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지문을 어떻게 읽어야 할까?(국어 공부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801533
안녕하세요. 오늘은 국어 지문을 어떻게 읽어야 할지 모르겠는 분들을 위해 저의 방식을 설명해드릴까 합니다. 사실 국어는 "이해"하면 모든 게 해결됩니다. 하지만 "이해" 어떻게 하는지 굉장히 추상적이고 어렵죠. 그래서 저의 방식을 소개할까 합니다.
일단 문학이든 비문학이든 공부할 때 "천천히" 읽어야 합니다. 시간이 부족한 것 같은 여러분들의 마음 충분히 이해합니다. 하지만 생각이 따라가지 못 하는데 눈만 먼저 앞서가면 진짜 just "읽기"만 한 상황이 발생하고 오히려 시간을 버리게 됩니다. 천천히 읽어야 제대로 이해하고 사고력이 늘어납니다. 음식도 너무 빨리 먹으면 제대로 소화도 못하고 체하잖아요.
두 번째는 상상해야 합니다. 아무래도 "글 자체"보다는 보는 게 이해도 잘 되고 머리 속에 남지 않겠어요? 같은 지문을 글로 읽는 것과 유튜브 영상으로 보는 것 중 뭐가 더 이해가 잘 되고 끝났을 때 머리 속에 남을까요? 유튜브 영상이잖아요. 그래서 글을 읽을 때 상상해서 유튜브 영상을 본 것과 같게 해주라는 말입니다.
세 번째는 단어 자체를 추론하고 이해해보는 것입니다. 문학에서 녹음(푸르고 울창한 수풀)이 나왔다면 만약 단어를 모르더라도 "녹? 녹색? 약간 자연느낌나는데"하며 충분히 추론하고 이해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특히 비문학과 고전문학에서 도움이 될 것입니다. 비문학에서는 이해를 도와주어 정보를 암기할 필요가 없도록 해주고 고전문학에서는 상황을 이해할 때 도와줍니다.
비문학 공부법 먼저 얘기해보겠습니다.
첫 번째로 호기심을 갖고 질문해야 합니다. "강의식 수업보다 참여형 수업이 이해, 기억 측면에서 더 좋다" 많이들 들어보셨죠? 비문학도 똑같습니다. 호기심도 가져보고 의심도 해보고 질문도 해야 글을 더 깊게 읽을 수 있습니다. 정보량도 줄어들고요. 그리고 학업과 별개로도 이런 식으로 생각을 많이 하다 보면 살면서 어딘가 도움이 되지 않겠나요.
두 번째는 나만의 언어, 예시를 만들어 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법 지문을 읽고 있다면 해당 법과 관련된 예시를 만들어 보거나 어려운 법률 단어라면 나만의 언어로 나름대로 이유를 붙여 보는 거죠(틀려도 됩니다. 이걸 하는 이유는 머리 속에 더 깊게 박아 놓기 위해 하는 거니까요.) 이러면 이해에도 도움이 되고 정보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세 번째는 내가 이해했나 알아보는 방법입니다. 바로 "내가 이 지문을 강의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를 생각해보고 실제로 강의를 해보세요. 주변 사람들한테 할 필요도 없습니다. 그냥 혼잣말하거나 혼자 강의하듯 풀어보세요. 그러면 내가 이해했나 안 했나 스스로 느낄 수 있을 겁니다.
이제 문학 공부법을 얘기해보겠습니다.
첫 번째이자 사실상 전부입니다. 바로 "내가 문학 속 인물이 된다"입니다. 그리고 "무엇을 보고 있는지", "무엇을 느끼는지", "어떤 상황인지" 등을 "받아들이면"됩니다. 내가 인물이 되었다고 생각하고 읽는 것과 그냥 시험 공부하는 제3자로 읽을 것은 받아들이는 수준이 다릅니다.
두 번째는 사소한 TIP입니다. 혹시 문학을 읽다가 갑자기 이상하고 이해가 안 간다고 느껴진다면
"내면<=>외부세계 이동이 있었나?", "느끼던게 달라지거나 느끼는 강도가 달라지나?" 정도 등을 고려해보면 나름 도움이 될 겁니다. 특히 "내면<=>외부세계 이동이 있었나?"이건 엄청 중요합니다. 무언가를 보다가 회상한다던가 생각에 잠긴다던가... 그리고 내면이 나올 때는 매우 중요하겠죠.
나름대로의 공부법에 대해 얘기해봤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 달아주세요. 그리고 해당 공부법을 이용해서 지문해설하는 게시물도 올려볼까 합니다. 궁금한 지문, 해설을 원하는 지문 언제든지 적어주세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핀셋 즌2 미적 풀고있는데 수학 문제 풀다가 화나서 가슴 꽉 막히는 기분 오래만에 느껴보네
-
문과긴한데 이러면 서성한도 못 씀?? 어디정도 써야 되나
-
한국사 쌩노베.. 교재 사야할까?
-
대 오르비
-
하아…
-
고2고 6모 7등급나왔습니다…일년동안 수학을 안하다 다시 잡기로 해서 방학하고 매일...
-
그저 만들어질 뿐이며 강한 자가 살아남는 게 아니라 살아남는 자가 강한 것일 뿐이다
-
지적 달게 받아용!
-
공통에서 13 21 22 미적에서 27 28 29 틀 (27 28 안 풂) 2개...
-
엔제화 시전함
-
개때잡2025 0
개념은 빠르게 서너강씩 듣고 취집공만 밀도있게 보면된다는게 사실이냐? 반말 ㅈㅅㅎㅎ
-
이거 재밌습니다 2
제목에 이끌려 잠시 읽어봤는데 몰입도가 장난아닙니다. 작가님 필력에 감탄하고 갑니다.
-
인터넷에서 딱히 제대로 된 정보를 얻기 힘듭니다 특히 조언 "할 수 있는" 일정...
-
이거 정보량이 어마어마 하던데 배경지식 쌓는데 나무위키 넘는 거 없을 듯
-
예전에 종이의집보고 스페인어 꼭 배워보고 싶었는데 이참에 스페인어 해봐야겠아요
-
더프 응시, 이감모고 구매, 출석괸리 이런건 아는데 이거 말고 잇올에서 제공하는...
-
오야스미 2
네루!
-
똥 5
발싸 히히
간단해보이는데 뭔가 핵심만 찌르고 있는거 같네요 참고하겠습니다 감사해용 +!+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