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868469
문학은 세상의 다종다양함을 총천연색으로 묘사한다. RGB의 세 기저가 모여 이루는 다양한 색상들을 그레이 스케일로 환원하는
것이 출제진의 몫이며, 그 값이 얼마나 선명한 백색[T값] 또는 검은색[F값]에 가까운지 판정하고 조정하는 것이 검토진의 역량이다.
이건 수치스러운 일이다. 문학에는 선명한 백색이나 선명한 검은색과 같은 진술은 별로 유용하지 않다. 과연 그럴 만한지 그럴 만하지 않은지, 의심스럽기는 하지만 일단은 따져 볼만한 여지가 충분하고 다분히 흥미로운 피스텔 톤의 문장들, 그런 것은 시험지 위에 등장할 수 없도록 사형 선고를 내리는 것이 나의 일이다.
나는 내심에 관해 주로 시비를 턴다. 체념이 없을까요? 그리움이 없을까요? 과연 분노했나요. 실은 체념하는 마음도, 그리움도 누군가에겐 읽힐 수 있기 때문이라. 그렇게 송부한 검토의견 속에 흥미로운 논쟁이 저물어 간다. 논쟁이 시험문제가 되면, 출제오류라 불릴 것이기 때문이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
-
사실 과외로 물리를 가장하고 싶었는데 학생이 없어서 수학이랑 지구과학만 하고 있는게 하.
-
이제 김승리 올오카 다 들은 노베이스인데 기출은 어떤거 풀어야하나요?
-
진짜 뜬금없이 학교 도서관에 있을 줄이야 내일 확인하러 가야지
-
전쟁사 이야기 67편 - competitive social interaction 2
여러분 무더운 8월달에 수험 공부 하느라 죽을 맛이죠? 저도 대학원을 준비하는데...
-
김동욱 쌤 말대로 읽으면서 '이 다음에 뭐가 나오겠구나' 대략 생각하고 반응하며...
-
증명해야해
유익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