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운론적 이형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797873
‘먹는’ 음식
‘좋은’ 음식
위에서 ‘는,은’ 은 음운론적 이형태 맞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제가 만들었던 모의고사 중에 22번에 있던 문제입니다. 그때는 뭐 모르고 생각보다...
-
다시 느끼지만 0
건강이 최고다 최근 며칠 아프고 다시 괜찮아 지는 중인데 몸만 괜찮아지면 다시 뭐든...
-
ㅅㅂ.
-
전 일단 “만약” 철수하면 이민갑니다
-
그릿 해설 3
빠른답지만 있나요?
-
생윤이랑 국어 오르비 강사분들 강의 듣고 쓸데없는 것에 집착하는 거 버림 생윤 -...
-
문제를 간단히쓰면 조건을 만족하는 두 정수 p,q ( p < q )의 모든 순서쌍의...
-
ㅈㄱㄴ
-
ㅇㅇ
-
ㅅㅂ
-
거의 3~4년만에 오르비에 들어왔네요. 처음 성인이 되고 반수를 마친 뒤 제 경험이...
엥 !?? 관형격 어미가 먹(다)이라는 동사 뒤에서는 -는, 좋(다)라는 형용사 뒤에서는 -은 으로 쓰인 것 아닌가요? 한번만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
음운론적 이형태면 '주격조사 이/가'처럼 음운의 환경에 따라서 교체가 되야 하는데 동사와 형용사면 음운의 환경이 다른 게 아닙니다.
그럼 ‘는,은’은 의미론적 이형태인건가요?
는,은 을 바꿔 말하면 적절치 않고, 관형어 역할이라는 기능도 동일하므로 이형태는 분명 맞는 것 같아서요
굳이 이형태라고 기술하지 않습니다. 음운론적 환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 않으니 음운론적 이형태도 아니고 특정 형태소와 결합할 때 다르게 나타나는 것도 아니니 형태론적 이형태도 아닙니다.
또 의미론적으로 보기도 어렵습니다. '에'와 '에게'는 유정/무정의 의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만 동사/형용사라는 범주는 의미라기에는 애매합니다.
학교문법에서 '-는'과 '-은'의 관계를 기술하고 있지 않으니 고려하실 필요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