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른08자퇴생 [1321456] · MS 2024 (수정됨) · 쪽지

2024-06-22 14:41:41
조회수 1,525

자퇴생 공부방법 조언 부탁드립니다 간절합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509342

안녕하세요! 저는 2주 전 고등학교 2학년 1학기 중 자퇴하고 독서실에서 공부하고 있는 자퇴생입니다. 목표는 정시의대입니다. 공부 방법과 공부 방향에 관해 질문드리고 싶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저는 원래 국어, 영어, 수학, 과학 모두 동네 학원을 다녔었지만 성적이 오르지 않고 비효율적인것 같아 자퇴하면서 모든 학원을 끊고 인강으로 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혼자 인강으로 공부하다 보니 제 공부 방법이 맞는지, 방향은 맞게 가고 있는 건지 여쭈어보고 싶습니다.


우선 저의 모의고사 성적은 교육청 기준으로는 나쁘진 않았습니다. 과탐이 통합과학 내용이 대부분이였던 3모긴 하지만, 국+수+탐 전국백분위 99.67, 영어 1등급이였으니까요. 그런데 문제는, 자퇴하고 나서 이번 고3 6모를 풀어보니 수학 3등급후반, 생명 3등급(유전은 개념만 공부했습니다, 막전위 근수축은 내신하면서 깊게 팠습니다), 물리 3등급(물리는 내신하면서 1학기범위만 했고 아직 2학기범위(전기력~) 개념도 안되어있습니다.) 국어 2등급, 영어 3등급으로 처참하더군요.


2주동안 공부하면서도 이 공부방법이 맞는건지, 계속 불안감이 들어 공부에 집중이 잘 안되어 여러 공부법을 찾아봤지만 뭔가 추상적이여서 도움을 받기 힘들었습니다.


우선 제 전반적인 현재 베이스 상태입니다

국어:아예 노베(문학 개념어, 독서 읽는 방법 모름. 언매는 그래도 내신하면서 빡세게 해놔서 나쁘진 않음)

수학:수2~미적분 실전개념 X 미적분은 특히 아예 노베라 개념도 모름

영어:베이스가 어느정도 있긴 하지만 고2 기준으로도 1등급 간당간당함

과탐: 생명과학은 유전파트 제외 개념기출 2회독(막전위근수축은 6회독이상) 했고, 물리는 역학(이 역시 내신하면서 개념기출 6회독이상), 열역학 특수상대성이론은 개념기출 1회독 까지 한 상태입니다. 2학기 범위는 아예 노베입니다.


현재 전반적인 공부 계획은, 올해 9모 전까지 국어 강기분 완강, 수학 수2뉴런수분감 완강+미적분 시발점 완강, 물리 2학기 개념기출 끝내고, 과탐은 고3부터 하고 일단 국어 수학부터 하는 걸로 계획을 잡았습니다.


2주동안 하루 국어 3시간 수학 10시간 물리 1시간 이런식으로 공부했고, 그 결과 강기분은 문학독서 2강, 수2 뉴런은 적분 전까지 2회독했습니다. 수1은 감유지 차원에서 수분감+드릴 매일 40문제씩 풀고있습니다.


제가 여쭈어보고 싶은 것은,

1.수학 공부 방법

2.국어 공부 방법(아예 노베라..)

3.과탐과 영어는 내년 하고 일단 국어 수학에 집중하려고 하는데 이런 방법이 괜찮은지

4.과목별 공부 시간 배분(현재 극단적으로 수학만 많이 하는중입니다)

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재수는 너무나 외로워 · 1321024 · 06/22 14:45 · MS 2024

    과탐때매 의대가시려면 재수까지 고려하셔야될듯

  • 수의 지망 · 1237950 · 06/22 19:33 · MS 2023 (수정됨)

    제가.. 6평이 등급이 2 1 2 1 1 나올 거 같아 공부를 잘하는 편은 아니지만... 여기저기에서 주워들은 게 좀 있어서 조언드려요!

    고2시면 국어 수학에 치중하세요
    그게 나중에 큰 도움이 될 겁니다 영어는 고2 기준 1등급은 별 의미 없어요 고3, 특히 평가원이 진짜니 조금씩은 하시는 거 추천드립니다
    나중에 영어가 님 배신할 수 있어요
    과탐은 그래도 고2 겨울 전까지 개념과 기출은 모두 1회독은 해놓으세요 이후 n제와 실모를 통해 남들보다 고3 때 치고 올라가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직 고2시고 공부 덜 되셨는데 평가원 점수가 안 나오는 건 당연하니 너무 실망하시지 마시길...
    원래 교육청은 공부 좀 하시면 백분위 99이상 나오는 거 거의 당연합니다 저도 그랬었고요ㅎㅎ

    수학은 내년까지 바라보시기 때문에 시발점부터 천천히, 중등기하는 혹시 되어있는지 확인하시고 개념정리 끝내셨다면 기출분석 들어가시는 거 추천드려요 기출을 단순히 풀고 버리는 게 아니라 거기에 사용된 도구, 개념 등을 정확히 숙지하시고 비슷한 문제를 만났을 때 기출문제가 떠오르는 수준이 되어야 합니다!

    국어는 아예 노베라 하셨고 지금 작성자님의 상황을 보면 여러 인강 사이트 돌아다니시면서 작성자님에게 맞는 선생님을 찾아야 할 듯 해요! 잘 모르시겠으면 주변 분들에게 선생님 스타일을 여쭤보세요
    저는 인강 사이트로 치면 김승리 선생님, 김상훈 선생님, 강민철 선생님 정도 스타일을 알고 있어요ㅎㅎ
    찾으셨다면 고2 대상으로 하는 기본 강좌부터 천천히 따라가시는 걸 추천드려요!

    끝으로 현역이신 2026수능에 모든 걸 거시겠다는 마음가짐으로 천천히, 그러나 꾸준하고 단단히 나아가시길...
    2027수능은 최후의 수단이 되셨음 합니다
    2028부터 과탐이 통합과학이 돼버려서 2027수능 보실 때 많이 부담되기도 하실 거고 장수생이 되실 위험이 큽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빠른08자퇴생 · 1321456 · 06/22 19:37 · MS 2024

    감사합니다!! 그런데 과탐 개념 기출을 어느정도 해야 ”끝냈다“ 고 할 수 있나요?
    기출을 보자마자 풀이법이 머리속에 떠오르는 수준까지 되어야 하나요?

  • 수의 지망 · 1237950 · 06/22 19:56 · MS 2023

    기출을 보자마자 풀이법이 떠오르는 건 당연하고, 그와 유사한 시중 n제를 봤을 때도 기출문제가 떠오르면서 돌파구가 바로 보이는 수준이 되어야 합니다
    더 나아가선 앞으로 평가원에 이러한 개념을 묻거나 활용하는 문제가 나오지 않을까? 예상까지 되고요

    고2 때 끝내심 금상첨화겠지만 국어 수학에 집중하신다면 1~2회독이라도 해놓으십시오
    의대 목표시면 과탐 정도는 거의 만점 받으셔야 하지 않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