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m-skill 03-2번 문제 질문있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914569
a반에 25명 있고 평균 점수 40점, c반에 100명 있고 평균 점수 20점, 이때 두 반의 평균 점수를 구하라는데 강의에선 40점에서 20점은 왜 빼는 거고 그걸 왜 1:4로 쪼개는 건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있으면 어떤건가요? 그리고 어릴 적엔 어떤 사람이 되길 꿈꿨나요?
-
할때마다 자괴감들고 너무 오래걸리는데 양치기가 답인가요
-
복학할 생각하니 죽을맛이네요.
-
정법 사문 둘다 44점 고정으로 만들어놨고, 부족한 국수를 채우려는데 정법 사문...
-
[난이도비교] 어삼쉬사 vs 김기생 4점 (jump제외) 0
제곧내 김기생은 점프빼고임
-
17번에 정답 5번이라는데 실질적 요건이 불충족된 것이 무엇인가요?
-
풀 때는 2번이 정답이라 가까워서 5번 안보고 골랐는데 다 풀고 확인하니까 답지에는...
-
사귀자
-
화독문vs화문독 0
골라주십쇼...
-
오늘 아파트 상가에 여느때와 같이 아침 6시에 스터디카페가려고 들어가다가, 상가에...
-
점수가 살짝 메롱하긴한데 쨋든 걍 혼자힘으로 다 논리적 오답에 성공함 그리고...
-
님들 f(0)=0, f'(0)=1하면 뭐가 떠오름? 15
중근 갖는거 밖에 생각안나는데 갑자기 y=x가 생각남? ㅅㅂ 무지성 대입밖에 못해서 울었어
평균이란 전체 점수를 전체 인원으로 나눈거를 뜻합니다
위 사례를 그대로 활용할게요
40×25=1000+ 20×100=2000 즉, 3000이고 전체 인원은 125명이기에 3000을 125로 나누면 됩니다 그러면 평균값 즉, 24가 나오는데 이는 실제로 평균과의 거리를 인원수 비로 따질때랑 같은 결과입니다
그냥 이정도로 이해하시고 활용하김 됩니당
a반에 1명 c반에 4명 있다고 생각해보면 훨씬 쉬워짐. 내분점 공식 생각해보면 이해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