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의 홍수 속 의심병이 많은 노베이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925612
요즘은 인강부터해서 독학서
공부를 하는데에 있어서 다양한 루트가 있어서
뭐가 본인에게 맞는지 효율적으로 공부하는게 중요한 것 같다
근데 노베이스들은 본인들이 노베이스이기 때문에
무엇보다 효울적인 공부가 필요하다 생각을 한다
이 때문에 인강 찾기에 시간을 허비하고
헛공부를 굉장히 많이 한다
노베이스는 메이저 강사는 메이저 강사대로,
좀 마이너한 강사는 그것대로 의심을 품고 커리 변경을 염두한다
메이저강사는
”남들 다 하는 데에 이유가 있겠지“
를 시작으로
“본인에게 맞는 강사가 중요한데 왜 남들 듣는다고 따라 들었지?”
“나 정도 노베가 듣기엔 좀 부적합한 강사 같아“
마이너한 강사는
“본인에게 맞는 강사가 있다던데 찾은 것 같아” 를 시작으로
“아 남들이 많이 안 듣는데엔 이유가 있지 않을까”
“확실히 좀 커리큘럼이나 세세한 부분이 비교적 부족한 것 같은데”
이 같은 의심병이 도지고 또 커리를 튼다
왜 이럴까?
노베이스는 공부하면 대가리 깨질 것 같이 이해가 잘 안 가고
애초에 다 새로 주입되거나
답답하고, 진도 안 나가고, 계획 해 두었던
8월 1일부터해서 한 .. 25일쯤에 1회독 끝내고?
25일부터 9월 초까지 2회독..
이런식으로 생각해두었는데
생각과 다른 거대한 지식 때문에
그것이 더뎌지고 지루함을 느끼며 내가 뭘 하는건지 의문을 품고..
또는
아주 수박 겉핥기 식으로 조금 아는 상태에서
그 “조금 아는” 부분이 나오면 이미 아는 공부 하는 것 같아
의미 없는 것 같고..
이 생각들은 본인들이 소비중인 컨텐츠에 대한
의심으로 나아가는 것 같다
이걸 깨달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간단한건
노베이스 스스로는 효율이고 누구 강사의 커리고 간에
하나 정했으면 쭉 나아가는것이 가장 중요하다는것을
알게 되는 것이다.
그치만 그걸 어떻게 알게 하고 알 수 있나?
그건 노베 스스로의 의지에 달려있게 된다.
근데 의지가 오래가나?
공부는 의지가 아니라 습관인데.
더군다나 평생 공부 대충하던 노베들이?
그래서 노베는 계속 맴돌고 나아가지 않으며
달라지지 않는다
공부 좀 하다 아닌 것 같으면 검색후
본인이 긍정적으로 생각중일땐 똑같이 긍정적인 글만 눈에 보이고
부정적 생각이 자리 잡히면 본인 생각과 비슷하게 느낀
처지의 글만 눈에 보이고..
노베는..
이렇게 변하지 않는 것 같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오!!!!!!! 피곤하다거!!!!
-
작수 92점! 2
인줄알았지만 개같이 3점2개 4점1개 실수하면서 82점 크아악
-
국어 5등급이 마닳1 3회독씩 하면 수능날 몇까지 가능하다고 보시나요? 2등급 가능할까요?
-
강사 기출 한 번씩 풀었는데 실모 칠 때 3까진 가는데 더 높인 못 가겠더라구요...
-
KBS는 1
자체 문제 같은거 없고 그냥 지문망 실려있는건가요?? 책 안사고 그냥 수특으로 해도 무방한가염
-
어떤 사람이라도 한쪽의 의견만 계속해서 듣게 되면 사고가 편향될 수 밖에 없다...
-
뭐 왜 뭐
-
혹시 있으신가요?!
-
독서는 좀 쉬움 1. 관철하다 2. 공시적 3. 통시적 특히 문학에서 킬러로 나왔던...
-
1일차 D-92 1
오늘목표 1. 마더텅 생물강의아이패드로 자료만들기 완료후에 가로줄굿기 일끝나고...
-
물러나는 기시다 총리 “한일관계 정상화 더욱 확실히해야” 1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14일 도쿄 총리관저에서 차기 자민당 총재선에...
-
어떨까요? 현재 2학년입니다 저희 학교는 컴공이랑 전자가 같은 학부 안에 있어서...
-
사문 모의고사를 보면 같은 날 첫번째로 보는 모의고사는 막 6개 7개씩 틀리는데...
-
틀린 문제 다시 풀어보고 오답할때 도저히 답이 안나오면 어떻게 해야하죠 지문안에...
-
1학기 때 논설문 수행평가를 해야 했는데 주제가 촉법 소년 연령 하향에 관련된...
개추를 벅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