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쪽지 주세요
-
진짜 ㅇㅈ올릴게 0
후 떨린다
-
내 뇌 안에서 자고 있을때도 혼자 이미지 트레이닝 중
-
자두 ㅈㄴ 시네 0
아오
-
뭐 물어보고싶은데
-
라떼는 라이브 해설 or 7~8시에 해설해둔거 칼같이 올리고 해설이후 총평및...
-
벌써 1시야? 0
-
ㅈㄱㄴ
-
ㅎㅇㅌ
-
개빡쳐서 자러간다
-
유튜브에 미란다 코웬 헬창누나 쇼츠에 알고리즘에 ㅈㄴ뜸 0
일 잘하네 ㅋㅋ
-
문제집 살려하는데 어느게 더 낫나요?? 난이도 측면으로 어느게 더 어려운지도 궁금합니다
-
한치회 맛있지 0
https://youtube.com/shorts/R1om5cOD6Jc?si=6-EqC...
-
이상형 0
미란다 코웬
-
ㅈㄱㄴ
-
삼각함수 뉴런만 남았다
총원을 100(명)이라고 가정
100(명)x0.6x0.4
저 100이 퍼센트 아니였어요??…
100명 중 60%
즉 60명.
60명 중 40%
즉 24명.
“가정”이요 선생님
500 명으로 가정해도 퍼센트는 똑같이 나올거같아서
500명중 60%= 300명
300명중 40%=120명 나오는데
어디가 잘못된걸까요?…
맞는데요?
120/500하면 24%...
전체 수로 나눠야 하니까요
예를 들어 설명해드리면
남자/여자가 있고, 안경을 쓴사람/안쓴사람이 있다고 가정했을 때
남자 중에서 안경을 쓴 사람의 비율을 구한다
이렇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일단 남자의 비율을 구하고, 남자 중에서 안경 쓴 사람의 비율을 구해서 곱하면
그게 전체 중 안경 쓴 남자의 비율이 되겠죠
그리고 명수는 사회문화 도표 문제에서 그냥 햇갈리는 걸 방지하기 위해서
임의로 100명으로 설정해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런 유형은 상관없을수도 있는데 나중에 노부유 문제 같은 거에서
과거와 미래에 전체 인구수가 달라지면 또 곱하고 해야 하니까요
아 따로 문제에서 안주어지고 100 명으로 가정하는건가요??
네넵. 편의를 위해 그러는 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