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쓸개 문학 문제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896298
다른 대사없이 좋은 세상에서 다시 만나자. 라는 말은 지금 상황을 받아들이고 별 다른 반항없이 순응한다고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왜 틀린걸까요? 간쓸개 5-2 27번 5번 선지도 그렇고 문제가 깔끔하게 풀린다는 생각이 잘 안드네요.. 평가원 국어 시험에서 2등급 밑으로는 앵간해서 안떨어지는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능 국어 이렇게 뜨면 개재밌겠다
-
유대종이 9모 전 수특 수완 운문만 일단 다시 복기하면서 대가리에 빡 박으래써
-
학교 평가좀 4
표준편차 13 12 15 14 이정도 나오고 나름 학군지임
-
야마다 료 같은 8
여성분 쪽지부탁드립니다
-
자료나 교재들도 다 있다고 하니까.. 돈이 없는 학생 입장에서는 혹할 수밖에 없겠죠...
-
미분계수 잠깐0은왜되는거고 계속0인 함수는 왜 안되나요...
-
두원공대의예과 4
이 학과는 입결이 어느정도인가요?
-
근데 84도 간당하다가 갑자기 84-88동시에 깨짐 대박적이다 ㄹㅇㄹㅇㄹㅇ 전에...
-
작수 영어 82로 2 간신히 받았는데 영어 얼마나 하는게 좋을까여? 목표는...
-
ebs가 점수 올려준다면 누구나 하는게 맞고 그렇지 않다면 누구나 하지 않으면...
-
잘못쓰다가 산화당할것같아서 못쓰겠네 ;
-
5회 실수 호머하면 92니까 ㅇㅇ 제발
-
영화 참 재밌습니다
-
콘텐츠랑 책이 너무 많아서 그런데 딱 하나 추천해 주실만한 영어단어 콘텐츠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
이감은 따로 질문 게시판이 없나요? ㅠㅠ 국어황님들 제발 도움 부탁드립니다…...
-
하고 싶은대로 하는게 젤 베스트가 아닐까 성적은 항상 본인 책임이니까 걍 자기가...
제가 보기엔 `좋은세상' 이라는 거 자체가 대사가 추구하는 현실과는 다른 이상적 세계를 말하는 것 같습니다
대사가 현실을 덤덤히 받아들이는 모습으로 보입니다. 반항적이거나 슬픔의 감정표현따위가 드러나있지도 않고요 이런 세상이니 이렇게 된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좋은세상“에서 만나자라고 한거 같거든요 ..본인의 힘으로는 지금의 현실 아무것도 바꿀수가 없으니 현실을 그냥 받아들였다 라고 생각하면 잘못된 해석일까요?
순응은 적응이랑 비슷한 말인데 대사는 이 세상에 적응을하지 못했다고 하기엔 이 세상이 나쁜세상이라는걸 알고있다는것 자체가 세상에 대해 적응을 했기때문이라고 생각해서요
제가 보기에는 ‘좋은 세상에서 또다시 만납시다’ 하나로는 순응이랑은 거리가 멀어보여요.
사진 속 본문대로는 다른 세상에서도 인연을 맺자는 느낌으로 읽혔어요.
세태에 대한 순응이면 어쩔 수 없었다라는 뉘양스가 있었어야 할 거 같아요.
”좋은 세상“이라는 표현에서 현재 세상이 좋지못한 세상이라는걸 내포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지금 상황에서 아무것도 할수있는게 없으니 다음생을 기약하는 모습으로 보이는데 순응을 현실에 적응을 한다는 뜻으로 해석해보면 순응이라는 단어가 아니다 라고는 할수없어보여서요…. 문제가 애매한걸까요 아니면 제가 잘못 생각하는걸까요?? ㅠㅠ
제 생각이어서, 그저 문제가 별로인걸 수도 있지만 제 생각을 말씀드리면, 그렇게 해석해도 충분히 일리 있지만 “좋은 세상” 에서 또다시 만납시다를 통해서 현재를 안좋은 세상으로 인식한다고까지는 할 수 있으나 이러한 세상을 순응했다고 보기에는 <보기> 없이는 조금 앞선 해석인 듯 싶어요.
하지만 평가원이었다면 아마도 보기에서 오해 소지 없이, 다양한 해석의 여지가 될 수도 있으니 보기에 “인물은 현재 상황을 순응하며 ... “ 이런 식으로 확실하게 언급해줬을 수 있다고 생각해요.
순응이 문제가 아니라 파국을 막으려 했다 에서 틀린선지 같아요 공주가 죽었는데 놀라거나 좌절하지 않고 다음생에 만나자 라고 바로 하는건 공주가 죽는 상황이 이상하지않은 상황이기때문에 가능하다 생각해서요 세상에 대한 적응이 되있는 상태라고 생각합니다. 확실한건 평가원에서는 이렇게 안나올거같아요.. 이렇게 까지 애매한 경우를 본적이없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