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에 목매는 문화가 문제라고 해서 마이스터고를 대안으로 꼽을 수는 없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775059
꼭 뭐 저것의 긍정적인 사례랍시고, 누구는 어디 공고 나와서 삼성전자, 은행, 모 공기업 쉽게 취직했다더라 이런 얘기들 하는데
이게 대표적인 단견인 게, 비율상 그게 절대로 많을 수가 없음. 마이스터고에서 정말 작정하고 관리한 소수 인원 제외하면 그대로 월 200이하 공단 가거나 미용실에서 최저임금 이하 받는 게 커리어 시작점임.
어디든 적용되는 당연한 얘기겠지만 본인 주변의 소수 사례만 보고 그게 모두에게 적용된다고 오해하면 안 되는 게 첫째, 둘째로 중진국 함정 이론 지지하는 경제학자들이 공통으로 꼽는 요인이, 그 함정에 자빠진 나라들 대다수가 '고등교육'에 제대로 신경을 안 썼음. 그리고 그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옆에 있는 중국이란 나라임.
마이스터고, 정확히 그 방향에 초점을 맞춘 산업 인력 양성 전문 학교를 무수히 많이 건설해 놨는데 얘들 졸업시키고 나니까 문제점이, 당장 그 시대에 필요한 기술을 기반으로 교육을 시켜 놨더니 졸업하고 취업이 뭐 바로 되기는 되는데 3-4년 지나고 나서의 미래가 불투명해지는 거임. 대표적으로 자동차 정비.
한국 마이스터고도 비슷한 처지에 처해 있는 게 교육부에서 매년 브로슈어 발간함. 이 마이스터고등학교 이름 이렇게 바뀌었다고. 그때 그때 필요에 따라 간판 바꿔 끼우면서 요새는 K 컨텐츠가 인기라고 또 K POP 고등학교 같은 되도 않은 학교 세우는 경우도 있음.
이 모든 쓸데없는 교육을 다 걷어내고서 보면 고등교육의 본질이라는 게 결국은 '국영수'라는 거임.
문해력과 자료해석, 수리추론을 그래도 사람답게는 할 줄 아는 수준이 되는 인력을 최대한 공급하는 것. 경쟁이 치열하다는 부작용에 너무 매몰되어서 이 순기능까지 부정해서는 안 된다고 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열공하세요
-
수1 수2를 하다가 고1수학과 도형의 부족함을 느껴서 공부하려는데 시간을 얼마정도...
-
작수 언매에 대응해보면 무슨 느낌임
-
과탐처럼 사탐 문제 전체를 ㄱㄴㄷ 문제로 바꾸는거임 소거법 전혀 안 통하는 유형이라...
-
올만에 이전에 살던지역 친구 만나기로해서 하루 스카 끊었는데 인강 보는 학생 전부...
-
엣지 2회 포함 226000원이라는데 엣지는 강제 포함이죵?
-
정시파이터해야겟다걍 13
-
계약학과=흙수저 5
주변에 의대권인데 돈벌어야된다고 연고 계약학과 쓰는애들 있네... 흙흙
-
언제부터 실모메타 된건가요? 저땐 실모 이정도로 많지 않았던것같고 실모 못봐도...
-
작년 수시원서쓸때 재종 담임이랑 상담함 공대 논술 2개 의 치 약 4개 쓰려고 했음...
-
이거좀차이많으려나
-
p/q일때 p+q의 값을 구하라 같은 문제에서 p/q가 자연수로 나와서 답이...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