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격자들이 사용하는 세특 작성방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590229
합격자 95%가 사용하는 세특 작성하는 방법
대입과 합격에 관심이 높고 똑똑하신 분들은 이 글로 합격하는 세특의 제대로 된 비법을 얻어가실 것이라 확신합니다.
딱 5분만 집중해서 들어주세요.
일반고에 재학하며 합격하는 생기부와 세특 작성법에 대해 2년간 책과 선배들의 생기부를 통해 공부하고,
연세대 진학 후에도 수많은 생기부 컨설팅을 진행하며 '합격하는 세특' '합격할 수 밖에 없는 세특'에 대해 끊임없이 연구했습니다.
우리는 마구잡이로 쓰는 세특이 아닌, 합격하는 세특을 작성해야 합니다.
그리고 저는 ‘이 합격하는 세특’에 대해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먼저 생기부에서 세특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첫 번째는 세특만큼 학생의 학업역량과 인성을 다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없기 때문입니다.
여러명의 교사가 3년동안 학생을 관찰하며 기록한 자료이다보니, 다른 항목보다 더 신뢰할 수 있는 자료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두 번째는 과목별 지적 호기심이나 학습 태도를 자세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단순히 그 교과에서 몇등급을 받았느냐가 아니라. 그 과목과 관련하여 어떠한 지적호기심을 갖고 어떠한 탐구를 진행했느냐를 대학에서 자세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는 대학에 진학해서도 학습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역량이기 때문에, 대학에 와서도 학습을 잘 진행할 학생을 뽑고자 하는 대학의 입장에서는 중요한 평가자료가 됩니다.
그렇다면 대학이 세특에서 핵심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첫 번째로 중요한 것은 바로 학업역량입니다. 학업역량은 성적+탐구능력+학업태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두 번째로 중요한 것은 진로역량입니다. 세특을 진로랑 엮을 경우에 대학에서는 세특으로 전공과 관련된 기초 소양이나 학습 능력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세 번째로 중요한 것은 인성과 관련된 부분입니다. 공동체 역량은 다른 항목에서도 기술하지만 세특에서도 드러나면 좋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응시 안했거든
-
어째 다들 해명하면 더 나락가는 것 같지
-
빨리 클릭하기 테스트니 뭐니를 안 했어야 했는데 야발
-
날잡고 해당과목 개념 몰빵해서 듣기 일단 기출 깨지면서 풀기 벅벅하면서 깨지기 또...
-
다크써클 뭐지 7
퇴폐미 오히려 좋아..?
-
배고파 저녁이 너무 늦어짐
-
히히히
-
1초하니깐 13뜨네 휴 난 13이 한계인가봐 물론 한 손으로만 님들도 해보셈...
-
ㅈㄱㄴ
-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부에 민원 넣었습니다. 어떻게 될진 모르지만 정말 힘든 시기를 보냈습니다. 앞으로는 평온하게 지내고 싶네요. 6
청주교육대학교의 정신장애인 학생 차별 및 명예훼손 교수의 모욕적인 언사 일방적인...
-
안녕하세요. 작수 이후로 수학 아예 안 하다가 6모 때 3초 나온 반수생입니다....
-
누구더라 망고하니까 생각남
-
종류 가리지 않고 시발 이건 뽕 좀 찬다 싶은 거
-
둘다 몇등급이 풀면 괜찮나요
-
12,13,14를 겨냥한 n제 있을까요???
-
그건 빼박 플러팅임
-
잘하는거 실모칠때 더 불안한가봄...
-
ㅠㅠㅠㅠㅠ
-
6월은 아직 수능 좀 남은 거 같은데 7월은 금방 수능 같음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