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847662
사문고수님들 질문지법으로 조사를할 때 조사 주제가 ‘oo지역 학생들은~~ 할 것이다.’ 이렇고 표본조사를 ‘oo지역 학생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함 이렇게 지문이 나와있을 때 같은 지역이라고 저 조사가 표본의 대표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나요? oo지역의 모집단의 숫자와, 전수조사를 했다는 워딩없이 대표성을 지닌다고는 보기 어려운거 아닌지 여쭙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난이도는 어느정도죠?
-
[메가스터디학원]⭐9월 모평대비⭐ 수 모의고사 무료 체험 EVENT 3
안녕하세요 메가스터디학원입니다. 의대 합격을 위한 최적의 콘텐츠! 메가스터디학원만의...
-
문제풀이가 부족한거임 문제를 너무 무지성으로 푸는거임 분명 다 아는 문제고 개념인데...
-
유전성 딱히 없고 술담배 안하고 잘먹고 잘자고 운동하고 스트레스 많이 안받고 그러면...
-
8개년치 기출풀면서 나름 저혼자 분석하고 했는데 확실히 독해력이 좋아진 것...
-
신입생이어도 현역들이랑 큰 차이없는 파릇파릇함이 묻어나오죠
-
이 나라가 성장할 수 있었던 요인이 뭔데 ㅋㅋ 대한민국은 엄연히 학벌사회가 아니라는...
-
[칼럼] 수학 못해도 100일만에 서울대 가는 법 14
11월 17일에 2호선 타고 낙성대역에서 내려서 버스 타시면 됩니다 여기서 주의할...
-
ㄹㅇㅋㅋ
-
저 대성패스 없는데 대성패스만 있으면 해설영상 들을 수 있나요? 아님 시험지랑...
-
밤에도 보다 잠 ㄹㅇ
-
수학 노베 하반기 커리 추천해주세요 지금은 수1시발점 다했고 수2는 하지도 못했고...
해당 모집단 내의 표본집단의 특성을 임의적으로 규정하지 않은이상 대표성을 지닌다고 볼 것 같습니다
조사한 인원의 수와 관계없이 같은 지역이라는 이유로 가능하다고 보면 되나요?
무작위추출 이런워딩없으면 표본의 대표성을 무조건 확보했다고 단정불가능하지 않나요?
저도 그렇게 생각해서 다른분들 의견 물어볼려고 올렸습니다
모집단이라는 00지역 학생 범위가 문제를 푸는 수험생 입장에서 초딩까지인지, 중딩까지인지, 고딩까지인지, 대딩까지인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단순히 00지역 학생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했으니 표본대표성확보했어! 이렇게 단정하는건 모순있어보여요
아 그 학생이 모집단 표본집단 모두 ‘고등학생’ 일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