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현장에서 사용할 머릿속 회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549635
오늘은 원리에 대한 통념과 함께 학습 방향을 어떻게 정해야 효과적인지에 대한 조언을 드리고자 합니다. 많은 분들이 '원리를 먼저 이해해야 한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공부를 잘했던 사람들이나 이른바 '지식인'들은 이러한 신념을 더욱 굳건히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은 보통 사람들의 공부가 부족한 이유를 원리 이해의 부족으로 생각하며, 원리를 제대로 알면 어려운 문제도 쉽게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또한, 공부를 할 때 근본적인 원리와 공식을 우선적으로 깨우치라고 이를 수험생들에게 강조하곤 합니다.
하지만, 미국의 과학철학자 토마스 쿤에 따르면, 단순히 F=ma와 같은 공식을 외운다고 해서 모든 물리학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기초가 부족해서 원리를 공부한다고 해서 문제를 풀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공부를 잘 하고 싶으신가요? 그렇다면 방법은 하나입니다. 결국 물리적으로 뇌의 네트워크를 바꿔서 몸으로 체화해야 합니다. 실제 문제 해결 과정에서는 의식적으로 통제하기 어려운 비의식적인 과정이 열쇠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단순한 원리의 이해나 개념의 파악은 경험으로 얻어진 기억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시험의 모든 문제는 개념을 넘어서 표준적인 예제와 그것의 변형들을 공부하면서 비로소 풀립니다. 실제로 수능 고득점을 받는 대부분의 사람들도 의도했든 의도하지 않았든 개념과 교과서 내용의 이해를 넘어 실제 상황에서 많이 연습해 가슴속에 깊이 새길 때까지 반복했기 때문에 문제 해결이 가능했던 것입니다.
수능 공부든 내신 공부든 간에, 몸으로 체화되지 않은 지식은 실제 문제 해결 능력으로 연결되지 못합니다. 수능이 암기가 중요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신다면 그것은 큰 오산입니다. 내신식의 단순 암기와는 분명 결이 다르지만,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뇌의 네트워크가 물리적으로 변화해야 하며, 이 과정은 상당히 힘들고 결국 경험에 대한 기억, 암기의 과정입니다. 실제로 문제를 푸는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단계화되어 있으며 ‘패러다임’, 혹은 '스키마'라고 부르는 비의식적이고 암묵적인 인지 요소들을 포함한 네트워크 내부의 문제 해결 패턴을 필요로 합니다. 우리가 추구할 공부의 방향 역시 특정 상황에서 적절히 대응하고 처리할 수 있는 능력과 기술, 스킬을 기르는 것입니다. 실전 개념이라고 부르는 영역을 실제로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머릿속에 회로를 만드는 과정이라고 봐도 좋겠습니다.
시험의 긴박한 상황에서 문제를 제한 시간 내에 해결할 때, 우리는 정해진 규칙이나 행동 강령을 하나씩 기억해서 차근차근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패러다임을 적용해 풀이의 상당수를 비의식적인 부분, 혹은 매우 빠르게 압축된 의식적인 기억과 함께 간추리며 문제를 해결합니다. "이해가 아니고 능숙해짐이 공부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 …… 이해보다 기억이 더 중요하다."는 말이 있습니다. 이 역시 같은 맥락입니다.
오늘날의 뇌과학적 관점에서 우리는 이론, 개념, 법칙, 관점, 정의 등의 추상적 규칙을 직접 적용하기 위해 공부하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구체적인 전례와 사례를 경험으로 축적해 기억하고, 이를 통해 문제 해결 및 의사결정에 능숙해져야 합니다. 수능 공부는 N제와 실모, 기출을 매개로 한 이런 과정의 연속입니다. 예제를 통해 다양한 문제 유형을 경험하고, 그 과정에서 익힌 접근 방법을 반복적으로 연습해 머릿속에 깊이 새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성적이 원하는 대로 나오지 않았다면, 안타깝게도 피지컬의 부족일 수도 있겠지만 수능을 근본적으로 잘못 알고 계실 가능성도 있습니다. 제가 말씀드린 내용에 공감하며 자신의 방향성이 의심되신다면 단순히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는 것에 그치지 말고, 다양한 문제를 풀어보면서 실제 상황에서의 적용 능력을 기르도록 노력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여러 번 반복해서 연습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패턴을 체화함으로써 긴박한 시험 상황에서도 비의식과 의식의 모든 것을 단련해 문제를 풀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핵심입니다.
특히 하반기가 시작된 지금 시즌부터는 등급대와 무관하게 원리와 개념을 넘어 실전 문제를 많이 풀어보는 연습까지 시작해 보시길 권장드립니다. 그렇게 꾸준히 준비하신다면, 올해 수능에서 생각했던 것 이상의 좋은 성과를 거두실 수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0 XDK (+1,000)
-
1,000
-
개념이 적으면 얼마나 적은거임?
-
경제 내용 나올 때마다 너무 어려워서 그런데 관련 배경지식을 어떻게 공부해야...
-
a 이거 어떻게 푸는지 아시는분??
-
22번 풀이공간 부족하면 확통 1페이지에 써도 됨 반박시 홈런볼 사냥꾼이 틀림
-
확통 91 84 74 미적 81 73 63 기하 88 78 68 이지랄남? 이러면...
-
43번 보고 겠냐? ㅋㅋ 하고 바로 2번 하고 맞긴 했는데 뭔가 찜찜해서요.. 근데...
-
따로따로사서 못받앗는데 못푸는건가유…흑
-
고2이고 한주에 한번씩 독서실에서 국수영 모고를 치고 있는데요 모고칠때 옛날 기출...
-
에휴
-
추석특강 시간표 0
추석특강 시간표 언제 뜸?러셀이랑 세정이랑 몇몇학원은 벌써 뜬거 같고 두각이랑...
-
은 어떤 경우지..
-
수2 쌍곡선 2
할머니댁에 수학의 바이블 수2 있길래 보니까 쌍곡선이 있던데 몇 년도 교육과정인가요…?.?
-
이감 5차 1
이감 5-5 푸신 분 난이도 어떠셧나요
-
■ 2025학년도 지구과학 I 수능완성 전문항 손풀이집 업로드(1/4)_고체지구 (feat. 2주간 오픈 예정. 재공개 예정 없음) 0
안녕하세요. 신준섭 입니다. 올해 수완 손풀이가 완료되어 업로드 드립니다. 아래...
-
교차로 인문사회계열에 오면 간판도 높아지고 학점 앞자리도 바뀌고 삶의 여유도 생긴다...
일단 스크랩하고 자러 가겠습니다
최적화가중요하죵..
실전 문제는 무얼 풀어보는개 좋을까요..? 사실 아직 기출도 안 돌린 상태입니다.. (수학 4등급 확통러)
우선 BLANK 기출문제집으로 기출 한 바퀴 돌리고 기출에 자주 출제되는 유형들을 이비에스와 함께 정리하는 것만 해도 많이 오르실 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