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 형벌파트 잘하시는분들 질문 있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373050
“형벌에 대한 범인의 동의는 형벌권에 기초가 될수 없다“
여기에 칸트가 동의하고 베카리아는 반대했다던데 맞나요? 베카리아도 동의하지 않나요? 형벌파트에 나오는 철학자들 다 동의하는줄 알았는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고대가고싶다 9
영어빼고이비에스도 열심히하니까 대학좀보내주세요 엉엉
-
실모) 2
올해 9모 반영 안한 실모 뭐 있음 쓰레기 반영 실모는 가급적이면 안 풀어보게...
-
3문단 이걸 어케읽노
-
흐흐흐흐
-
아직 늦지않았다
-
한의원에서 침 맞는중 10
아파
-
9모 69 높4 10모 71 3나왔습니다ㅏ 실모 푸는중인데 앞에 4점에서 시간이 좀...
-
국어못하면 정법고득점 하기힘들까요?ㅔ
-
양치기라서 양이구나..
-
저는 공부안하고 죄책감
-
85점인데 한지문을 통으로 못봄 그리고 낚시가 너무 심함 15번 낚시 21번 낚시...
-
문과 기준 재수한 보람이 있는건가?
-
Birds of a feather flock together 가재는(동종 이익...
-
크아아악
-
수능 철학 논리학은 마스터 가능?
-
사설 제쳐두고 풀 정도의 가치있는 모고있나요? 지인선모?
-
저번주에는 막 주말에 야근하고 그랬는데 ㅋㅋㅋ
칸트는 동의하고 베카리아는 반대하겠군요
칸트빼고 다 반대입니다.
칸트, 루소, 베카리아 셋 다 사회계약론자라서 그런 생각을 하신 것 같은데 아닙니다.
칸트는 인간을 현실 세계의 현상체 인격과 도덕적 세계의 예지체 인격으로 구분했습니다. 칸트입장에서 사회계약체결, 즉 형벌에 대한 동의는 범죄를 일으킬 수 있는 현상체 인격(현실 세계의 인간)이 아니라 예지체 인격이 하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범인이 형벌에 동의한다, 범인이 형벌을 의욕한다라는 말은 칸트에게 성립하지 않는 것 입니다.
https://m.blog.naver.com/cucuzz/222501812557
현돌 블로그에 자세하게 나와있으니 한번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반면 루소나 베카리아는 칸트처럼 사람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기 않았기에 사회계약 당시 형벌에 동의한 인간 = 후에 범죄를 일으킨 사람으로 볼 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형벌에 대한 범인의 동의'는 형벌권의 기초가 될 수 '없다'.는 루소, 베카리아 x 칸트 o 입니다. 꼼꼼하게 공부해서 실전에서 헷갈리는 일이 없길 바랍니다.
헉 정말 감사합니다 이해 됐어요… 자세히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