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1 물2 화1 화2 지2를 해본 입장에서, 지2는 확실히 꿀! 확실히 해두면 멘탈 흔들릴 확률이 적어요. 웬만하면 암기&체화로 커버가 됐었어요. 근데 물리같은경우는... 아무리 많은 문제를 풀어오고 체화가 잘되있어도 뭔가 하나 삐끗 계산실수 혹은 접근방법 실수가 나오면 멘탈 흔들릴 여지가 많기에.. 물2는 일단 괴수급아니면 안정성은 떨어지는것같아요. 물1보다는 물2가 저는 쉬웠지만, 이건 개인적인 차이기에..
일단 확실한건 지2는 꿀이었어요 제가 현역이었던 2012년도부터 지금까지 계속 그런 경향이 있었다고 봐요. 다만 내년부터는 22 가산점이 들어가 2를 선택할때, 최상위권 실력자들이 골고루 분포하다보면 평가원에서 표본집단 수준을 파악하고 어렵게 나올 가능성이 있으니... 하지만 내용 자체는 지2가 확실히 편했어요. 만점받겠다는 생각으로 열심히 해두면 보상이 잘따라오는?
참고로 제가 현역일때 시절(2012)때 저희반이 물리 화학반이었는데 대부분 친구들의 의견(다들 물1 물2 화1, 화2 중 택3 하던 시절..)이 개념자체는 물2가 어려운데 문제 나오는 스타일은 물2가 정해져있고 좀더 쉬운편같다. 라고 했었어요. 그에반해 물1은 좀 '문제'를 까다롭게 낼 여지가 더 많다! 라고 생각했었네요. 2013때 과탐이 개정이 되어서 요즘은 어떨지 모르겠습니다만 (이번엔 물2만 했으니) 이런점 참고해주시길^^;; 다른분들의 조언들도 도움받아가며 잘 선택하셨으면해요
지1지2
설대쓸거아니면 2과목은 일단 제쳐놓으라는 글을 여러번 봐서..
이 견해에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한의대쓸거라
그거 사실지2는 거의예외라고봐야..ㅋㅋㅋ 제가 생1지2인데 솔직히 지2가 훨씬쉽고편해요 시간도별로안잡아먹고 말이죠 내년에 표본수준더높아지면잘모르겠지만 아직까진 지1>>>지2>>생1순으로 꿀이에요
님의 2016학년도 대수능 성적표
ㄴ
ㄷㄷㄷㄷ
그래도 제가 실수만안햇으면 꿀과목외치고다녓을듯 꿀과목맞음
물리는 어떤가요? 시간부족이라던지 지엽이라던지...
화학은 ㄹㅇ 두개를 겸비한 핵과목이던데
지구과학처럼 한번 공부하면 변동없이 고정1가능한 그런과목이 되나요?
물리는 몰겟음 경향이확바껴서..근디 1등급 화학이상 빡세요
화학은 노답과목이던데...
그냥 사람많은 생1에 자타공인꿀과목 지1을 해야겠네요 ㅋㅋ
아니면 더 알아보고 지1지2
의견 감사드립니다 ㅎㅎ
네 강대빌보드 에서 느꼈는데 수능에서까지 느낌
화1이 올해는 꿀이였다고 생각
2과목은 필밴
지1은 꿀
이거2개만 확실하고 물화생은 항상 바뀌니 소신껏 하는게맞는듯. . 전 화생에 이미 질려버려서 물1지1하려구요
한의대나 의대 쓰니까.. 지1에 생1이 낫겠네요 ㅎㅎ 생1은 가볍게나마 한바퀴 돌린적이 있기도 하고.. 의견 감사드립니다~
저는 한의대나 공대가고싶같아서 물1지1이요! 17학번됩시다 ㅋㅋ
지1은 고정이고...
물1생1지2 고민중인데
물1선택하신이유가 있으신가요?
저랑 걍똑같으시네요.. 일단2는 피하는게 답인거같아서 빨리제외했구요 물리생물은 지금 아직도 고민중이긴해요ㅜ
퓨에르 님의 2016학년도 대수능 성적표
물1 물2 화1 화2 지2를 해본 입장에서, 지2는 확실히 꿀! 확실히 해두면 멘탈 흔들릴 확률이 적어요. 웬만하면 암기&체화로 커버가 됐었어요. 근데 물리같은경우는... 아무리 많은 문제를 풀어오고 체화가 잘되있어도 뭔가 하나 삐끗 계산실수 혹은 접근방법 실수가 나오면 멘탈 흔들릴 여지가 많기에.. 물2는 일단 괴수급아니면 안정성은 떨어지는것같아요. 물1보다는 물2가 저는 쉬웠지만, 이건 개인적인 차이기에..
일단 확실한건 지2는 꿀이었어요 제가 현역이었던 2012년도부터 지금까지 계속 그런 경향이 있었다고 봐요. 다만 내년부터는 22 가산점이 들어가 2를 선택할때, 최상위권 실력자들이 골고루 분포하다보면 평가원에서 표본집단 수준을 파악하고 어렵게 나올 가능성이 있으니... 하지만 내용 자체는 지2가 확실히 편했어요. 만점받겠다는 생각으로 열심히 해두면 보상이 잘따라오는?
물1과 화1중에선 어떤게 낫나요?
개인적인 성향차라고 생각합니다^^;; 비슷한것같아요. 개인적으로 만점받을정도로 어느정도 둘다 실력이 단단해졌다! 수준일때 수능 시험장에서의 변수가 화학이 조금 '덜'한 정도가 아닐까싶어요. 물리는 계산부분이 (화학 계산을 무시하는게 아님!) 꼬이면 멘탈 흔들리는 정도가 꽤 큰것같았어요 개인적으로는... 뭐랄까 물리는 수학 21번 어 이거 아는것같다 이렇게 풀면 될것같다 오케이 이렇게이렇게 술술술... 이게 답이야! 어? 답이 없네? ;;;;;; 정도..?
참고로 제가 현역일때 시절(2012)때 저희반이 물리 화학반이었는데 대부분 친구들의 의견(다들 물1 물2 화1, 화2 중 택3 하던 시절..)이 개념자체는 물2가 어려운데 문제 나오는 스타일은 물2가 정해져있고 좀더 쉬운편같다. 라고 했었어요. 그에반해 물1은 좀 '문제'를 까다롭게 낼 여지가 더 많다! 라고 생각했었네요. 2013때 과탐이 개정이 되어서 요즘은 어떨지 모르겠습니다만 (이번엔 물2만 했으니) 이런점 참고해주시길^^;; 다른분들의 조언들도 도움받아가며 잘 선택하셨으면해요
아 22과목 가산점을 고려를 안했네요..
그럼 2과목에 전체적으로 상위권이 모일테니 11이 꿀이겠네요...
22과목 가산점주는학교가 어디어디인지 혹시 지금 나와 있나요?
가산점주는 학교가 어디어디인지는 모르겠으나 아마 서울대는 그럴거에요하하..
ㅇㅇ 가산점때메 11이 핵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