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 풀이 시간 줄이기(24 사회 집단 포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743773
사문 풀이 시간을 줄여주는 2가지 팁을 드리려 합니다
1. 발문에 A, B, C 적기
아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발문 아래에 알파벳을 쓰는게 가장 빠른 것 같습니다.
제시문 알파벳에 단어를 적는 것보다
빠르고 가독성이 좋은 것 같습니다.
2. 사회 집단 및 사회 조직 24학년도 유형
세 단계에 걸쳐 설명드리겠습니다.
그림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1) 속해 있는 것만 적기
작성한 내용, 속해 있는 것 중에
속해 있는 것이 훨씬 더 난잡하게 적혀 있습니다.
작성한 내용은 직관적으로 보이기도 하죠.
굳이 적지 않아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난잡하게 적혀 있는 정보만 정리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2) 자기만의 언어로 적기(두 글자)
OO 시민 단체는 시민
고등학교 총동창회는 총동
바다낚시 동호회는 동호
교내 독서 모임은 비공(비공식 조직) 등
자기만의 언어로 두 글자만을 적는 걸 추천드립니다.
시간 단축에 매우 도움될 겁니다.
(3) 선지는 하나씩 보기(주로 속해 있는 걸 먼저 추천)
적혀 있는 내용과 속해 있는 것의 선지를
동시에 보면 많이 어지럽고 실수하기 쉽습니다.
하나씩 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주로 속해 있는 걸 먼저 추천드리는 이유는
정보량이 흩어진 관계로 난이도가 더 높기 때문입니다.
이는 평가원에서 정보량이 많은 내용의 선지를
주로 정답 선지로 하는 경향성에 부합하는 추천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자습 끝 0
순공 6시간 확보
-
딥슬립 ㅆㄱㄴ 님들도 쓰세요
-
고2입니다 국어 인강없이 문제만 풀면서 모고 1 유지해왔는데 스킬이 필요한 것...
-
첫 정답자 1000덕 드리겠습니다! 자작 실모들이 점점 나올 때군요ㄷㄷ
-
사문은 만표 평균 70, 세사는 66인데요. 탐구반영비가 높은 대학이 목표라면...
-
3번 선지에서 c-o-c 가 아니라 b-o-b인것 같은데 아닌가요???
-
ㅇㅈ 4
펭도리 인증
-
정상임? 왜캐 어려운거같지..
-
우리은하랑 안드로메다은하는 암흑에너지보다 중력영향이 더 커서 가까워지니까 그럼 그...
-
캬캬 맛있다 다음은 n제게임 미적분임니다
-
대신 국어가 흔들리지 않아야,,, 결국 국어구나
-
오늘 하루는 알찼다 14
무려 밖을 두번이나 나갔어요
-
전 애시당초 수능 공부를 진짜 공부라고 생각하지 않긴 합니다 물론 이제 이 기형적인...
-
생1 2~3 나오는데 1 맞을 자신이 없음..
-
약간 어려울 수 있는 규칙찾기 문제 (3000덕) 10
이번에도 '이유와 함께' 답을 적어주셔야 합니다! 41 -> 6 2 -> 1 30...
-
쓰레기만도 못한 삶
-
ㅇㅇ
-
작년부터 뭔가뭔가더니 디자인에 대한 욕구가 넘치는구나 승리승리야....
-
오늘 공부도 잘 안되고 그냥 안되는 하루였는데 잘 이겨낸거같다 전엔 포기했던 경우가...
-
합격시켜준다면 매일 아침 뉴스공장으로 하루를 시작하겠다!
뭘좀잘아시는분이네...
감사합니다 내가 알고 있는 걸 남에게 공유하는게 맛도리네요..
제가 4반수하면서 쌓은 사문 암묵지? 인데
이걸 이렇게 글로 보니까 좀 새롭네요
책 쓰고 칼럼 쓰는 사람 입장에서
그런 암묵지를 명시적으로 뱉어내려는 노력을 열심히 하려 하고 있습니다 ㅋㅋㅋㅋ
네네 편하게 주세요
사회집단은 제가 푸는 거랑 아예 똑같네요
참고로 저는 아예 초성만 써버리고 들어가긴 합니다.
근데 저거만큼 빠르게 보는 방법은 없는 것 같아요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본인만의 언어에 익숙해지면 초성만 쓰는게 훨씬 빠를 것 같네요 꿀팁 공유 감사합니다~
다만 갈등론이나 기능론처럼 앞글자 초성이 같은 경우
중,종성까지 쓰거나 아니면 풀네임을 쓰기도 합니다
기갈상 같은 경우에 한 글자만 쓰거나
그것보다 ABC 있으면 ABC만 쓰는게 빠르더군요
ㄹㅇ꿀팁 감사합니다
전 선지 위에 갑 을 이렇게 적는데 함 저렇게 해볼까요?
네네 한 번 해보세요
갑을 적으면 텍스트 양, 눈 왔다갔다에서 시간이 상대적으로 걸릴 것 같아요
연구문제(가설설정..등등 발문 긴문제) 풀이 팁은 없을까요? 처음부터 끝까지 정독하는거 말곤 답이 없을까요?
오독해서 한 문제를 틀리면 큰 손해를 보는 시험의 특성상, 그리고 제시문을 바르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해진 요즘 시험의 특성상 제시문을 이해하고 5개의 선지를 골라내는 것이 가장 정석이긴 합니다. 제시문 급하게 읽지 마시고, 일단 슥 훑으면서 연구 상황에 대해 파악한 후에, 연구 결과 수용/기각이 있는 선지를 제외한 나머지 선지부터 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최근 평가원 문제를 해체 분석해보면서 자기만의 풀이 메커니즘을 정립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