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kfshr [1050634] · MS 2021 · 쪽지

2024-06-14 16:10:48
조회수 787

이차함수의 서로다른실근이 1개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418589

중근 가지는 거라는데 왜죠 1개인데 서로 다르다고 할 수 있나...?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루미히 · 1058696 · 06/14 16:14 · MS 2021

    말이 이상하긴 하네요

  • 루미히 · 1058696 · 06/14 16:14 · MS 2021

    내신에서 그렇게 내면 그선생 징계받지 않나...

  • 엄마몰래설경제가기 · 1189151 · 06/14 16:15 · MS 2022

    이차함수의 근은 항상 두개가되는데
    서로 다른 실근은 1개밖에 없는거니
    두 근의 값이 같은거니 중근이죵

  • chekfshr · 1050634 · 06/14 16:57 · MS 2021

    근이 1개니까 중근이 되겠지만 중근은 서로 다르다고 할 수 없지 않나요?

  • 화학식량 · 1192018 · 06/14 16:20 · MS 2022 (수정됨)

    서로 다른 두 실근은 들어봤어도...
    이차함수의 두 실근이 서로 같다라고 해야하지 않나요

  • 마혜림 · 1143905 · 06/14 16:25 · MS 2022

    이 말 출처가 어디임? 이 말이 시험에 나왔다면 태클 수천개는 걸렸을거같은데

  • chekfshr · 1050634 · 06/14 16:54 · MS 2021

    4규 s1 수2 72p 37번이요

  • Bisu_JD · 700932 · 06/14 17:04 · MS 2016

    어 저도 예전에 이런거 한번봄 사규인지는 기억안나는데

  • rubiz · 1236133 · 06/14 17:48 · MS 2023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라는 표현이 평가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표현이고, 이 때 중근은 1개로 세고 있습니다. (201130(나), 230922 등)
    작성자분께서 혼동하신 부분인 중근은 서로 다른 근이라 볼 수 없느냐는 질문은 중근 x=a, a는 같은 근이니 서로 다른 근이라고 할 수 있는 근은 없다라고 생각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서로 다른 근의 개수는 해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의미하는 표현으로 쓰입니다. 즉 x=a, a를 해로 가지는 방정식의 해집합인 {a}의 원소의 개수이니 1개가 될 수 밖에 없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