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건 진짜 럭키비키네...
-
고대 수교과 나오시고 교육과정이나 EBS 검수에도 참여하시는 분이셨는데 수열은 그냥...
-
이거 뭔가요 ㄷㄷ 원본 찾아봤는데 진짜 원본에 저렇게 돼있음 1.5가 아니라...
-
Oz로 개념기출 들었음 여기서 솔텍으로 넘어가도 괴리 없나?? 훈식 너무 듣고싶음...
-
오늘부터 탈 기아 합니다
-
회차별 난이도 순위 좀 ㄱㄱ
-
유독 기아 잘잡네 ㄷㄷ
-
이정도로 충분할까요? 아니면 마닳 사서 풀까요 그리고 국어에 N회독이 필요한가요?...
-
오늘80점 ㅡ미완목록 수1공부량 저하 ㄴ대신수2많이챙김 독서경제파트 ㄴ대신 과학지문...
-
2024년 6월 3주차 韓日美全 음악 차트 TOP10 2
2024년 6월 2주차 차트: https://orbi.kr/00068504207
-
이번 6모에서 백분위로 화작 82 미적분 98 영어 3 한국사 5 한지 99 세지...
총원을 100(명)이라고 가정
100(명)x0.6x0.4
저 100이 퍼센트 아니였어요??…
100명 중 60%
즉 60명.
60명 중 40%
즉 24명.
“가정”이요 선생님
500 명으로 가정해도 퍼센트는 똑같이 나올거같아서
500명중 60%= 300명
300명중 40%=120명 나오는데
어디가 잘못된걸까요?…
맞는데요?
120/500하면 24%...
전체 수로 나눠야 하니까요
예를 들어 설명해드리면
남자/여자가 있고, 안경을 쓴사람/안쓴사람이 있다고 가정했을 때
남자 중에서 안경을 쓴 사람의 비율을 구한다
이렇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일단 남자의 비율을 구하고, 남자 중에서 안경 쓴 사람의 비율을 구해서 곱하면
그게 전체 중 안경 쓴 남자의 비율이 되겠죠
그리고 명수는 사회문화 도표 문제에서 그냥 햇갈리는 걸 방지하기 위해서
임의로 100명으로 설정해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런 유형은 상관없을수도 있는데 나중에 노부유 문제 같은 거에서
과거와 미래에 전체 인구수가 달라지면 또 곱하고 해야 하니까요
아 따로 문제에서 안주어지고 100 명으로 가정하는건가요??
네넵. 편의를 위해 그러는 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