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좀 알려주실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623507
이거 답 3번일 가능성은 없을까요? 한번도 부텨ㅣ라 로 쓰인 예문이 없을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역함수 정적분 2
어케하심 다들? 저는 =t로 놓고 치환해서 f(x)꼴 정적분으로 바꾸는데 해강보니까...
-
살짝 애매하긴 한데 ㅠ
-
6월 모의평가 채점결과 분석 - 3편 탐구선택자 심화 0
안녕하세요. GT SCIENCE ZONE 입니다.각 탐구과목별 변동을 보겠습니다....
-
29 30번 답 20 14가 확실한겨,.? 빨리 21 13이라고 해봐...
-
전체평점(~졸업) 전공평점 ㅆㅂ
-
이게 올스타의 재미지ㅋㅋㅋㅋ
-
현강 추천함? 1
1시간 30분 거리 현강 vs 인강 인강으로만 많이 올리긴 했는데 현강은 먼가 다를까 싶어서..
-
아아아아아ㅏ아ㅏ아아아아아아아ㅏㅇ아ㅏㅏ
-
내신 때 지구과학을 안 해서… 겨울방학부터 독학했는데 우주과학 개념+기출 전까지밖에...
부톄 어디서 본거 같은디
부톄라가 맞음요 근데 부텨ㅣ라 로 쓰인 예문이 한번도 없었는지…. 궁금해서…
그게 차이가 있는거였어요?ㄷㄷ
부텨vㅣ라는 처음봐요 부톄라는 자주 나왔는데
이래서 내신이 싫어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역주 몽산화산육도보설에 용례가 딱 하나 있습니다
다만 일반적인 쓰임도 아니고 아래가 '부텨ㅣ'의 유일례라, 예외적인 그러니까 필사자의 실수로 보는 것이 적절합니다
중세국어에서 ㅖ가 삼중모음이었기 때문에 '부톄라'나 '부텨ㅣ라'나 발음의 차이는 없었겠지만 일반적으로 중세국어 표기법에서 ㅣ는 앞의 모음에 붙어 쓰이므로 중모음처럼 쓰였습니다. 즉 모음으로 끝나는 체언(공시적 고유어)과 ㅣ를 따로 쓴 것은 일반적인 표기가 아니므로 학교문법에서 굳이 고려하지 않습니다
3번이 답이 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바+ㅣ>배
부텨+ㅣ>부톄
소+ㅣ>쇠
현대 한국어의 비규범 표기를 생각하면 이해가 가실 겁니다. 언중이 꼭 규범에 딱 맞게 쓰지는 않습니다. 중세국어 때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예외적인 표기가 존재하였지만, 국어 교과서에서 이들을 가르치지 않고 일반적인 경우를 가르칩니다.
예를 들어 중세국어는 연철이 됐다고 가르치지만 연철이 되지 않은 표기도 존재했습니다. 그러나 굳이 이들은 고려하지 않습니다. 물론 첨부하신 문제는 ㅣ가 앞의 모음에 결합한다는 게 보기에 언급되지 않았지만 수업에서든 학습지에서든 선생님이 말씀을 해 주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느엥 고맙습니다 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