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과통계 신기한 풀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409634
이런 문제 식 세우기 귀찮지 않나요?
구분구적법의 원리를 이용해 생각해보면
f(k) < 2f(2k) 일때는 P가 증가하지만,
f(k) > 2f(2k) 일때는 P가 감소합니다.
f(2k)앞에 2가 붙은 이유는 2k의 변화율이 k의 변화율의2배이기 때문이죠
마무리로 그래프의 대칭성을 이용해 식을 세우면 깔끔하게 k를 구할 수 있어요!
정석적인 풀이입니다.. 생각하기도 싫네요..
확통풀다가 아이디어 생각나봐서 적용해봤어요!
이 풀이가 틀리지 않은 풀이인지는 모르겠지만 답은 일단 맞게 나오네요
수학적으로 오류가 있는지 혹시 알게 된다면
댓글로 피드백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교대 인식 9
요즘 교대 인식 어떤가요? 많이 안 좋나요..?
-
정법1일차 소감 3
이런 씹꿀통을... 왜 진작하지 않았을까
-
김기현 아이디어 2
지금 수1 수2 김기현 아이디어를 하고있는데 워크북에서 벽을 너무 심하게...
-
므찌네
-
피드백 처음 듣는데 오티랑 설명에는 전지문 해설이라 돼있는데 수강신청 하고보니까...
-
혹시... +도 같이? 그럼 제가 교수님 맘에
-
버그인가
-
반박시 밥벼농사 반박시 법회 반박시 연세대 논술납치
-
군인이 총을 애인다루듯 한다면 학생의 샤프도 응당 그러해야하는걸까...
-
근데 왜..
-
내돈내산 후기 솔직히 강민철 교재 혜자스럽
-
치맥 샀다 7
집가는중 ㅎㅎㅎㅎㅎ
-
6모때 5떠서 개념 한번 더돌리려는데 한완수 괜찮나요?
-
오르비 10세들 5
덕코 못쓰자나;;;;;;;;
-
나 취했어 2
,,₩:!:)2?2?1&
확통 모르지만
근데 생각해보니까 확통하시는 분들은 구분구적법 몰라서 풀이 이해 안가고,
미적하시는 분들은 확률밀도함수 몰라서 모르실테고 참 ㅋㅋ…
제가 이해한 대로라면 f(k)를 넓이 변화 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보고 풀어서 k가 증가할 때 -f(k)+2f(2k)>0 이여야 넓이가 늘어나니 f(k)<2f(2k)여야 P가 증가하는 방향이라고 생각했는데, 왜 아닌지 설명해줄 수 있나요...? 혼자 계속 고민했는데 안 나와서ㅠㅠ
아 부등호 거꾸로 적었다 ㅈㅅ…
지적 감사합니다!
![](https://s3.orbi.kr/data/emoticons/dangi/029.png)
적분하면 F(2k)-F(k)니까 미분해서 2f(2k)-f(k)=0 일때 최대라고 생각해도 똑같네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