란은 25 추리 26번에 있다.
이의제기 하는 사람들은 하나같이 14 추리의 논리를 끌고와서 항변한다
자기상상이 아니어서 반응이 없다는 사례는 ㉠을 강화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ㄷ은 답이 아니다. 왜냐하면 특정 시점 t에 반응이 없었다는 증거만으로 ㉠은 강화가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것만으로 충분하다
굳이 뒤를 캐자면 그 이후 다른상상을 한 것이 밝혀지면 최소한 ㉠은 그 지위가 유지될만한 가설 위치에 오를 수 있다.
이후에도 이런 비슷한 문제가 나오면 논란은 끊임없이 제기될 것으로 보임. 심지어는 강사마다 해설이 다르고 이상한 개념을 가르치며, 가끔은 공식해설서도 꽤 위험한 논리를 끌고오기도 함
내가 볼 때 강화/약화 유형의 문제를 출제하는 이들은 '베이즈 주의자'에 해당하는거 같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너무 고민된다 게으른 인간에게는 벌이 내려지는데 올해도 글렀나....... 포기마렵다~
-
..
-
N제 질문 2
N제도 기출처럼 몇 회독 그런 거 해야 하나요? 완벽히 풀 수 있을 때까지 계속...
-
공시/MDEET에서 수능강의 오면 1타 가능할거 같은 강사 2
국어 이선재 생물 노용관
-
3등급이 플어도 좋을까요...?
-
저는 입심심하면 간장 홀짝홀짝함 빨리죽겟다…
-
오늘 헬스터디에 고트외모인데
-
갈때마다 내가 하는일의 종류가 한두개씩 늘어난다
-
취업에 지장 큼?
-
공부 0
공부 며칠 제대로 못하면(하긴하는데 빡세게 안함) 감떨어지는거 체감되는거...
-
수분감 며칠컷? 4
수분감 수1, 수2 며칠 정도 잡고 풀어야 적당할까요? 미적분 n제랑 같이 병행할 생각입니다!
-
ㄱㅊ? 수특 고전시가랑 고전소설만 2회독정도했는데
-
둘다 붙으면?
-
를 위한 패작 Zzqt 일요일에 만두 자리에 폭탄 깔러 간다
-
드랍했던 216 6
다시 들어볼까,.....
답 1번 맞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