겸양 문제 관련해서 제 생각 정리해봄(관련 논문 첨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894445
일단 제가 참고한 논문은 청주대 양희철 교수님의 「花庵九曲」의 構造 硏究입니다.
원문 읽어보실 분들은 KCI에서 찾아서 읽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우선 화암구곡 9수와 관련한 부분을 발췌하겠습니다.
이번에는 이 작품의 주제를 보자. 이 작품의 주제는 <야인(향촌사족)의 농 가 생애도 자랑할 때가 있으리라는 기대로 야인의 농가 생애를 스스로 달램> 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런 사실은 이 작품의 제9수가 잘 말해준다. 왜냐하 면 제9수는 起承轉結(2)의 結이며, 동시에 이 작품의 總結이기 때문이다. 이 런 ‘총결’의 제9수에서 작가는 야인의 농가 생애도 자랑할 때가 있으리라는 기대로 야인의 농가 생애를 스스로 달래고 있다. 즉 초장과 중장인 “白水에 벼를 갈고 靑山에 섭플 친 후/西林 風雨에 쇼 머겨 도라 오니”에서는, 야인 의 농가 생애의 대표적인 농사일(벼농사, 섶치기, 소 먹이기)을 잘 보여준다.
그리고 종장인 “두어라 野人 生涯도 자랑 이시리라”에서는, 초장과 중장 의 대표적인 농사일에 꽃과 술을 좋아하는 일까지 포함시킨 야인의 농가 생 애도 자랑할 때가 있으리라는 기대로 야인의 농가 생애를 스스로 달래고 있 다. 이런 점에서 이 작품의 주제는 <야인(향촌사족)의 농가 생애도 자랑할 때가 있으리라는 기대로 야인의 농가 생애를 스스로 달램>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양희철 교수님께서는 화암구곡 주제를 <야인의 농가 생애도 자랑할 때가 있으리라는 기대로 야인의 농가 생애를 스스로 달램>이라고 하셨습니다.
자 여기서, 저희는
1. 농가 생애를 스스로 ‘달랜다는’ 점
2. 농가 생애도 자랑할 때가 있으리라는 기대
이 두 가지에 주목을 해서 24수능 34번 4번 선지를 검토해봅시다.
<제9수>
맑은 물에 벼를 갈고 청산에 섶을 친 후
서림 풍우에 소 먹여 돌아오니
두어라 야인 생애도 자랑할 때 있으리라
<보기>
화암구곡은 포착된 자연의 양상에 따라 강호에서의 자족감, 출사하지 못한 선비로서 생활 공간인 향촌에 머물 수밖에 없는 데 따른 회포, 취향이 반영된 자연물로 구성한 개성적 공간에서의 긍지를 드러냈다.
34번 4번 선지 (나): (나)는 ‘청산’에서의 삶에서 느끼는 자랑스러움을 ‘야인 생애‘로 표현하여 겸양의 태도를 드러내는군.
<보기>에서의 “출사하지 못한 선비로서 생활 공간인 향촌에 머물 수밖에 없는 데 따른 회포”가 해당 논문의 해석과 일치하다고 판단됩니다.
논문: 농가 생애를 스스로 달랜다= 현재의 농가 생애가 자랑스럽지 않음을 내포함
보기: 선비가 출사하지 못해서 향촌에 ‘머물 수밖에 없음’, 그에 따른 회포 = 현재의 농가 생애를 자랑스러워하진 않을 것이라는 판단 가능
그렇기에 일단 ‘청산’에서의 삶에서 느끼는 자랑스러움을 ‘야인 생애’로 표현했다는 부분은 확실히 틀린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다음으로 ‘겸양’의 태도를 드러냈냐는 부분이 남았는데..
선지를 다시 한번 뜯어봅시다.
<청산에서의 삶에서 느끼는 자랑스러움을 야인 생애로 표현하여> 겸양의 태도를 드러내는군.
저는 이 부분에 있어서, 겸양이 맞냐, 틀리냐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앞의 <청산에서의 삶에서 느끼는 자랑스러움을 야인 생애로 표현하여> 부분부터 맞아야 후속 판단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선지에서 묻는게 단순히 ‘겸양의 태도가 있냐’를 묻는 것이 아니라,
그 앞의 <청산에서의 삶에서 느끼는 자랑스러움을 야인 생애로 표현하여> 부분부터 틀렸으니 애초에 판단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입장입니다.
평가원은 ‘자랑스러움’을 두고 학생들이 선지를 판단했기를 의도했던 것이 아니었을까요?
<보기>의 “출사하지 못한 선비로서 생활 공간인 향촌에 머물 수밖에 없는 데 따른 회포” 이 부분을 참고하여, 화암구곡에서의 화자가 현재 농촌 생활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판단을 요구했던 것이죠.
댓글로 의견 많이들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국어 사설 점수 1
이감 모고 성적 오른것도 실력 좋아졌다고 볼 수 있나요? 6모 낮은 3이고 고등학교...
-
곧 오지훈 매개완 매기분 다하고 검더텅도 다하는데 유자분하고 모고 병행 할려고...
-
연애하고 싶다는 사람들 11
중에 노력하는 사람들 별로 못봄 ㅇㄷㄴㅂㅌ
-
진짜 2주동안 물리->사문런 고민.. 죄송하지만 재수생 마지막으로 도와주세요 6
진짜 사문 vs 물리 자꾸 고민되는데 이거 진짜 어떡하죠 1시간 반 ~2시간 박아도...
-
수학은 실모 수십회는 풀어봤는데 진짜 멸망했을때도 -10점 정돈데 국어는 몇개 안...
-
6모 확통 72점이에요 목표는 3초2끝입니당 N티켓 수1,2,확통 2회독했습니다...
-
제일 극혐하는 부류 10
오르비에 내가 쓴 글 그대로 쓰는 푸씨들
-
아직도 의문인 점 10
22수능 브레턴우즈, 차량 현장 만점 -> 나중에 다시 푸는데 나 어케함 소리...
-
님들이 고1이라면 개념 마치고 쎈같은 유형서 많이 풀면서 계산력 끌어올릴거에요?...
-
?????? 버근가?
-
농심 뭐지 4
담원도 한 세트 이기네
-
자연과학 I (생명과학) 자연과학 II (일반화학+유기화학)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
제목 그대로 리트 지문 자연 및 공학계열 지문 쉽게 나오고 문제 쉬운편인가요?...
-
내 나약한 의지력으로 조절할 자신이 업음 꼴초될듯
저도 같은 생각... 문학 모호하다고 하는건 선지가 묻는 판단지점을 못잡아서 그렇지 실제로 선지자체가 모호한적은 없는것 같음
그쳐 다들 겸양에만 집중하던데 애초에 청산에서 자랑스러움을 느낀 적이 없는데. 나중에 자랑스러움을 느낄 수 있다는거지 느낀적이 없음
이 입장과 다른 분들은 모두 틀린겁니다. 이게 정답입니다
<보기>를 보면 화자는 관직에 나가는걸 실패하여(출사하지 못한 선비로서) 시골,자연에 머물 ‘수 밖에‘ 없는 데 따른 회포 지닌다고 나와있습니다.
먼저 청산이라는 공간은 절대 자랑스러울 수 없습니다. 어쩔 ’수 없이‘ 가게 된 것이니까요.
(님이 10수하고 대학 못갔는데 돈도 이제 없어서 부모님이랑 시골에 사는데 자연 좋다~해도 절대 자랑스러울 수 없는 것처럼요)
만약 보기가 없는 문제라면 자랑스러움이,청산에 대한 만족감이 맞는 것이겠지만 <보기> 문제는 보기를 통해 풀어야합니다.
기출 문제를 통해 봤을 때 겸양은 겸손과 같다고 봐야합니다. 양보라는 말이 있던데, 겸손하게 되면 양보를 할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겸양은 겸손, 양보와 똑같다고 볼 수 있는 단어입니다. ( 뭐 겸손은 맞는데 양보가 없어서 틀렸다~말도 안되는 말입니다.)
앞에서 말했듯 화자는 지금 어쩔 수 없이 향촌에 와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야인 생애라고 표현한 것이 겸양의,겸손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 예를 들자면 님이 고려대를 붙었는데 “아이, 그냥 그럭저럭 갔어요~”하면 겸양이지만, 진짜 대학을 못갔는데 ”대학 못갔어요~“하면 겸양,겸손이 아니듯이…)
위의 입장과 다른 의견은 모두 틀렸습니다.
정황상 화자 처지 자체가 개판인데, '겸양'이라는 게 말이 안 된다고 할 수 있지만,
수능은 결국 시험이고, 내용은 없고, 빈 껍데기인 겸양적 표현을 썼으니 겸양이라고 했는데, 그것 때문에 오답이다? 이의신청을 하겠죠.
그 사람의 현실 수준이 낮은 것과 자신을 낮추는 표현을 쓸 수 없다는 건 별개의 문제라고 한다면 평가원 측에서 반박이 힘들겠죠...
반면에
겸양적 표현을 써도 겸양 할 상황이 아니니까 아니라고 했다가 오답이 나오면, 저 논리로 평가원이 반박하겠죠. 표현을 썼고, 처지와 표현은 별개다.라고 하면 님은 반박이 어렵습니다.
<보기>를 잘 보세요. 겸양이 말이 안되잖아요.
그리고 어찌되었든 평가원이 님처럼 논문 가져와서
정답에 이의를 제기할까봐.. 선택지 자체에서도 모순이 나게 만들었잖아요.
자랑스러움 = 겸양 이 맞습니까? 선택지 자체가 모순인데 저게 옳은 선지라고 한다면 문제를 잘못낸거죠.
자랑스러움과 겸양이 일치하는 말이 아닌데 겸양이니 아니니 하면서 힘들게 싸울 필요가 없을 듯 합니다.
선택지를 끝까지 읽어야죠. 자랑스러움과 겸양을 각각 판단하기 전에 전체 문장이 말이 안됩니다.
저는 평가원의 의도가 그거라고 생각합니다. 자랑스러움이니 겸양이니는 주관이 들어가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