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대학, 예전처럼 가르쳐선 미래가 없다는 절박함에서 시작”[논설위원의 단도직입]

2024-06-30 15:40:05  원문 2024-06-25 20:46  조회수 791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579274

onews-image

서울대 국문학과 교수로 2019~2020년 입학본부장을 지냈고, 2023년 2월부터는 교육부총장을 맡고 있다. 유홍림 총장의 공약사업으로 융합·교양교육 강화를 위해 신설되는 학부대학 설립추진단장이기도 하다. 대학 신입생들에게 문학·철학 등 인문학의 중요성을 알리고, 컴퓨터·공학 등 다른 영역과 결합한 인문학의 다양한 모습을 소개한 (2010)의 공저자이다.

서울대 졸업생 도전 정신·공감 능력 부족하단 지적 많아…누굴 뽑느냐보다 어떻게 가르칠까 고민

‘베리타스’ 자립·혁신·실천 3단계로…3명의 다른 전공 교수들 함께 계획 짜...

전체 기사 보기

해당 뉴스 기사는 책참(1020565) 님의 요청으로 수집 되었습니다.

  • 책참 · 1020565 · 8시간 전 · MS 2020

    태재대의 혁신기초학부, 서울대의 베리타스를 포함해 대한민국 대학 교육에도 새로운 흐름이 눈에 보이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 책참 · 1020565 · 8시간 전 · MS 2020 (수정됨)

    [서울대]
    학과의 장벽을 뛰어넘어
    마음껏 토론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줌으로써
    다양한 분야를 연결하고, 경계를 넘어 본질을 보도록
    2025학년도부터 신설되는 공통교육과정

    ‘베리타스’ (필수교양)

    1단계 자립: 보편적 개념에 대해 토론
    2단계 혁신: 사회적 문제에 관해 서로 설득하고 조율
    3단계 실천: 주변 세계와의 직접적 상호작용을 통해 문제를 해결

    모든 베리타스 강좌는 여러 전공 교수들이 협업해 수업을 공동 운영

  • 비비비빅빅 · 1046032 · 3시간 전 · MS 2021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