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인제 리플레이 22-2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798028

x<t에서 f(x)=2f(t)의 실근 개수가 바뀌기 위해선 2f(t)가 f(x)의 극값이여야한다하는데 이해가 안되네용
쉽게 설명해주실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연대 공대 다니는 사람입니다. 수능 본지는 3년 정도 지나서 좀 괴리가 있습니다....
-
행정고시 번외편 25
행시를 꿈꾸고 또 궁금해하는 친구들이 많아 거시적인 관점에서 소개해보려합니다...
-
윤도영 Apex 4
윤도영 Apex predator 난이도가 어려운 편인가요? 원래 가계도가 많이...
-
쓰시고 있거나 쓰신 분들 이거 어땠나요?...
-
미적 어려운걸 하다보면 공통도 실력이 올라갈까요? 지금 미적분 위주로 하고 있는데...
-
나라가 이래서 망했구나
-
태풍의눈 4
태풍과 온대저기압은 중심기압이 낮을수록 세력이 세다면, 태풍은 ‘태풍의 눈’에서...
-
100만덕 송금하기
-
모킹버드 팀에서 제작한 수학모의고사 오르비 북스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
올릴만한 성적 받을거야
-
모르는게 너무많아..
-
반수생입니다..7덮기준 22(미적)233(물지)인데 도저히 물리를 수능때 3등급...
t가 상수라 가정할때
저 함수의 그래프 자체가
xt 인 부분은 함수를 접어 내린
형태라서 경우를 나눠보면 보일듯요?
접는다는게 -fx라서 x축기준으로 뒤집는다는건가요?
y=f(t) 기준으로 접는다는 이야기입니다!
뭐야 왜 이상하게 댓이 써지지
요걸 말하는 게 아닐까요 ?? f(x)의 극값이 2f(t)라는 전제 하에 t에 따라 f(x) 그래프와 y=2f(t)가 만나는 점의 개수를 관찰해 보면 t가 극점의 x좌표 근처를 움직일 때 실근의 개수가 바뀌는 것을 알 수 있어용
이런 느낌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극솟값이 4이고, 이때가 경계인거죠.
참고로 최고차항 계수가 1인 삼차함수에서 극값차가 4이면 극값의 x좌표 차는 2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