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우퓨 [1172733] · MS 2022 · 쪽지

2024-06-10 00:10:40
조회수 626

국어 고민이신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365577

도움이 될 지는 모르겠지만 고민 털어 놓고 가셔요

개씹허수라 22학년도 수능은 제외하고 말하는 사람이긴 한데

그래도 22-23 평가원 시험 현장에서 5개 치르면서 

공통은 문학 2개 독서 2개 나갔으니 도움이 될지도..



전공공부하기싫어서그냥카르마쌓기메타로가게국어공부질문해주세여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두돧둗 · 1300165 · 06/10 00:11 · MS 2024

    고1 내신과외를 어케 준비해야할까요.|
    주 1회라 돈도 별로 안 되는데 때려치고 싶네요

  • 퓨우퓨 · 1172733 · 06/10 00:13 · MS 2022

    고전시가 특강은 고1-3 가리지 않고 다 먹힙니다
    그리고 내신은 어떻게든 출판사의 교사용 자료를 구하는 게 베스트..
    그 이후에 자습서나 교사용 자료에 있는 문제 양치기 돌리면 될거 같아요

    근데 저는 고1 내신 맡으라 하면 수능 시급 이상으로 안 쳐주면 안 할 거 같아요..
    너무 케바케로 준비해야 함..

  • 두돧둗 · 1300165 · 06/10 00:16 · MS 2024

    그쵸..? 준비할 게 많아서 막막하기만 하네요 휴

  • 부엉이 · 1254116 · 06/10 00:11 · MS 2023

    실모는 어떻게 활용하셨나요

  • 퓨우퓨 · 1172733 · 06/10 00:15 · MS 2022

    고난도 기출까지 다 돌렸다 싶으면 ebs 연계 조금이라도
    체감해본다는 마인드로 8월쯤부터 이감이랑 강대k만 봤습니당
    원래 ebs 교재를 안 봐서 그걸로 합리화 했어요..
    더프는 나올 때마다 쳤어요

  • 부엉이 · 1254116 · 06/10 00:19 · MS 2023

    오 그렇군요.. 국어 성적을 크게 올린 케이스이신가요 아니면 원래부터 국어가 점수 잘 나오셨나요?

  • 퓨우퓨 · 1172733 · 06/10 00:23 · MS 2022

    문학이 기반이 쫌 있어서 점수 자체는 어느 정도 나왔는데
    제가 생각할 때 독서는 22학년도 6평 직전에 완성시켰다고 생각해요
    물론 22수능에서.. 다시 겸손해지긴 했습니다..

  • 미 나 · 1178956 · 06/10 00:15 · MS 2022

    6평을 봤는데 어떻게 오답을 해야할 지 모르겠어요

  • 퓨우퓨 · 1172733 · 06/10 00:18 · MS 2022

    일단 전부 다시 풀어보고 시간이 문제인지 난이도가 문제인지 파악하는 게 우선
    난이도가 문제면 지금 오답을 바로 하기보단 국어 공부를 하고
    다시 6평 지문을 보는 게 좋을 거 같아요

    시간이 문제였다면 글의 구조를 잡는 거나
    선지 판단할 때 시간을 어떻게 줄여야 할 지
    고민하고 자기만의 틀을 잡는 과정이 중요합니당
    인강 강사 듣는 분 있으면 해설 강의 들으면서 잡으면 될 거 같아요

  • 06정시파이터06 · 1239078 · 06/10 00:17 · MS 2023

    독서 독해력이 좀 많이 안 좋은 것 같은데....
    혼자 고민하는 방식으로 일단 공부하는게 좋을까요?

  • 퓨우퓨 · 1172733 · 06/10 00:19 · MS 2022

    진짜 많이 안 좋으면 고1 고2 모의고사로 회귀해서 문제 풀어보셔야 해요
    일단 그걸 제대로 못 풀어내면 지금 기출 볼 때가 아닙니다

  • 아아아끄아아아아 · 1287085 · 06/10 00:47 · MS 2023

    문학 선지 분석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잘 모르겠어요… 그리고 문학 선지에서 이거 이렇게 볼 수 있지 않나… 느낌이 너무 많이 드는데 이런 판단 기준..?? 같은건 어떻게 잡아야 할까요…

  • 퓨우퓨 · 1172733 · 06/10 01:45 · MS 2022

    이렇게 볼 수 있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드는 선지는 일단 빼놓고
    너무 당연히 맞는 선지를 걸러내는 능력을 키우는 게 첫 번째,
    완벽하게 틀린 선지를 고르는 능력을 키우는 게 두 번째,
    애매하다 생각하는 선지에 대해서는 기출을 통해서 반복 훈련하는 게 세 번째

    그리고 생각이 여러 번 꼬이기 시작하면 안돼요
    꼬이면 중간중간 지금 내가 지문과 보기의 정보만 가지고
    판단하는 게 맞는지 생각해야 해요

    진짜 지문과 보기의 정보만으로 판단, 추론하고 있는 거면
    선지의 틀린 지점을 잡아낼 수 있을 거고
    아니라면 그냥 이게 쫌 애매한데? 로 끝날 거임
    앞 두 개 다 했으면 선지 틀린 지점에 체크하는 거 연습하시면 됨

  • 율리우스는그레고리가밉다 · 1311915 · 06/10 00:56 · MS 2024

    그냥 공부법 자체를 모르겠어요 지금은 마닳 2회독 하고 강의로 연계 공부 중이긴한데 다른 사람들은 뭐 덜 하는지 사설이라도 이감 같은 거 사서 풀어야하는건지… 그냥 방법 자체가 항상 고민

  • 퓨우퓨 · 1172733 · 06/10 01:46 · MS 2022

    기출에서 지금은 더 이상 얻어갈 게 없다거나, 텀을 조금 둬야할 거 같다 싶을 때 사설 끼우면 좋습니다

  • 노베탈출할랭ㅅ · 1259629 · 06/10 01:49 · MS 2023

    기출에서 뭘 얻어가야할지 모르겠아요

  • 퓨우퓨 · 1172733 · 06/10 02:04 · MS 2022

    글을 어떻게 전개해 나가는지, 정보가 어떻게 유기적으로 이어지는지, 선지는 어떻게 판단해야 하는지 등등..