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 지 · 1232853 · 08/05 23:19 · MS 2023 (수정됨)

    전 철이 만들어지는 규소 핵융합까지하려면 중심부 온도가 백색왜성이랑 비교도 못할 정도로 쥰내 높아야하지 않나? 라고 생각하긴 햇습니다

  • chekfshr · 1050634 · 08/05 23:28 · MS 2021

    저도 대충 이런식으로 퉁쳤긴해요

  • nickling · 1079483 · 08/05 23:24 · MS 2021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렌즈형은하 · 972978 · 08/05 23:24 · MS 2020 (수정됨)

    백색왜성은 수소, 헬륨 핵반응하고 C, O핵반응 못한채로 백색왜성이 되고 (물론 He핵반응못하고 He으로만 이뤄진 백색왜성도 있습니다)
    그 이후에 백색왜성은 뜨거운 핵의 잔열 과 별의 중력수축으로 발생한 열을 가지고있고
    스스로 핵분열은 통한 생산을 못합니다.

    C,O핵반응도 못한별이 식어서 백색왜성이 된건데 규소 핵융합까지 하는 별의 중심보다는 차갑습니다.

  • chekfshr · 1050634 · 08/05 23:28 · MS 2021

    별이 식어서 백색왜성이 되는 거라기엔 HR도를 보면 주계열성일 때보다 백색왜성일 때가 표면온도 높아지지는 거 아닌가요???

  • 렌즈형은하 · 972978 · 08/05 23:28 · MS 2020

    표면온도말고 중심부 온도 ㄴ선지 물어보신거 아닌가요?

  • chekfshr · 1050634 · 08/05 23:31 · MS 2021

    ㄴ 맞는데 거성에서 백색왜성될 때 표면온도랑 중심부 온도 둘이 비례할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럼 적색거성>백색왜성 될 때 중심부 온도는 낮아지고 표면온도는 높아지는 거 맞나요?

  • 렌즈형은하 · 972978 · 08/05 23:37 · MS 2020

    그러긴한데 백색왜성이 점점 식는것도 교과서에 없는내용이라
    백색왜성은 핵융합을 안하는데 He 핵융합하고 C핵융합을 못한채로 백색왜성이 됐는데 수축때문에 만약 온도가 올라간다해도 C핵융합할 온도에 도달못해서 핵융합이 안일어나잖아요
    백색왜성중심온도 < 탄소핵융합온도 << 규소핵융합온도 < 위 사진의 별 중심온도 이렇게 생각하는게 좋을것같아요

    표면온도는 H-R위치로 판단하셔서 표면온도는 올라가는게 맞습니다

  • chekfshr · 1050634 · 08/06 12:02 · MS 2021

    이해했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 화재공 · 1229371 · 08/05 23:29 · MS 2023 (수정됨)

    교육 과정 상에서 백색 왜성의 내부를 안 물어보지 않나요?
    거기다 He4 핵융합도 1억 K 이상이다 -> 그 뒤인 철은 더 올라갈테니 이렇게 풀지 싶네요 저는

  • 검은 토끼 · 1313299 · 08/05 23:56 · MS 2024

    중력수축해봤자 최소 크기가 있으니까 온도가 엄청 올라가진 않고
    철 핵융합할정도면 진짜 개뜨거워야하니까 그냥 대충 퉁치는게 맞는듯

  • 포도맛요플레 · 1156800 · 08/06 00:35 · MS 2022

    지구감수성 키우셈요

  • 리멤버유 · 1013346 · 08/06 01:09 · MS 2020

    규소 핵융합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는 에너지가 생성되니깐 1억k보다 높고
    백색왜성은 식어 가면서 수축하다가 임계점 되면 Ia형 초신성 폭발
    식어가는 천체라 온도가 낮다 라고 생각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