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독서) 문제 만드는 팁 + 몇 가지 논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562423
아직 안 푼 세트들 꽤 있고
지금은 EBS 소재만 따와서 내용은 전혀 다르게 구성하는중
국어 자작러들은 거의 찾아볼 수가 없어서
몇 가지 팁이랑 하다보니까 느끼는 점을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여기 나오는 모든 견해는 순전히 내 경험에 따른거임)
1. 한 지문에 대략 논문or책 3개 정도 투입
그런데 이건 케바케라 평균적으로 그렇다는거
또한 개인적으로 영어권 레퍼런스를 더 선호함. 내용이 되게 잘 정리되어 있고 지문 구성이 편하기 때문
EX) 아래는 최근에 본 엑소좀 논문
아래 그림을 텍스트로 옮기면 수험생들 정신 못 차릴거 생각하는 출제자를 상상해보라...
2. 정보 가중치가 높은 부분 먼저 나열해서 쓰기
여기서 가중치가 높다라는 것은 개념 혹은 개념 간 복잡성이 강한 것을 의미함
나는 지문에 먼저 이러한 구문을 싹싹김치로 나열한 뒤 세부적인 내용을 추가하는 편
이러면 출제 기법 측면에서 정보의 분산을 수월하게 할 수 있음
3. 적절한 선지에서 적절하지 않은 선지로 바꾸기
말그대로 이게 더 쉬움
적절하지 않은 선지를 생각하기보다는
맞는 말 써놓고 내용을 비비는게 훨씬 더 수월함
4. 예시는 출제자 입장에서 지문 길이 조절 수단에 불과함
(오해하지 말아야 하는게 순전히 내가 느끼기에 그렇다는거임)
수험생 입장에서는 이게 "출제자가 친절하구나"라고 받아들이는게 자연스러움
그런데 내가 볼 때 예시(가령, 예를 들어...)는 지문 길이를 조절하는 데 가장 유용한 도구일뿐
내용 다 들어갔는데 지문이 짧다고 느껴지면 예시 몇 개 추가해주면 길이가 싹싹김치로다가 내가 원하는대로 맞춰짐
5. <보기>는 문제 수 늘리기 위한 수단에 불과함
예시가 지문 길이 조절 수단이라면 <보기>는 문제 하나를 추가하기 위한 유용한 수단
지문에서 더 이상 문제를 만들기 힘들거나, 지문에 넣기에 애매한 내용이라면 <보기>로 따로 분리시킴
그리고 개연적 서술로 그럴듯한 선지를 구성하면 출제자는 최소한의 노력으로 공짜 문제 하나를 만들 수 있음
특히 견해 비교나 비판 유형 문제 만들 때 최적임
6. 출제스타일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뉨
기출을 보다보면 개념 간 관계가 복잡하게 꼬여있고 이를 돌파해야만 선지를 뚫을 수 있는 힘이 생기는 그런 지문이 있고
다른 한편으로 다소 허무하기도한 단어 레벨에서 종결나는 문제가 있음
이거는 레퍼런스 차이라고 봄
원문에서 개념 간 관계가 명확하고 논리적이면서도 복잡성을 드러내면 출제자 입장에서는 너무나 땡큐
범주 나누고 비빔밥시키는 것만큼 편한 출제가 없기 때문임
그런데 가끔 논문보다보면 뭔 개소리인가 싶은 그런거 있음(원작자 까는거 아님)
보통 내용이 돌고 돌아 같은 것을 지시하거나 개념 간 관계가 그렇게 명시적이지 않으면 출제자는 단어 레벨에서 문제를 꾸릴 수밖에 없음
또한 영역에 따라 이러한 스타일이 강제되기도 함
가령 내가 만든 "신자유주의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그랬음. 개념 관계가 그렇게 복잡하지 않고 그냥 여러 견해가 각자의 워딩을 쓰고 있는 경우라 선지 또한 단어 레벨에서 결판나도록 설계할 수밖에 없음
7. 지문의 내용이 꼭 실재와 일치할 필요는 없음 - '시험적 허용'
출제 측면에서 지문 속 사실이 현실 세계의 사실과 무조건 부합할 필요는 없다는거
실례로 과거의 채권지문에 대한 채권학회 소송 사건이 그러하였음(216에게 들은거)
평가원은 이에 대해 "지문을 연역추론의 소우주"라고 답했음
진짜 말같지도 않은 소리를 제외하고는 적절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뜻
내 사례를 들자면 최근에 문학의 개연성 논의를 만들고 해설한 적이 있음
여기서 외적 개연성과 내적 개연성이 나오고(분류1)
후반부에 무조건적 개연성과 가설적 개연성이 나오는데(분류2)
여기서 실제로는 분류1과 분류2이 서로 독립적임
그냥 개연성을 바라보는 두 축임에도 불구하고
나는 분류2를 분류1의 외적 개연성에 대한 하위범주로 이행시켰음
그에 따라 실제 고췌트와 괴테의 견해도 약간의 내용 변질이 일어났음
8. (마지막으로) 혼자 국어 문제 만드는건 매우 많은 문제점이 있음
일단 오류가 있는지는 문제 만드는 본인이 인지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고
난이도도 테스터가 없어서 판단이 불가능하다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음
216 아닌 이상은 한 개인은 국어 출제에 있어 많은 제약을 받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좋아요 0 답글 달기 신고
-
10모 조지면 ㄹㅇ 자신감 나락갈거같은데
-
국어 문학 EBS 연계 대비를 할 때 어떤 파트가 가장 중요하다고 (=도움된다고)...
-
중간 망해서 완전 정시로 틀려고 합니다.. 모고 공부해본 적 없고 최근에 본 게...
-
라는 논리 좀 ㅂㅅ같다고 생각해요...
-
그냥 지들이 세뇌되어온 지식을 부정하면 다굴치는거네 13
이게 니들의 실체
-
수능떡받았다 2
맛있다 초콜렛이랑 엿이랑 떡이랑 내가 이런걸 받을 나이가 됐구나 ㅋㅋㅋㅋ
-
15 19 21 28틀 19 21은 예상못했네요 92받아야했는데 아 그래도 운영은...
-
난 신의 자식이다. 12
드디어 말한다
-
92이상 받았어야했는데 실수를 너무 많이함 3문제 오답하는데 3분이 안걸리네 으악ㅏㅏㅡㅏㅏ
-
해리포터 15회독, 타라덩컨 10회독, 삼국지 10회독, 초한지 5회독.
-
노랭이 omr로 바꾸라 이거야
-
개처럼 달려가는 중
-
한 꼬맹이가 라면 엄청 맛있게 먹고 있길래 라면 이름 용기내서 뭐냐고 물어보고 바로 삼
-
Jpop느낌 확
-
심리적으로 불안하고 정신병 걸리는게 느껴진다
-
태어나서 푼거중에 제일어려운듯.. 어떻게 이딴점수가 나오지..
-
유리함수 로피탈 9
괄호안에 있는거를 통분하지 않고, 유리함수를 각각 미분해서 풀수는 없을까요?...
-
이거 진짜임? 3
25분 5분(휴식) 인터벌 공부가 가장 효율이 높은 공부라는데 맞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