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수 국어 만점자 무물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908859
수능이 95일 남았네요 다들 화이팅입니다!!
집에 누워만 있으니 심심해서 무물보 다시 한 번 올려봅니다. 공부 질문, 아니면 공부 관련없는 질문 다양하게 해주세요. 다양한 질문들을 들어보는 게 제가 과외하거나 칼럼 쓰는 데에도 도움이 많이 되더라고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메가는 괜히 산 듯... 사놓고 거의 듣지를 않네
-
안세영 탐내는 중국…"中 대표팀에 합류하라"[파리 2024] 1
[서울=뉴시스]최인선 인턴 기자 = 2024 파리올림픽 여자 배드민턴 단식에서...
-
나도 저런 팬덤 1
가지고 싶네
-
제출 얼마 안남았는데 판단이 잘 안 서서요 메디컬 생명 쪽 희망합니다 읽고 코멘트...
-
써킷x 5회 1
푼사람있음? 난이도어떰
-
이후로 사교육 줘패기는 기득권의 취미가 되었다
-
수12는 n제 풀고있고 미적분 시발점 하고있는데 적분쪽 진심 너무 어려워요…제가...
-
어쩌다보니 강기분도안듣고 강이분도 안듣고 그냥 피드백 하고있는데 이래도되나요…?....
-
딴 과목은 문제 많이 풀면서 비례해서 성적이 올랏는데 국어는 실력이 올라서...
-
온라인 사전접수? 그런거는 있는데 수능원서 접수하는 것도 온라인이에요?...
-
왜 이렇개 어렵죠 먼가 기출 느낌이 아닌데….
-
난리나고 수능 개 망했는데 몸관리가 핵심이 듯 해요 다들 아프 마시구
-
마약류의 부작용들을 다 겪게 될건데 왜 먹는거냐
-
[속보] 국가안보실장에 신원식, 국방장관에 김용헌 경호처장 1
국가안보실장에 신원식, 국방장관에 김용헌 경호처장
-
잘 가르치는 거랑 본인이 잘하는 거랑 다른 거 같던데 국어 때문에 나온 얘기긴 한데...
-
여캐일러 투척. 14
수능 만점 기원 29일차
-
근사 내면 안된다는게 대학과정으로 빨리 풀림 이었는데 정수론 빡센것도.. 합동식...
-
지1 개념 질문 1
얼마전 서바에 주계열성의 중심핵이 기체상태라는 선지가 나왔었는데 혹시 주계열성이면...
과외 문의도 되나요
요즘은 힘들어서 과외를 안 구하고 있긴 한데 뭐 간단한 상담은 가능하죠 ㅎㅎ 근데 에피를 다신 분이 왜 과외 문의를...??

머쓰윽..
그치만 잘 하고 싶어요 psat leet,,표점 150ㄷㄷ 몇분남으심?
시간 아예 안 남았어요;;
똥간 이중부정 겸양 한비자 어케뚫으심?..
이중부정은 시험장에서 진짜 "마음 급해 죽겠는데 잊는 것은 병이 아니다라고 해 놓고서 왜 같은 소리를 계속 지껄이는 거지??" 하면서 금방 풀었고, 겸양도 시험장에서는 고려의 대상도 아니었어요. 아직도 왜 그게 논란이 되는지 딱히 이해가 안 가는데...한비자도 솔직히 22헤겔 현장감에 비하면 진짜 아무것도 아닌 수준이었고
네...똥간은 진짜 좀 난감했었는데, 운이 좋게도 앞부분만 읽어도 문제 대부분이 풀려서 간신히 시간 내에 풀었어요
저는 원래 비문학을 잘하고, 문학을 못하는 편이라 작수를 푸는 현장에서도 이게 22급 수능이 될 줄은 상상도 못했네요. 제 폼이 떨어져서 시간이 부족한 줄;;
문학에서 정답이 아닌선지를
무슨 근거로 지워내시는지에 대한 기준이 있나요
너무 틀린거말고 약간 두개에서 애매할때 있잖아여
두 개 중에 헷갈리는 경우라면 보통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보다는 옳은 것을 고르시오인 경우가 더 많을 것 같아요. 음...머릿속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과정이다보니 딱히 명확히 설명드리기가 어렵네요.
만약 나중에 해설을 보고 완전히 이해할 수 있는 정도라면 문제 풀 때 너무 급하게 풀다가 그런 걸 수 있으니 시간을 조금 지연하더라도 생각을 침착하게 해 보세요.
아예 시간과 상관 없이 선지 2개가 헷갈리는 경우를 말씀하는 거면, 한 번 이렇게 생각해 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 방금 구체적으로 떠오른 거라 제가 실제로 시험장에서 이렇게 생각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좋은 방법이라 생각해요.
"각 선지의 긍/부정이 작품 해석에 끼치는 중요도 생각해보기."
예를 들어서, 두 개의 선지가 있으면 두 개의 선지를 긍정했을 때의 작품 해석과 부정했을 때의 작품 해석을 모두 생각해보는 거예요. 만약, 긍/부정 둘 다 크게 문제 없어 보이면 그게 '옳은' 선지일 확률은 조금 더 떨어지겠죠. 근데 선지를 부정했을 때 작품 해석에서 큰 공백이 생긴다, 일관성이 깨진다, 맥락을 벗어난다, 앞/뒤 내용과 모순된다라는 식의 조금 큰 문제가 발생하면 그게 옳은 선지겠죠? 보통 2개의 선지가 고민되는 경우는 하나의 선지를 본인만의 어거지 논리로 "이렇게 해석하면 이럴 수도 있지 않나?"라고 우기고 있는 경우가 많으니까 선지를 부정하는 상황을 생각하면 본인의 억지 해석의 틀을 벗어나는 데 조금 더 도움이 될 것 같아요. 그래도 국어는 어디까지나 본인에게 맞는 방법을 찾는 게 최우선이니 다양한 읽기 방법, 작품 해석법, 선지 분석법, 상징 유추 방법 등을 시도해보길 바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