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707326
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13진짜 어려운듯..
16 귀류 아니면 어캐 푸나요?? 논리 안보이던데
16은 귀류 안썼던것 같은데 그 작은 표가계도 말씀하시는거 맞나요
네 맞아요
1. 체세포 표니까 남자인 자녀1에서 H상대량 2이므로 (가)가 상 (나)가 성
2. 자녀가 동형이므로 부모는 H를 적어도 1개가짐>ㄷ=0
3.아버지는 (나)에 대해 ?Y이므로 ㄴ=1 ㄱ=2
요렇게 풀었어요
2도 2분염색체일 수 있지 않아요?
G1기라고 안줬으니까요
13도 귀류던데..
16은 남자 x에서 2나올수 없으니까 가가 상 나가 x하면 되긴해요
2분염색체면 2 가능한거 아닌가요?
체세포라고 나와있어용
G1기라고 안줬으니까요
분열하는 체세포가 아니라 우리 몸에 있는 체세포라서 그런거 아닌가요?
모든 체세포는 분열기에 속하는 것 아닌가요..??
평가원이랑 모든 교육청 기출에서 체세포 1개당 대립유전자 상대량을 나타낸 것이다 라는 발문은 2n일 경우를 나타냈어서.. 가계도에서요.
세포분열까지 생각하셔서 그러셨구나
2n은 당연히 맞는데 G1기 아니고 G2기이거나 체세포분열상태일 수 있지않나요.. 제가 잘못 알고 있는걸까요
무슨말씀인지 알겠는데.. 평가원이 이때까지 가계도에서 DNA상대량을 제시할때 체세포 1개 당~이라는 발문을 썼었고 그랬을 때 항상 G1기로 생각하고 풀게했어서.. 만약 세포분열까지 고려해서 풀라고 하면 생식세포라는 발문을 제시했을거구요 아마 약속된 표현이 아닐까 싶은데 저도 정확힌모르겠네요
묵언의 약속같은 느낌인데 뭔가 A대 길이 항상 1.6인거랑 같은느낌
허.. 저 모든 문제 다 고려하고 풀었어서 혼란스럽네요 ㅋㅋㅋ.... 한번도 빠짐 없이 G1기로 풀게 했나요...?
네 그런걸로 혼란을 주진 않았던 것 같아요
가계도에서 세포분열까지 고려하라고 하면 G1기, 생식세포, 다음은 한 사람의 세포분열과정에서 발견되는~ 과 같은 워딩으로 써줄거에요 사설이든 평가원이든요
예압 최소한 3년동안은 체세포구성 까주면 그게 곧 유전자형이였어요 A=2 B=2면 그냥 유전자형 AABB로 풀면 됐었음
와 여태까지 몇초 버리고 시작했네요 ..ㅋㅋ
생각해보니 항상 의심하면서 풀긴 했는데 결론적으로는 그랬던 것 같어요.. 근데 애초에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지 궁금하네요..
생각해보니까 정확한 용어를 배운 적은 없는거 같긴한데 그렇게 따지면 체세포 분열은 체세포가 체세포로 분열 되는 거고 감수분열은 체세포가 생식세포오 분열 되는거라 M2중기(n)도 따져야 되긴 해요
M2기를 보고 체세포 분열기에 있다고는 하지 않아서 괜찮지 않나요
어려웟나요
생물은 어려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