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황분들 부정합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569567
ㄷ 선지에서 육상에 노출이라는 말은 융기 횟수랑 같다고 생각하면 되나요? 이러면 근데 부정합면이 2개여서 최소 3회 아닌가요? 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능 닝닝하다~~
-
방금 보고온 7월 더프에서 정신분열와서... 현역때는 문과였고 공부 1도 안하다가...
-
올해 처음으로 확통푸는데 길이 안 보이는 문젠 처음임
-
작수 55615 언미화2물2 이번 7덮 45 47 75 26 12 시험 치고나서...
-
그야 평가원이 아니니까.
-
ㅈㄴ 애매할거같은데
-
첫 80 입성인데 80점대의 벽은 참 높구나
-
더프봤습니다
-
전 어려운지 안어려운지 판단이 안되서 그냥 쭉 풀어요 근데 틀리는것도 한지문에...
-
? 무보정은 한 55정도 뜰듯
-
현역이들아 5
현체나 숙려제 언제 쓸거임?
-
빡센거같은데
-
7덮이 걍 압도적으로 어려운거같은데
융기횟수 맞고
부정합면은 실질적으로 한개여서 최소 2회입니다
감사합니다!!
참고로 맨 위에 땅 밑에 있는 경사부정합은 마지막으로 융기했을 때 생긴거라 포함 안시킨 겁니다
넵!! 이해했어요☺️
융기횟수와는 다릅니다. 지층A가 풍화/침식을 받은 횟수를 보셔야해요. 지층 A는 동그라미로 확대된 부정합면 하나와, 경사부정합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각각 풍화/침식을 1회씩 받았고, 이 과정에서 육상에 노출되었을 것이므로 최소 2회라고 해야해요. 최소 융기횟수 문제와는 논리가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지층 A의 최소 융기횟수는 3회가 맞아요.
제가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네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