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차함수 개형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654596
(2번째 사진이 정답풀이 입니다)
1번째 사진 그래프 개형에서는
네 개의 수 f(-1),f(0),f(1),f(2)가 일직선 위에서 등차수열을 이룬다 <- 성립 안되는건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징징거리는 글이 많았는데 지금은 컨텐츠는 많아졌는데 화학 하는사람이 없네 다시 돌아와주라
-
작년꺼 왔어 ㅋㅋ하 실수했네 사람 댕청하네
-
돈 좀 아껴야지 5
ㄹㅇ.
-
진짜 함 주라. 5
조언 좀 해 주셈. 아번 7덮 지1 34점 사탐 어디로 런해야 빡대가리세까 왔다고 환영해줄까요?
-
어떤 순간에도 너를찾을수읶게
-
너까지 가면 망해
-
왜 내주변엔 별로인 애들밖에 없는 것 같지 환경 탓 하는건 아니고 내가 좀 더...
-
문제 풀고나서 모르는 선지같은거만 체크하면 되나요???
-
교육청 평가원은 새로운 선지같아도 가만 보면 기존에 배웠던 내용으로 전부 추론...
-
우기분 아수라 0
34등급 한테 우기분이 좋을까 아니면 아수라가 좋을까? 우기분 곧 개강이라 우기분을...
접선이 k,0 에서 만나지 않습니다
아. 너무 섣부른 판단이었네요 감사합니다..
두 접선의 교점 y좌표가 0인지 확인해 보셔야 할 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이부분을 놓쳤네요 ..
https://www.s3-class.orbi.kr/00067004371
2번사진에서 개형을 걍 저렇게그린거지 식을 일반적으로 적어놔서 걍 1번케이스는 m이 빵이 아니니까 아웃이라고 생각하심될듨 개형그릴땐 '흠... 기울기가 음수일수도있는데...'라고도 생각했지만 그냥 감각적으로 그리신거잖아용
개형이 아니라 식부터 적으신거면 고민할필요가 없긴함 ㅎ
음 y=k 말고 등차수열이란데는 이유가 있는데
어쨋든 기하학적으로 직선을 의미하니깐,
1번도 맞는거 같은데요?
사차함수 - 직선 = (x+1)x(x-1)(×-2)
하면 사차함수 기울기 고려할때
F'(2) = ○+직선 기울기 (공차가 일정)
F'(-1)= -○ +직선 기울기 (공차가 일정) 니까
그것의 평균인 직선 기울기가 공차로 고정되면서
핵심은 등차수열이 직선을 의미
+ 사차함수의 대칭성질을 이용하면 될듯합니당
2와 -1의 중앙값에서 교점을 가지겠죵
아 근데 f(2k)는 20이다 있어서
1번 안되겠네요
추가조건때문에 공차의범위를 좁혔네요
그래프랑 식 두가지를 잘 활용하여 풀어보세요!
와 답변 감사합니다! 등차수열이 되긴 하지만 이 문제에 한해서는 틀린개형이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