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열=부정합(지구1)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710103
건열: 수심 얕은 물밑에 점토질 물질이 쌓인 후 퇴적물 표면이 대기에 노출되어 건조해지면서 갈라지면 형성됨
건열 정의는 위와 같습니다.
대기에 노출되었다는 것은 퇴적이 중지되었다는 뜻이므로,
퇴적과정에서 점토질 물질이 쌓이고 그 위에 추가적으로 여러 물질들이 쌓인 다음, 융기하여 대기에서 점토질 물질 위의 다른 물질들이 깎이고 난 후, 점토질 물질이 노출되었을 때 건조해지면서 갈라지고 건열이 형성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즉, 퇴적구조에서 서로 다른 지층 사이에 건열이 존재한다면
두 지층은 부정합 관계라고 생각합니다.
제 판단이 적절한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있나요...? 갑작스러운 약 처방 이슈긴 한데..........
-
과2 고고!!! 0
진짜 큰 맘 먹고 사탐런했는데, 가만보니 나보다 못한 넘들은 어차피 수능 포기한...
-
https://atom.ac/books/13231-InDePTh+%EC%98%81%E...
-
종강안하나 0
할때됐는데
-
연계 지금 시작해서 낯선 주제 지문이 많아서 너무 많이 틀림 주제도 어렵고 근데...
-
80프로 회복 완뇨
-
안녕하세요 한방국어 조은우입니다....
-
내가 이해한 지문 내용이랑 해설이랑 논리가 달라서 질문했더니 말은 해설이 틀렸다는...
-
국어를 못하고 수학을 잘하는데 불리한가요???
-
60대 부부 일터 나간 오전 10시, 29살 아들은 방에서 나와 TV 켠다 6
2월 경제활동인구 통계 55~64세 女 61.5%가 일해 10년전 52%보다 확...
-
갑자기 삼도극을 빼질않나 과탐 죽이지않나 문학으로 승부보려하지를 않나 킬러배제같은 x소리를 하질않나
-
고1 정도면 이해할 수 있는 난이도인가요?
-
외야되...
-
얼굴뿐만 아니라 인성도 문제 있음
-
한완수 시작 0
기대된다 이걸 끝내면 나도 기하 고수가?
-
누가 또 기만런데
-
제가 논술을 아예 몰라서 그런데요.. 지원하는 과에 따라 지문과 문제가 다른 건가요??
-
집안에 고양이가 엄청 많았는데 무슨 고양이 요양원처럼 대부분이 아픈 고양이었음.....
-
베이스 소리가 날 자극해
-
아니면 그냥 정석적인 풀이 써져있나요??
-
군수 밸런스게임 3
04년생 지금 대학교 1학년이고 26,27수능만 본다는 가정하에 1. 25.8월...
-
피램 좋나요? 5
ㅈㄱㄴ
-
아....
-
이게 그냥 게임이었다면 GG치고 나갔을듯
-
현역 수학 0
현역 고3입니다. 작수 92(28, 30틀)이고, 평소에 수능이나 모의고사 보면...
-
잠을 깨긴 깨야하는데 이거 어카지 ㅅㅂ
-
sol 1. (나), (다) 조건에서부터 함수 f(x)의 증감 파악이 중요함을 알...
-
또 졋어요?? 12
보니까 또 가르나초 당신입니까..
-
얼버기 0
ㅍㅣ곤하고 뉸 아파
-
출근도장 11
쾅쾅쾅
-
진짜모름……
-
ㅎㅇ 2
-
생지 -> 생명사문 할 것 같은데 w관 가겠죠?? 그리고 관 바뀌어도 반은 똑같나요??
-
센츄달고싶당 0
6모는29꼭맞혀서센츄달아야징…… 3모수학고1범위라고유기한거지금생각해보니까너무아까움……
-
작년에 생지했는데 지구가 6모 5 9모 1 수능 4떴고 올해 3모 3떴는데 빨리 런하는게 답이겠죠?
-
문과 시절에 한지 사문 응시했었고 15수능 50 50 / 22수능 50 48...
-
사실안좋음.
-
곧 도태될 듯
-
26㐃능 ➙보늖 Lㅓ! 당장 ✇오✻➙☉르ㅂ1 엹품ㅌㅏ✯ㅇㅔ 오ㅏㄹㅏ✃...
-
달라진당!!!
-
오늘아침 성과 ㅁㅌㅊ 14
시험 며칠 안남았다...
-
자 지축을 박차고 자 표효하라 그대
-
어르버르기 4
버르어르기
-
얼버기 20
씻고 등장
-
위장이 뒤틀리는 느낌 작년까지만 해도 몸이 튼튼했었는데 나도 나이를 먹었나봐
-
일반고 내신 1학년 내신 3.6 고2입니다. 생기부는 평범한 일반고 생기부로, 분량...
-
대학 붙었는데도 학교 안 가고 그냥 아무것도 안 하니까 인생이 망가져가고 있는 거...
이번에 수특에 있었던거 같은데 맞는듯 ㅇㅇ
이신혁 지구과학 연구소에서는 단정 지을 수 없다고 하는데 뭐가 맞는지 모르겠네요 chatgpt는 건열있으면 대부분 부정합이라는데 참
다시 찾아보니까 논문에서도 증명된 사실인데 수중에서도 그 위 쪽 퇴적물이 강한 압력을 가하면 순간적으로 찌부되어서 물이 빠져나가면서 수중에서도 건열이 형성될 수 있고 건열 자체가 잠깐 융기했다가 다시 가라앉을 수 있는 약간 짧은 시간동안도 일어날 수 있는 지질학적 사건이라 부정합이라고 단정할 수 있는 조건은 아니지만 그래도 융기정도는 허용할 수 있다고하네요 그래서 최소융기횟수에 추가하는 건 괜찮지만 부정합은 안 된다
이신혁 컨텐츠 해설과 조교질답 플러스 관련논문 내용을 종합해서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