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1 - 수능완성 농도 2점파트 5번 + 비/준킬러 접근 핵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560329
일전에 수능완성에서 볼만한 문항들 선별해서 올려드린 적이 있습니다.
이 문제도 그 중 하나였는데 질문이 많이 들어오네요.
간단하게 풀이법과 접근법 두가지를 소개하겠습니다.
1. 기본적인 접근법
가장 기본적인 접근법은 용매의양, 용질의양, 용액의질량 중 하나를 통일시키는겁니다.
저는 용액의 질량을 통일시키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면 용질의 질량은 2 : 5가 되고
용매의 질량 7 : 5가 됩니다.
용액의 질량이 같으므로 2x + 7y = 5x + 5y, x:y = 2 : 3이 나오게 되고
(가)의 퍼센트 농도는 4/25 * 100이 되죠.
몰농도는 4 * 40 / 60 = 8/3이 나오게 됩니다.
2. 단축 접근법
기존 기출 화학식량과 몰 파트에서
A질량/B질량 의 상댓값을 A몰수/B몰수 의 상댓값으로 보고 푸는 풀이를 많이 접했을겁니다.
여기서도 똑같아요.
용매의양/용질의양 을 그냥 용매의질량/용질의 질량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1+7k : 1+2k = 5 : 2 => k = 3/4, 2a = 4/25 농도는 4 * 40/60 = 8/3
계산을 한 줄 줄일 수 있죠.
3. 핵심
사실 이 문제에서 단축접근법을 굳이 공부할 필요는 없습니다.
중요한건 새로운 조건이 주어졌을 때 어떻게 처리하냐가 중요하죠.
특히 이렇게 그래프 등 새로운 포멧으로 문제가 주어지면 많이들 당황하는 것 같습니다.
ex 22수능 농도문제
그런데 결국 중요한거는 그래프, 그래프 개형 그런게 아닙니다.
저기 찍혀있는 점만 보면 됩니다.
수능완성 문제에서는 (2a, 7k), (5a,2k)만 보면 되고
22수능에서는 0.3M, (8,11k), (20,9k)만 보면 되는거죠.
수능때 이렇게 준킬러에서 모양새를 독특하게 내는 경우들이 많습니다.
24수능 동위원소 문제도 그랬죠.
결국 지금까지의 화학1은 양론, 양적관계, 중화반응 세 문제를 제외하고는 1~2가지 핵심에서 벗어나지 않습니다.
(최근에는 저 셋도 쉽게 나오는 추세긴 하죠)
기출을 자세히 봐야 하는 이유입니다.
저 핵심을 본 학생들은 2,3페이지를 수월하게 넘어가고, 쉬운 킬러로 인해 50을 받기 쉬워졌으며
그렇지 않은 학생들은 2,3페이지에서 발목을 잡히니 2등급컷부터 줄줄이 무너지게 된 상황입니다.
"평가원 기준" 신유형이라고 나오는 것들, 대부분이 핵심은 기존과 동일합니다.
접근법 잘 생각해보시고 수능때 좋은 결과 있길 바랄게요.
+) 질문은 댓글로
++) 과외문의는 쪽지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지구로부터 돌멩이 거리가 무한대면 중력이 작용안해서 에너지도 없음. 그런데...
-
이번에 예측 되는 수능 난이도 보단 쉬운건가요???
-
드릴 진짜 뭐지 5
이 문제수에 그 가격을 받는다고...하 안되겠다 유빈아!!
-
팀 이쁨? 1
미페 맛도리임
-
카가야쿠노닷테 후타리닷테 야쿠소쿠시타 하루카 토오쿠 오와라나이 베테루기우스
-
다들 머리도 좋고 수능에 관해선 모르는 게 없을 것 같은데
-
교수님들과 학교 측에서 구성원들로 하여금 엄밀한 논리와 유연한 사고, 합리적인...
-
양메기 좋은점 2
물2선택자 2명 화2선택자 6명이라 실모 독차지 ㅇㄱㅁㄸ
-
흠.. 나 ㄹㅇ 뭐하는 놈이지..
-
지들끼리 빨면서 정상인 배척하는 모습이 대단하군요? 25
이래서 세뇌교육 지식좀비들은..
-
요거 마셨는데 왜이리 쓰냐? ㅡㅡ
-
나 현역때 10월 학평이었는데 저거 나왔던 거 생각남 암울했던 시절이라 모고 풀다...
-
모바일 팩스가 안 되네 쩝 그냥 커하 성적표..라고 해도 ㅈ밥인데 갖구있구 싶엇어
-
뭔가 그거 풀고 있으면 야뎁러된거같음 ㅋㅋ ㅜㅜ
-
있다는데 오늘 듣고 ㅈㄴ 쪼갰음 ㅋㅋㅋ 무슨 쓰레기통도 뒤지노 ㅈㄴ 무섭게
캬 역시
용액양 용매양에서 1+ 는 어떻개 나온겅가여??
1+7k : 1+2k = 5 : 2 이부분 말하시는걸까요?
1 + 용매/용질 = (용매+용질)/용질 이고 이게 용액/용질 이 되는 구조입니다
앗 감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