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세특 작성] 서울대 의대 선생님의 생기부 관리법 3 (독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792825
<소개>
안녕하세요 AI 모델 기반 세특 작성 서비스 aifolio 팀입니다. 일반고에서 수시 일반 전형으로 서울대 의예과에 입학하신 이00선생님의 열 한번째 수시 입시 칼럼입니다! (이전 칼럼은 작성 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생기부 작성 방법: 독서>
생활기록부에 관심 분야를 나타낼 수 있는 두번째 방법은 독서입니다. 독서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하지 않습니다. 독서가 생활기록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들고 있다고 하더라도 대학별 추천도서가 존재하는 만큼, 독서와 연계한 생활기록부는 긍정적인 인상을 남길 수 있습니다. 오늘은 독서 활동을 통해 생활기록부를 작성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독서를 생활기록부에 어떻게 반영하는 게 좋을까요?
2024학년도 대학 입시부터 독서활동은 대학 입시에 반영되지 않는 것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도서명과 저자를 나열한 형태의 기록은 대학에 전달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도서를 활용한 활동은 그와 별개로 반영할 수 있습니다. 도서는 크게 두 가지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먼저, 독서는 훌륭한 활동의 계기가 됩니다. 특정 도서를 읽고 관련한 활동을 기획해 행한다면 추진력과 융합력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사회적 약자 계층의 사례를 다룬 도서를 읽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책을 통해 사례를 접한 것을 계기로 관련 통계나 연구 자료를 찾아 해외의 사례 등과 비교하는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인식을 확산시키기 위한 캠페인을 추친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적극적인 활동으로까지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이처럼 독서를 활동의 계기로 활용하면 문제 인식에서부터 시작해 해결 방안 제시까지 나아가는 주체적인 학습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로, 독서를 익숙지 않은 분야를 탐구하는 도구로써 활용할 수 있습니다. 희망 전공과 거리가 있어 접근하기 어려운 과목의 경우 독서를 활용하면 보다 수월하게 다방면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독서를 생활기록부에 활용할 때 주의할 점이 있을까요?
독서를 활용할 때 가장 주의해야할 점은 누구나 예상 가능한 이야기를 하지 않는 것입니다. 대학 필독서에 포함되어있는, 읽지 않아도 누구나 알고 있는 도서를 읽고 보편적인 감상만을 기재한다면 이는 아무런 이점도 되지 않습니다. 꼭 희소성 있는 도서를 선정해야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다만 진정한 탐구심으로부터 비롯해 선택한 도서임이 드러나야하고, 그 도서를 읽고 느낀 자신만의 감상이 있어야합니다. 그에 따라 도서를 읽기 전과 달리 나타난 변화를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독서를 통해 얻은 깨달음을 일상에 적용할 수 있다면 더욱 좋습니다. 도서를 읽고 느낀 감상을 단순히 나열하는 것만으로는 자신만의 특색을 표현하기 어려우니, 독서가 여러분의 삶에 미친 영향을 표현하는 데에 집중하시기 바랍니다. 도서는 생활기록부의 내용을 구성하는 쉬운 방법이기에 자신도 모르게 남발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생활기록부 활동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측면에서 매 과목마다 독서와 관련된 내용을 기재하는 것은 개인적으로 추천드리지 않으니, 의미 있는 책을 신중히 선별해 활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최근 인문학의 중요성이 다시 거론되고 있는 만큼, 독서는 여러분의 가치관과 생각의 깊이를 드러내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독서를 다양한 활동에 적용하며 생기부에 풍성함을 더하시기 바랍니다!
<마무리>
이00선생님께서는 aifolio를 학습시키는 과정에서 독서 키워드의 경우 어떤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며, 어떻게 글을 풀어 나가야 할지에 대해 가이드 라인을 설계하셨습니다. 선생님이 설명해주신 내용을 바로 습득하고 직접 글을 작성하기 어렵다면 aifolio를 활용해 볼 수 있습니다! aifolio에 독서 키워드에 간략한 내용을 입력하고 세특을 생성하면 선생님이 설계한 가이드 라인과 학습한 최상위권 세특을 바탕으로 글을 생성해 줍니다. 이후 글을 재구성하여 다듬을 수 있습니다!
aifolio(에이아이폴리오)소개는 이전 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무료 작성이 가능하니 자유롭게 작성해 보세요!( https://orbi.kr/00068682489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디메릿이 진짜 하나도 없나요? 보편적인 이야기든 개인의 이야기든 모두 좋습니다
-
진짜 졸라 어렵네 13/14는 평가원의 자비로 주장 확실히 알면 고를 수 있게...
-
빡치네
-
훈련 중 얼굴 흉터 생긴 군인…法 “연금 지급 거절은 부당” 1
훈련중 이마에 흉터가 생긴 군인에게 ‘길이 기준에 미달한다’며 상이연금 지급을...
-
사회 문화 학자 0
사회문화에 등장하는 기능론 혹은 갈등론에 해당하는 학자에 누가 있나요??
-
사실 더폐교하고 싶지만 의치한약수 로스쿨 설치대학들 그리고 지방에 괜찮은학교들은...
-
진짜 하루종일 공부만 한?? 공부?만????
-
팔수를 응원합니다
-
학교 도서관에서 찾은 의외의 책 (+충격적인 서적) 15
마니아를 타겟층으로 한 일본 애니메이션들이 국내에 들어오기 시작하던 90년대에...
-
에휴...난 수능 봐야하는데 쟤네는 너무 행복해보여서 현타가 왔다 미루고 미뤘는데...
-
서바는 맨날 60~70초인데 킬캠은 70후~80인디 뭔차이지
-
수험생 입장에서(본인) 최대한 객관적으로 봤을 때 최소 향후 20년 동안은 이공계...
-
수학 교재추천 1
지금 자이스토리 미적 고3거를 풀고있습니다 자이스토리 끝나면 뉴런 미적 할거고...
(자퇴생 정시러인데) 학교 다닐때 생기부에 무조건 어려운 책, 간지나는 책 읽고 설명만 할 수 있으면 되는 줄 알고 아무 책이나 막 추가했던 기억이 있는데 유용한 글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